영단어 인문학 - 외우지 않아도 영어와 교양이 쏙 들어오는
고이즈미 마키오 지음, 곽범신 옮김 / 로그인 / 2022년 11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세상에서 제일 재미있고 흥미있는 이야기는 뒷이야기이다. 어떤 사건의 드러나지 않고, 일반적으로 알려지지 않은 이야기나 ‘사실은 이랬다!’와 같은 이야기는 호기심을 불러일으킨다. 이런 호기심이 극단적으로 잘못된 방향으로 가면 음모론이지만 건전한 방향으로 가면 지식의 지경을 넓히는 계기가 된다.

 


우리가 흔히 접하는 영단어에 뒷이야기가 있다면 어떨까? Sandwich라는 단어가 Sandwich라는 귀족의 이름에서 왔다는 이야기는 이젠 흔히 알려진 이야기이지만 이런 이야기를 품고 있는 단어들은 훨씬 많다.
이 책은 바로 그런 단어들에 초점을 맞춘다. 120개의 단어들의 어원이라는 문을 통하여 수많은 지식을 우리에게 전달해 준다. 오해하지 말 것은 이 책은 단어장이 아니다. 제목을 보면 알 수 있듯이 영단어 인문학, 즉 영단어를 통하여 인문학을 전하고자 하는 것이 이 책의 목적이다. 인문학이라 하니 조금은 고리타분하게 느껴질지도 모르겠다. 하지만 인문학이란 말은 책이 담고 있는 지식을 아우르기 위해 어쩔 수 없이 사용한 단어에 불과하다. 영단어를 통하여 영단어에 대한 지식과 지식의 확장을 꾀하는 것은 물론이고, 과학, 사회, 철학, 역사, 신화 등을 향한 다양한 장르의 호기심을 자극한다. 




 중구난방으로 단어들을 나열하지 않는다. 7개의 주제에 따라 우리에게 익숙한 단어지만 의미에 대해서는 잘 몰랐던 단어들이 배치되어 있다. 처음 목차를 펼쳐보길 권한다. 아마도 의미 없이 휴대폰 주소록에 저장된 번호들을 보는 기분이 들 것이다. 하지만 휴대폰 번호의 주인에게도 그 사람들만의 스토리가 있고, 나아가 나와 관계된 사건들이 있었다는 것을 알게 된다면 그 번호의 의미는 남다르게 다가오지 않겠는가. 표지를 넘겨 목차를 보고, 그동안 무심히 지나쳤던 영단어들을 향해 나아가자. 책의 마지막 페이지를 덮을 무렵 이 책의 영단어는 당신과 함께 인문학적 지식의 바다로 나아가는 동반자가 되어 있을 것이다.
 

추신: 아무래도 단어를 많이 접해보았으면서 다양한 지식을 갖춘 사람에게 큰 효과가 있을 것 같다. 고등학생 이상 추천한다. 

*출판사로부터 도서를 증정받아 솔직한 리뷰를 작성했습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