-
-
미래학이란 무엇인가
하인호 지음 / 일송북 / 2009년 4월
평점 :
품절
인류는 탄생 이래 지속적으로 이성을 발달시키고 인지를 확장해 왔다. 과거에는 어떤 현상에 대해 그 원인을 알 수 없고 결과를 예측할 수 없는 경우 ‘불가지(不可知)한 존재(存在)’의 작용으로 여겼고, 다양한 신앙과 종교는 이런 무지한 바탕 위에 생겨났다고 할 수 있다.
아직 경험하지 못한 미래에 대해서도 인간은 알 수 없기 때문에 종교나 소위 예언자라는 사람들의 목소리에 귀를 기울인다. 하지만 미래가 과거와 현재의 연장선에서 전개될 것이라는 이성적이고 논리적인 사고 아래에서 과연 종교나 예언자의 예언이 타당한가 하는 것에 의문이 들 수밖에 없다.
이 책은 우리나라에 여전히 생소한 미래학(futurology)이라는 학문을 선도하고 있고 하인호 교수의 저작이다. 이 책에서는 미래학의 정의와 역사, 여러 학파와 연구 방법 등에 관해서 소개하고 있다, 한마디로 미래학의 개설서라고 할 수 있겠다.
서문에 의하면, 이 책은 원래 1995년에 초판된 것이라고 한다. 그래서 지금 현재 우리가 살고 있는 2000년 이후의 미래에 대해서 당시에 전망해 놓은 부분이 있다. 이것을 읽으면서 과연 미래학자들의 전망과 예측이 맞아떨어지는가 하는 것을 검증해보는 것도 재미있겠다.
단순히 미래학이라고 하면 막연한 느낌이 든다. 공상영화에 나오는 것처럼 우주여행을 맘대로 하고 로봇이 인간과 대등하게 협력하거나 전쟁하는 것이 우선 떠오르기도 한다.
미래란 생각해보면 막연하지만, 달리 생각하면 우리가 살고 있는 현재의 순간, 순간이 곧 미래라고 할 수 있다. 시간은 쉼 없이 미래를 향해 달리기 때문이다. 이 책을 읽다보면 미래를 전망하는 것이 단순히 공상소설처럼 상상하는 것이 아니라는 것을 알 수 있을 것이다. 현재 세계가 복잡한 것 이상으로 미래 세계는 복잡할 것이기 때문이다. 이 책에서 정치, 경제, 문화, 과학기술, 인간 정신 등 온갖 분야를 망라해서 분석하고 결과를 내놓는 것이 미래학이라는 것을 알게 된다.
마지막 장(章)인 ‘21세기 미래사회 어떻게 펼쳐질 것인가?’에서 앞으로 전개될 미래를 전망하고 있다.
21세기는 후기산업사회를 맞이하여 정보화 사회를 지나 지식사회가 될 것이다. 또 ‘지식사회는 21세기에 들어오면서 글로벌 지식사회로 발전하고, 글로벌 지식사회는 글로벌 시민사회를 출현시키고 있다. 또한 지식사회는 인공지능사회의 시작을 기약하면서 드림 소사이어티(Dream Society)를 예고하고, 돌봄 경제사회(Care Economy Society)의 도래를 알리고 있다.’(p.287)
인공지능사회가 되면서 로봇이 현재 인력의 5%, 현존 지식의 5%만 제외하고 95%를 대체하게 될 것이라고 한다. 그렇다면 95%의 사람들은 실직자가 되는 것일까? 저자의 주장에 따르면 ‘새로운 사회는 항상 새로운 일자리를 마련해 주게 된다,’고 한다. 문제는 각자가 얼마나 새로운 사회를 맞이해서 잘 적응하느냐에 달렸다. 저자는 이를 위해 ‘정신수련을 하고 다양한 현장 체험을 하고, 여러 분야에 근무하고 있는 많은 사람들을 만나고, 많은 곳을 여행하여 다양한 경험을 쌓고, 책을 많이 읽는 일을 일상화해야 한다.’(p.301)고 주문하고 있다.
수시변역(隨時變易)이라는 말이 있다. 때에 맞게 변화를 해야 한다는 말이다. 만일 변화를 하지 못하면 저절로 도태되는 것이 하나의 자연 법칙이다. 우리 역사를 돌아보면 우리는 변화하는 시대적 흐름을 타지 못해 결국 나라를 잃은 아픈 역사를 가지고 있다. 역사는 반복된다는 말이 있다. 만일 앞으로 또 시대의 흐름을 타지 못하고 잃는다면 다시 나라를 잃지 말라는 법은 없는 것이다.
미래학은 미래를 예측하는 것만 전부가 아니라는 생각이 든다. 오히려 우리가 나아가야할 미래의 지향점을 제시하고 그것을 향해 전진할 수 있도록 선도하는 역할을 하는 것이 더 중요한 목적이 아닐까?
그렇다면 우리는 왜 미래학을 공부하고 또 적극적으로 투자해야 하는가에 대한 당위성을 알게 된다. 정확한 미래의 모습과 방향을 예측할 수 있으면 변화를 주도할 수 있고, 변화를 주도하는 것이 바로 새 시대를 개척하는 것이기 때문이며, 강한 나라가 되는 길이기 때문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