만화로 읽는 피케티의 21세기 자본 - 빈부격차 확대를 경고하는 피케티의 이론 만화 인문학
야마가타 히로오 감수, 코야마 카리코 그림, 오상현 옮김 / 스타북스 / 2015년 8월
평점 :
구판절판


어렵게만 생각하던 경제문제를 좀더 쉽게 이해해보는 시간이다.

피케티라는 경제학자의 '21세기 자본'이라는 유명한 저서이자 경제서인데 이 책이 꽤 유명하고 분야의 베스트셀러이지만 읽어볼 자신이 없었다..

마침 만화로 쉽게 이해할 수 있게 각색되어 발간되어 드디어 보게 되었다...

만화에는 여자주인공 히카리라는 인물을 중심으로 월급도 적고 돈을 모으기는 커녕 그것마저도 제대로 받지 못하고 그녀가 기르는 새, 문조만이 위안이되는 삶을 살아가고 있다.그 새 문조로 알게된 주변인물들 돈이 많은 이들이나 사회적으로 성공한 이들이나 소위 가진자들을 만난다.그 만남으로 겪게되는 상대적 박탈감이나 위화감을 느낄 만큼의 격차만이 실감하는 현실을 보게 된다.그러면서 그녀의 새로운 도전들이 그리 쉽지만은 아닌 환경과 현실을 직면하면서 겪게 되는 이야기로 이루어져 있다...

이 이야기 중간중간 세무사나 경제적으로 성공하여 여유로운 사람들이 등장하고 그들의 설명으로 경제에 대한 지식들을 듣게 되고 나도 마치 히카리가 된 것처럼 처음으로 알게 되는 것들도 많이 나왔다..​

고등학교 사회과목에서 나왔을 아주 기초적인 경제상식마저도 다 잊어버리고 나니 어렵기만 한 경제상식들이다.뉴스나 신문들에서 나오는 이야기도 잘 모를때가 있을 만큼 모르는 분야라고 해야한다.

그만큼 정말 만화가 아니라면 평생 읽어볼 엄두도 나지 않았을 것이다.

그리고 섹션별로 되어 있어 마치 주제를 주어지고 이야기를 하는 것 같아서 설명을 ​휠씬 알기 쉽기도 했다.

처음 나오는 주제이고 이책에서 가장 중요한 공식인 r>g조차 무엇인지 몰랐다.

읽다보니 이 공식이 이해가 가고 공감이 가기도 한다.

그런데 이것이 경제학분야에서는 이것이 공식적인 것이 아니란 것에 사뭇 놀랐다.

전문가가 아니기에 그들은 대체로 r=g라는 것이 대체적이라고 하니 왜 피케티라는 인물이 이슈가 되었는지도 알것 같았다.

여기서 말하는 것이 빈익빈 부익부의 이야기다.결론는 가진자의 성장률이 국가의 성장률보다 앞선다는 것이다.

그래서 돈을 가진 자들이 더 많이 더 빨리 돈을 가지게 된다는 것이다.

요즘 보통사람들이 말하는 일반적인 내용역시도 돈이 돈을 번다는 말이 바로 이 이야기인것 같다.

피케티의 정리로는 자본수익률 r 이 경제성장률 g 보다 높다는 것인데 역사적으로 보아도 계속 이어져 있다는 것이다.

더구나 누구나 아는 우리나라의 재벌이나 세계적으로 유명한 ​슈퍼 경영인들이 얼마나 큰 부자인지를 순위를 매길만큼 매년 연말이나 연초에 나오기도 하는데 그런 성장들이 너무 먼 이야기라서 그냥 무슨 이슈같이 느껴질때가 많았다.

돈을 가진 상류층이 10%라면 하위층이 50%가 넘는다고 한다.그런데 자본은 하위층이 가진 부분의 비율은 고작 5%라는 것이다.그것으로 살아가고 있다.그런데 세률은 상위층과 비슷하다고 하니 참 슬픈 현실이기도 하다.

어느 나라나 지금은 노동소득조차도 빈부의 차이가 나고 특히 우리나라에서도 젏은이들이나 많은 사람들이 직장을 구하기 너무나 어려운 현실로 비정규직이나 계약직으로 연명하고 그것마저도 어려워 아르바이트인생으로 살아가는 것이 현실이다.

그렇게 가진 자들이 교육의 혜택을 더 많이 가지고 그래서 더 좋은 직장을 얻고 그렇게 또 빈부의 차이는 더 벌어지게 되고 있는 것은 우리나라의 예만은 아닌 것을 알았다.

이것을 극복하는 것을 고민해야 할것이다.

분배의 문제는 참 어렵지만 분명히 해결해야하는 것이기 때문이다.

우리나라에서도 정말 중요한 과제이기도 하겠다.

이 경제적인 문제가 사회적 문제를 야기시키게 된다.

정말 경기가 엉망이라고 잘기가 점점 어렵다는 이야기를 듣게 된다.

그것이 보통의 이야기가 되어가고 있는 시점에서 정말 중요한 화두임에는 틀림없다.

에전에 어느 시사지에서 읽었는데 뉴욕의 몇몇부자가 백만달러씩만 낸다면 뉴욕의 빈곤문제는 해결된다는 것이다.그들에게 백만달러는 정말 한번의 쇼핑으로도 쓰는 돈이라고 하면서 말이다.그 글을 읽고 솔직히 조금 쇼크를 받았는데 이 책을 읽고 벌써 맞다는 공감을 하고 있었다.

씁쓸한 우리 현실에서 잘 극복해 내 갈 수 있을까...

​<만화로 읽는 피케티의 21세기 자본>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