숨결이 바람 될 때 - 서른여섯 젊은 의사의 마지막 순간
폴 칼라니티 지음, 이종인 옮김 / 흐름출판 / 2016년 8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참으로 아름다운 죽음을 준비하며 소중한 삶을 산 사람을 보았다.

 

36세의 신경외과 전공의인 젊은 의사가 자신이 늘 보던 환자처럼 어느날 암이라는 진단을 받고 그 암이 뇌까지 전이 되어서 치료를 받으면서 스스로 죽음을 준비하는 과정을 보여주는 이야기이다.

이렇게 간단하게 설명하니 마치 그것이 전부처럼 보이지만 이 의사의 어린시절부터 그의 가정환경과 자라난 곳에서의 추억등 여러 이야기를 포함하여 그의 영혼을 이끄는 여러 책들이 얼마나 큰 영향을 주었는지를 보여주기도 하고 사람과 죽음에 얼마나 큰 관심을 가지게 되었는 지,그래서 의사가 되기로 하면서 의대에서 한 해부학수업에서 느끼는 여러 생각을 보여 주기도 한다.

그렇게 의사가 되어 병원에서의 생활,특히 외과 전공의가 되면서 큰 아픔으로 내원하는 환자들을 보면서 그가 겪는 여러 마음이 아이러니컬 하게도 자신에게 오면서 겪는 내적인 갈등이 자기 성찰과 반성으로 이어지고 그렇게 자신의 죽음을 받아들이고 한정된 삶을 정말이지 소중하게 살아가는 내용은 점점 책을 읽는 내내 감동으로 다가오고 있었다.

바쁜 전공의 생활로 아내와의 관계가 소홀해지고 그로 인해 아내가 헤어질 것까지 요구 받게도 될만큼 조금만 있으면 교수로 임용되는 자신의 일에서 성공적인 삶을 살아가다가 이런 삶의 브레이크가 생긴다는 것을 어떻게 받아들이기가 쉬울 수가 있겠는가?

원만하고 분노하고 이런 것도 겪으면서 자신은 비탄의 5단계,'부정-분노-협상-우울-인정' 이 단계를 보통사람들과 달리 반대로 겪었다고 하면서 그가 자신의 삶을 받아들이고 남아있게 될 자신의 아내를 걱정하면서 그의 인격이 얼마나 훌륭한지 그래서 존경받을 수 밖에 없음을 느끼게 된다.

그리고 아내와 딸을 낳기로 하고 의사이자 환자의 삶을 오가면서 그동안 보아온 서례들을 통해서 자신의 결말을 스스로 선택하고 그 이야기를 이렇게 남기기로 결정하며 마지막 남은 삶을 꾸준히 글을 썼다는 것에도 감사한다.결국은 완성하지 못했지만 완성은 그녀가 말했듯 아내이자 목격자인 루씨가 완성했다고 생각한다.

그의 바람이라면 딸 케이디가 아빠의 모습을 기억하는 것이라면 그 누구 보다 훌륭한 분이였다는 엄마의 말을 새기면 될것이라고 하고 싶다.

사로서도 그의 인격이 무척이나 훌륭했다는 생각을 한다.전공의 생활중에서 그의 책임감이 얼마나 큰지도 보여준다.의사라는 직업에서 실패가 얼마나 괴로운지도 알게 되며서 '기술적인 탁월함이 곧 도덕적 요건'(p131)이라고 한것에서 그가 얼마나 생명에 대한 경외심이 있었는지도 알게 되었다.

그가 의사가 되기로 한 까닭이 '죽음을 뒤쫓아 붙잡고 그 정체를 드러낸 뒤 눈 한 번 깜빡이지 않고 똑바로 마주보기 위해서였다'(p104)라는 것을 밝히면서 그도 어쩔 수 없는 죽음앞에서 그 받아들임이 어쩌면 맞선다는 의미보다는 죽음이 주는 의미를 그는 마지막에 깨닫고 가는 것 같았다.

아름다운 죽음이라니 생명을 소홀히 한다는 것이 아니다.오히려 그 생명의 소중함,삶의 소중함,사랑하는 사람들의 소중함을 알아가면서 그 사실을 일깨워주고 있다는 것이다.

여기 폴은 젊은 나이에 창창한 미래와 사람하는 사람을 두고 자신의 한정된 삶의 길이를 알고 정말 열심히 사랑하고 감동적으로 자신에게 주어진 삶을 살았다.

어찌보면 우리모두가 시한부 인생을 사는 것은 마찬가지이다.단지 그 죽음의 시점을 모른다는 것뿐이다.그렇기에 주어진 삶을 어떻게 채워나가야 하는지가 얼마나 중요한지를 배운다.그것이 행복함이라는 것이다.

더 많이 사랑하고 아끼고 서로 다독이고 훌륭하지 못하더라도 내 삶을 소중히 여기고 같이 살아가는 사람들의 삶도 소중하게 여기면서 ...


<숨결이 바람 될 때>


댓글(0) 먼댓글(0) 좋아요(2)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