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획자의 습관
최장순 지음 / 홍익 / 2018년 5월
평점 :
구판절판


획이라는 단어와 밀접한 생활을 하고있다, 요즘들어. 딱히 거창한 것은 아니고, 상품기획/MD/마케팅/영업 등의 직무에 관심을 가지다보니 자연스럽게 기획이라는 단어를 찾게 된 것 같다. <기획의 정석>이라는 책을 읽어보려고 하던 중이었는데, 생활습관을 바탕으로 기획력을 기를 수 있다는 문구에 끌려 이 책을 먼저 읽게 되었다.
작은 습관 프로젝트를 하면서도 느끼는 바이지만, 아무래도 거창하고 어려운 정석의 내용보다는 생활 습관, 작은 행동 하나로 차이를 만들 수 있다는 말 자체가 굉장히 매력적으로 다가왔다. 그리고 이 책을 읽으면서 기획에 대한 기대감이 훨씬 커지기도 했다.

처음 마주한 글귀. 동일성과 차이, 변하지 않는 것과 변하는 것, 반복과 극복, 기획은 이 둘 사이의 줄다리기다.
기획은 단지 기획자라는 직업을 가져야만 할 수 있는 것이 아니고, 일상 생활에서 점심에 뭘 먹을지 고르는 행위도 기획이 될 수 있다고 한다. 그 사이에서 사소한 차이를 주는 것, 그리고 그 차이를 만들기 위해 습관을 하나씩 바꿔 나가는 것이 기획의 첫걸음.
동일한 내일이 아니라, 더 나은 내일을 만들기 위해 차이를 찾아가는 것. 그 차이를 만드는 생활습관을 소개한다.
기획이 뭐길래? 기획은 '어떻게 하면 되지?'라는 생각을 하는 것부터 시작한다. 방법과 효과 사이에서 하는 일련의 모든 행위들이 기획이 될 수 있는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가장 적합한 행동을 디자인하는 것이다.

지하철을 타고 다니며, 연필로 사각사각 줄 그어가며 책을 읽었는데 그럴수록 더 잘 들어왔던 내용들. 그리고 집에 가서는 생각노트에 꼭 기억해놓고 싶었던 것들이나 주요 요점을 정리해놓았다. 나중에라도 이 책을 다시 읽게 되면 좋겠지만 그럴 여유가 없을 때 다시 볼 수 있도록. 그만큼 실천하기 어렵지 않고 흥미로운 내용의 습관들이 소개되어 있던 책인 것 같다.

이 책을 읽고 브런치에 들어갔는데, 그 때 마침 저자이신 최장순 님께서 브런치를 쓰기 시작하셨다. 그래서 구독하기를 누르고, 그 분이 쓰신 책의 비하인드 스토리도 읽어볼 수 있었다. 기획자를 꿈꾸는 대학생들, 기획자이지만 더 나은 기획을 하고 싶은 사람들, 기획이 뭔지 1도 몰랐지만 흥미를 가져보고 싶은 사람들, 내가 기획을 하고 있는 건지 몰랐지만 기획이었다는 것을 깨닫고 싶은 사람들은 모두 읽어보면 좋을 것 같다. 295페이지정도 되는데, 판이 작은 편이라서 금방금방 읽을 수 있다.
아, 그리고 또 저자님 문체가 굉장히 평이해서 어려운 내용도 쉽게 읽혔다. 내가 좋아하는 필법의 책이라서 더 재미있게 읽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