빨간 책 - 사춘기 소년이 어른이 되기까지 지금의 나를 만들어준 불온서적들
이재익.김훈종.이승훈 지음 / 시공사 / 2015년 4월
평점 :
품절


나의 한 시대를 다시 떠올려 본다...

꽤 유명하신 분들인듯 한데 나는 솔직히 잘 모르는 분들이기도 하고 단 한번도 접하지 못한 팻캐스트의 <씨네타운 나인틴> 진행하고 현직 모 방송국 PD이시기도 하신 이재익,김훈종,이승훈 이라는 세분의 저자로 구성된 글이고 지금의 자신이 있게한 어린 시절부터 읽어왔던 자신들이 생각한 최고의 책들과 그 책의 저자들에 대한 오마쥬같은 책이다.

​빨간책​이라는 말을 생각하면 먼저 떠오르는 이미지는 우습게도 내게는 영화​<몽정기>​를 떠오른다는 거였다.

사춘기시절이나 중고등학교의 남학생들의 모습이 떠오르는데 거기서 빠지지 않은 이미지가 또한 저자들도 언급했듯이 혈기왕성한 성적호기심에서 비롯된 그런 확끈한 언니들의 헐벗은 모습을 보여주는 성인잡지인 ​<플레이보이>​같은 잡지의 모습을 떠올려진다는 것이다.

어느 분이 쓰셨는지 모르겠다.아마 이재인님으로 기억하는데 벌써 기억을 하지는 못하지만 ​<채털리 부인의​사랑>​으로 대변하는 것이기도 한다.그렇게 시작된 호기심이 나중에 그 본질을 알고 수십번 읽어서 결국에 대학에서는 도움이 될 만큼이 된 것을 보고는 솔직히 재밌었다.

미용실에서 머리를 하면서 지독히도 지겨운 시간을 이 책을 읽으면서 '큭큭'거려서 옆에 다른 손님의 눈치를 한번씩 살피곤 했다.그만큼 어린시절과 추억을 생각하기도 하고 지금의 나의 감성과 이성을 지배한 나의 이야기들도 떠오르기도 했다는 것이다.​

많이 방황하고 고뇌한 것 같은 십대시절과 이십대시절의 세분이지만 정말 책도 많이 읽고 자신의 원하는 삶을 살기위해 노력했다는 것을 알것같다. 많이 노신듯이 이야기하시지만 정착 놀지는 않으셨던 것 같다^^

그러고 보니 나의 어린 시절도 나름 놀았다고 생각된다는 것이다.

그리고 나의 빨간색들을 떠올리기도 했다.그리고 처음 중학생인 내게 충격은 집에 있던 낡은책을 발견하고 어른 소설을 처음 읽었던 이문열의 <사람의 아들>은 한 순간에 다 읽고 한잠도 못잔 경험이 아직도 생생하다.처음으로 가장 격렬하게 좋아했던 책은 루이제 린저의 <생의 한가운데>이다.루이제 린저의 다른 소설까지도 읽기도 했다.그 덕에 <생의 한가운데>를 번역한 전혜린이란 분을 알게 되고 그녀의 에세이 두권<그리고 아무말 하지 않았다><이 모든 괴로움을 또다시>를 섭렵하느라 자율학습시간을 보냈고 그다음은 <전혜린 평전>까지 읽고 한동안 그속에 빠져서 있었다.

정말 표지도 완전 빨간책인 <체게바라 평전>을 병원에 있으면서 다 읽었을때 정말 이재익님에게서 떠오르는 모습은 마치 이 책의 진짜 소유주인 나의 남동생과 오버랩되기도 했다. 고등학교때까지 교과서와 참고서를 제외한 책은 각종 만화책과 <슬램덩크>만이 전부였던 이 친구가 대학을 가자 군대를 가기전 까지 전공서적한권 구경하지 못한 녀석의 방에서 발견한 유일한 책이 바로 <체게바라 평전>이었다.병원에 입원하게 되니 집에서 책을 가져오라고 했고 너의 책도 읽고 싶으니 그것도 가져다 주라고 해서 읽게 되었는데 다읽고 돌려주는 내게 그녀석이 하는 말이 "이거 정말 다 읽었냐?'하면서 신기한 눈으로 쳐다본 기억은 잊을 수 없다.분명 지 돈으로 산것이 아니란 것도 알았지만 다 읽지 않았다는 것을 알았다.그리고 새벽에 전화해서 택시비없다면서 클럽근처로 태우러오라고 전화해서 간적이 있는데 그 날라리의 모습과는 매치가 되기 어려운 책이기도 한 기억...그것때문에 마구 웃었다...빨간책과 나이트의 조화를 그렸던 저자와 내 동생의 모습은 참 잘 어울린다^^

그리고 저자도 완독하지 못한 이 책을 나는 완독한 이상한 아이인가하면서도 막상 그 중간 부분 평전의 저자의 서술이 조금 아니 지루하기도 했다는 기억이 들기도 하였다.ㅋㅋㅋ

지금의 대학을 무사히 마치고 타국에서 모 회사생활을 열심히 하고 있으니 신기하기도 하다.그녀석의 과거을 내가 다 알고 있으니 말이다~​

책의 구성이 1,2,3부로 나누어서 있기는 한데 마구 읽어내려가서 솔직히 무슨 차이인지는 모르겠다.​그만큼 재밌었다는 이야기이기도 하다는 거다!!!

아무래도 세분이 모두다 라디오연출을 하시고 계시고 직접 진행도 하시고 계시기 때문에 그런지 마치 나와도 교감하고 있는 듯하기도 했다.

어린적은 제목보고 멋지다고 생각하는 책을 읽으면서 정말 어려워서 아직도 이해가 가지 않는 책이 내게도 있다.김훈종 저자의 <사랑의 단상>을 이야기 할때 백퍼공감을 하기도 하고 있었다~~~그리고 아직 못읽은 소설 성석제의 <번쩍이는 황홀한 순간>을 읽어보고 싶은 욕망이 들기도 했다.뒷모습의 남자에 대한 호기심에 화장실가는척하면서까지 한 이승훈저자의 에피소드는 막 귀엽기까지 했다.얼마나 민망하셨으면 꿈이라고 하셨을까하고 지금도 웃게 된다~~~

요즘은 정말 스마트폰이나 인터넷에 빠지기도 쉽기에 각자의 빨간책이 존재하기가 어려울지도 모르지만 그만큼 중요하다는 생각이 들기도 한다...

그렇게 이 세분이 책 많이 읽기를 바라는 마음에서 이 글을 썼을 지도 모르겠다...세분의 프롤로그를 벌써 까먹었는지...난 참 이기적 유전자는 정말 아닌가보다...ㅠ.ㅠ...ㅎㅎㅎ

​<빨간 책>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