그 질문에 왜 아무 말도 못 했을까 - 정답 없는 질문에 나만의 생각을 말할 수 있는 단단한 식견을 위한 인문 사 인문 사고
최원석 지음 / 북클라우드 / 2018년 6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요즘들어 다시 책을 가까이 하는 습관과 멀어지는 게 느껴져서 읽기 시작한 인문학 도서, <그 질문에 왜 아무 말도 못 했을까?> 사실 표지에 적힌 멘트에 꽂혀서 읽게 된 책이기도 하다.

"정답 없는 질문에 나만의 생각을 말할 수 있는 단단한 식견을 위한 인문 사고"

책을 펴보기 전에 다음과 같은 질문에 대한 대답을 먼저 생각해보면 좋다. 그리고 이 대답을 망설였다면 꼭 읽어야 할 책이라고 적혀있는데, 틀린 말은 아니다. 나름 다양한 생각을 하는 데에 도움을 주는 책이기 때문!

이 책에서는 인문학을 공부하는 이유를 먼저 설명한다. "양극단에 휩쓸리지 않고 '중간'에 서 있으려면 어떻게 해야할까. 무엇보다 '열린 마음'을 가질 필요가 있다. 어떤 논리라도 들을 준비가 돼 있는 아량과 배려심 말이다."

즉, '회색 인간 되기'를 위한 안내서 라고 서문에서 책 스스로를 소개하는데, 어느 한 쪽에 휩쓸리지 않고 언제든지 자신의 의견이 틀렸다면 그것을 인정할 수 있는 회색인간이 되어야 한다고 한다. 어떻게 보면 여기저기 흔들리는 사람같아 보일 수도 있지만, 잘 생각해보면 가장 위험하지 않은, 열린 사고의 소유자가 될 수도 있다.

그리고 그러한 사고를 기르기 위해 우리가 알아야 할 세 가지 키워드 ; 합리적 의심 / 질문하기 / 관찰의 중요성



다양한 주제를 가지고 세 가지의 사고방식을 설명하기 때문에 책 자체로 이해하기 어려운 부분은 거의 없었다. 게다가 과학적 발견, 실험 결과, 역사적 사실, 문학적 표현 등의 다양한 분야를 두루두루 다루고 있어서, 정말 인문학적인 사고를 기르기에 적당한 책이라고 생각했다.



창의성은 질문에서 나온다. 요즘 사회에서는 후츠파 정신(=도전 정신)을 중요시하는데, 그런 분위기 속에서 질문하지 않고 곧이곧대로 역할을 수행하는 것은 요즘 인재상에 부합하지 않는다. 게다가, 모두가 1이라고 할 때 나 혼자 2라고 할 수 있는가, 생각해보면 책에서 이야기한대로 단단한 식견이 필요하다.
개인적으로, 단단한 식견을 쌓아갈 기반을 마련해준 책인 것 같아서 굉장히 흥미롭게 읽었다. 이 책은 여러번 읽으면서 기본 교양 지식을 쌓는 데에도 도움이 될 것 같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