맛살라 인디아 - 현직 외교관의 생생한 인도 보고서
김승호 지음 / 모시는사람들 / 2008년 11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21세기에 접어들면서 가장 주목받고 있는 나라 중의 하나가 바로 인도이다. 대륙이라고 일컬을 수 있는 넓은 국토와 11억의 인구 -곧 13억 인구의 중국을 추월할 것이라는 전망이다.- 와 다양한 인종, 23개의 공용어를 포함한 수많은 언어와 다양한 종교, 엄격한 카스트 제도 등 인도의 특징이라고 할 수 있는 것들이 많다.

책 제목의 ‘맛살라’란 계피, 회향, 울금 등 여러 가지 재료를 가지고 만든 인도의 향신료를 말하는데, 지역에 따라 그 재료가 매우 다양하다고 한다. 아마 인도를 가장 잘 표현하는 말이 바로 이 ‘맛살라’일 것이다.

 

우리나라와 같은 아시아에 속해 있지만 역사적으로 많은 교류를 하지 않았고, 근현대에 들어와서도 미국, 유럽이나 중동 등과의 관계에 비춰봤을 때 그 관계가 밀접하다고는 말할 수 없을 것 같다.

(하지만 가야의 왕이고 김해김씨의 시조인 김수로왕의 왕비인 허왕후가 인도의 아유타국에서 왔다고 전해진다. 우리나라의 성씨 중 절대다수를 차지하고 있는 김해김씨의 피 속에 인도의 피가 가느다랗게 흐리고 있다고 상상하면 인도가 결코 멀게 느껴지지 않을지도 모른다.)

소원한 만큼 인도에 대해 알려진 것이 많지 않은 것 같다. 보통 인도에 대해 말하라고 하면, (아마도 8,90년대에 유행하던 마하리쉬, 라즈니쉬 등에 관한 책의 영향이겠지만) ‘깨달음의 땅’이라고 말하기도 하고, ‘빈곤의 땅’이라고 말하기도 한다. 하지만 이렇게 단편적으로 인도를 표현하는 것은 적절하지 않다. 

 

인도는 지구상에 있는 어느 나라보다도 훨씬 더 다면적이고 다층적이라고 할 수 있으며, 명암의 차이가 극명하다고 할 수 있다.

하루 1.25달러 이하로 생활하는 빈곤층의 수가 4억 5천만 이상이지만 세계 10대 부자 가운데 4사람이 포함되어 있는 나라가 인도이고, 매년 100만 명 이상의 공학도와 10만 명의 IT인력이 배출되고, 핵무기를 가지고 있고 우주선을 쏘아 올린 나라이지만 TV 보급률은 10%가 채 안 되는 나라가 역시 인도이다.

또한 대부분의 국민이 각자의 종교 교리에 따라 경건한 삶을 살지만 역시 종교 갈등으로 매년 많은 사람들이 목숨을 잃고 있는 나라 역시 인도이다.

 

하지만 지금 세계는 인도를 주목하고 있다. 지난 10년 동안 매년 8~9%의 경제성장률을 기록하며 무섭게 발전하고 있고, 발전 가능성이 어느 나라보다도 우수하여 앞으로 세계의 중심 국가가 될지도 모른다는 전망 때문이다.

 

흔히 인도와 중국을 대비하여 말한다. 먼저 공통점으로 광대한 토지와 많은 인구, 괄목할 만한 경제 발전을 들 수 있다. 차이점으로는 인종의 다양성 측면에서 인도와 중국이 비교가 안 되고, 인도는 여전히 완고한 카스트 제도가 있으며, 종교, 인종 갈등이 심하고, 정치 제도적 측면에서 중국이 일당 체제인데 비해 인도는 자유민주주의 체제를 갖고 있다는 점 등을 들 수 있다. 따라서 인도가 지속적인 발전을 이룰 것인가 말 것인가에 대한 핵심은 다종다양한 인종과 종교, 계층 간의 갈등을 어떻게 풀어나갈 것인가에 달려 있다고 해도 과언이 아니다.

앞으로 과연 일사불란한 일당체제가 승리할 것인가, 여러 갈래의 목소리가 있는 민주주의 체제가 승리할 것인가를 관찰하는 것도 흥미롭다.

 

이 책은 저자가 현재까지 수년째 인도에 거주하면서 직접 겪은 경험을 바탕으로 쓰인 것이기 때문에 인도의 정치 체제, 경제 상황, 다양한 인종과 종교, 언어, 역사와 문화에 대해 개략적이면서도 중요한 점을 빠뜨리지 않고 서술하고 있다는 것이 큰 특징이다.

마지막 장인 <인도에서 한국을 만나다>에서는 현재 인도에 진출한 기업의 활동 현황과 인도에서 많은 호응을 얻고 있는 한국 영화와 드라마, 공연 등과 새롭게 일어나는 한류, 한국어 학습 열풍 등을 소개하고 있고, 한국 전쟁 후 북한 포로 가운데 3국을 선택했다가 인도에 남은 사람들에 관해서도 말하고 있다.

 

냉전 체제가 무너진 뒤로 세계는 빠르게 다극화 하고 있고, 어떤 명분보다는 자국 이기주의가 우선시 되고 있다. 우리나라도 계속 발전하기 위해서는 이런 흐름에 편승해야만 한다. 따라서 국가 간의 교류를 미국이나 일본, 중국 중심에서 벗어나야 하는 것도 당면 과제이다.

인도가 시장으로서 매력적인 것은 거대하면서도 아직 발전하지 않은 나라라는 것이다. 그것은 우리나라의 많은 기업과 사람들이 진출해서 돈을 벌어들일 수 있는 가능성이 풍부하다는 것을 말한다. 진출해서 성공하는 첫걸음은 그 나라와 국민에 대해서 얼마나 많은 것을 알고 있냐는 것에 달려 있다고 할 수 있다. 이 점에서 인도를 소개한 이 책은 훌륭한 입문서가 될 것을 의심하지 않는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