동아시아를 만든 열가지 사건 - 한국 일본 중국 대만이 함께 읽는 근현대사
아사히신문 취재반 지음, 백영서.김항 옮김 / 창비 / 2008년 11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역사학이란 ‘현재’라는 창을 통해 과거의 사건을 바라보고 해석하여 미래의 지침으로 삼는 일이라고 할 수 있다. 이 현재라는 개념 속에는 ‘나’라는 개념도 포함되어 있어서 ‘내가 처한 입장’에 따라 동일한 사건에 대해 인식과 해석이 달라질 수밖에 없다. 이는 각국이 왜 자국의 관점으로 역사를 기술하는가 하는 질문에 대한 답이 된다. 이것이 지나칠 때는 국수주의, 국가주의로 흘러 역사를 왜곡하는 지경에 이르러 관련한 국가끼리 상호 비방, 비난하기도 한다.




특히 한, 중, 일 삼국은 역사적으로 매우 밀접한 관계를 유지하면서 문화를 서로 전달하고 재화를 교류하면서 공존해왔지만 때로는 서로 전쟁을 하기도 했기 때문에 역사의 기술은 매우 민감한 문제로 남아 있다. 더구나 지난 100여년은 일본이 서양의 문물을 먼저 받아들임으로써 군사적 강국이 되고, 이를 바탕으로 조선을 식민지화하고 중국을 침략하여 수많은 사람을 살상시키고 지배해온 사실이 있다. 이 역사적 사실은 여전히 삼국 간에 갈등의 요인이 되고 있는 현재진행형의 역사이다.




하지만 언제까지나 과거에 얽매여서 미래를 구속할 수는 없는 일이다. 중요한 것은 과거에 쌓인 서로에 대한 오점과 오해를 풀어야 한다는 것이며, 이 일의 시작은 역사적 인식을 서로 공유할 수 있는 ‘공통의 역사’를 만들어 내는 것이라고 본다. 이 책이 ‘공통의 역사’를 만들어 가는 데 하나의 중요한 기초가 될 것을 의심하지 않는다.




이 책은 <아사히신문> 기자들이 아편 전쟁 후 동아시아에서 일어난 중요한 사건 10가지를 중심으로 서술하고 있다. 기자들이 역사적 현장으로 직접 가서 견학하고 관련 인물들과 인터뷰를 함으로써 더욱 사실적으로 기술하고 있다.

각 장마다 세 부분으로 나뉘어 있다. 앞에는 역사적 사건을 일반적으로 기술하고 있고, 뒤 ‘교과서를 비교한다’에서는 앞에서 기술한 사건을 한, 중, 일과 대만의 역사 교과서에서 각각 어떤 비중으로 어떻게 다루고 있는가 하는 것을 서로 비교해서 독자가 각국의 역사적 시각을 쉽게 알 수 있게 했으며, 마지막 ‘기억을 만드는 것’에서는 대중매체나 그 밖의 여러 가지 방식으로 앞에서 말한 사실이 현재 어떻게 재생산되고 활용되어 대중에게 어떤 영향을 미치고 있는가를 쓰고 있다. 




아직까지 역사책이 나라끼리의 대결과 전쟁, 지배와 저항을 위주로 기술하고 있다면 이 책의 ‘특징은 150년간의 동아시아 역사와 오늘의 현실의 연계성을 중요한 관점로 삼고 있으며, 특히 ‘교류와 연쇄’의 관점은 이 책을 관통하고 있다.’(p.362)




저자는 머리말에서 ‘기억은 명기(銘記)하는 힘과 환기(喚起)하는 힘의 합력이라고 일컬어진다. 명기하지 않으면 생각이 날 수 없고 환기하지 않으면 기억은 망각의 늪에서 잠든 채로 있다. 그렇지만 기억만으로 역사가 될 수 없다. 제각각의 기억이 각자의 머릿속에 머물러 있는 한, 기억은 그 사람들과 함께 사라져갈 것이다. 기억을 타자와 이야기 하고 공유함으로써 비로소 잘못된 기억을 고치고 왜곡된 것을 바로잡아 역사를 계속 이야기 할 수 있는 것은 아닐까.’라고 하여 ‘공유’의 가치를 이야기 하고 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