야근은 하기 싫은데 일은 잘하고 싶다 - 짧은 시간에 최상의 아웃풋을 내는 뇌습관 안내서
가바사와 시온 지음, 이정미 옮김 / 북클라우드 / 2018년 9월
평점 :
절판


일반적으로 일 잘하는 방법만 소개해주는 책과는 달리

이 책에서는 실천가능한 방법론을 이야기한다.


특히 뇌과학과 접목시켜 뇌가 어떤 식으로 일하는지

일 못하는 사람이 자주하는 '실수'는 어떻게 피할지

등등 뇌와 집중력/효율성의 관계에 대해

집요하게 파고든다.


흔히 일 잘하는 사람을 보면,

실수가 없고 일처리가 완벽하다.

그렇다면 실수를 자주하는 것이 일을 못하는 것인가?


그렇지 않다.


"모든 실수는 정보 처리에 관여하는 뇌의

구조적 문제에서 비롯된 것이지

당신의 무능력함과는 상관이 없다."


따라서 실수의 원인을 알고 평소에 뇌의 능력을

올려주는 생활습관을 기른다면

누구든지 최상의 컨디션으로 일을 할 수 있다는 것.


뇌는 4가지 단계를 통해 일을 관장한다.

인풋(입력) - 아웃풋(출력) - 사고 - 정리


이 책은 각 단계에서 뇌의 능력을 기르고

실수를 줄이는 방법론을 통해 생활습관을 만들어갈

구체적인 실천방안을 제시한다.


특히 나는 저 중에서 '투두리스트법'을

직접 응용해봤는데, 정말 효율적으로 시간을 활용해서

하루를 관리할 수 있었다.


그 외에도 집중력을 위한 시간에 대한 정보와

신체리듬을 위한 휴식/수면법까지.


단순히 '일' 또는 '업무'와 관련된 방법만 나열하지 않고

평소에 '나'를 어떻게 관리하여

일하는 과정에서 최상의 결과물을 낼 것인지

많이 연구하고 고민한 것이 보이는 책이었다.


전반적으로 굉장히 실용적인 책.

실용서이다 보니 노트에 적으면서 읽을거리가 많았다.

뇌과학적으로 설명하면서 방법론을 소개하기 때문에

신뢰도도 충분히 느껴졌고,

무작정 이 방법이 좋으니 따라하라는 식이 아니라

자신에게 맞게 적용시킬 수 있는 것들이라 좋았다.


다만, 실천하지 않으면 그 효과를 알 수 없기 때문에

이 책을 읽어보고서는 실천해보는 것을 추천한다.

(여전히 일 못하는 사람으로 살고 싶지 않다면...)

하나 아쉬운 점은, 제목이었다.

물론 제목 때문에 끌려 읽게 되긴 했지만

책을 다 읽고나니 오히려 제목이 아쉬웠다.


꼭 회사원이나 야근을 하지 않는 사람이더라도

언제든 읽어보면 정말 많은 도움이 될 내용이기 때문.

뇌과학과 실수, 집중력 등의 전반적인 내용을

다루고 있고, 일을 시작하기 전부터 미리 쌓으면

좋을 습관들을 소개하고 있는데,

'야근'은 하기 싫은데 일은 잘 하고 싶다 는 표현이

오히려 독자를 조금 한정시킬지도 모르겠다는

그런 생각이 들었다.


그래도 전반적으로 굉장히 만족스러웠던 책.

적용시켜볼 부분이 많았고 나같은 성장변태들에게

큰 도움이 되는 책이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