페미니즘의 도전 - 한국 사회 일상의 성정치학
정희진 지음 / 교양인 / 2005년 11월
평점 :
구판절판


별 차별없이 무난한 삶을 꾸려가고 있다는 생각이 들었다. 여성이라는 피해의식에 쫓겨 날이 섰던 스무살의 나는 까맣게 잊은 것처럼. 그러나 이 책을 잡는 순간부터, 평온을 가장한 그 시간들이 '착각'이었다는 고백을 할 수밖에 없다.

"한 번 페미니스트가 영원한 페미니스트는 아니"라고 저자는 말한다. 페미니스트인 적이 있었노라고 말하기도 멋쩍지만 그런 척했던 시간은 있었다. 웬만한 필독서는 다 들춰봤고 남자선배들의 反여성적 발언과 행동에 분개하며 결혼의 불합리를 설파했던. 하지만 결정적으로 나의 젠더는 '남성'이고자 했다. 여성성을 내비치는 건 어색했고 남자들과 어울리며 나 스스로 그들과 대등하다고 생각했다. 그래서 여성주의를 부문운동이라 폄하한 진보주의자들의 언설에 가한 저자의 비판은 부끄럽지만 내게도 꽂힌다. 일상의 언어부터 거대담론까지 남성의 것이 아닌 것이 없다는 걸 왜 깨닫지 못했을까. 난 그저 그 사회를 기웃거린 주변인에 불과한 것을 말이다.

이 책의 부제는 '한국사회 일상의 성정치학'이다. 저자는 '~도전'이라는 문패가 마음에 걸렸다고 털어놨지만 그 도발성을 가라앉히는 부제 덕인지 내겐 '세다'는 느낌은 들지 않는다.  무엇보다 책의 내용이 그 '성정치학'의 메커니즘을 뚜렷하게 하고 자기성찰적인 점에서 도전자의 치기는 없다. 남성권력을 떠받치고 여성을 소외시키는 언어, '모 아니면 도'라는 식의 부박한 인식. 읽어가는 내내 멈칫했다. 내가 무심하게 던진 언설들이 얼마나 많은 차별을 재생산했던 것일까.  

성매매 방지법을 둘러싸고 나또한 혼란이 일었다. 성매매를 허용해달라는 성매매여성들의 시위를 보고 "그것봐라, 자발적이잖아"  "그럼 사지 않고선 여자를 구할 수 없는 남성들은 어쩌냐"라는 말에 꿀먹은 벙어리가 되었다. 실마리는 남성과 남성, 여성과 여성에도 차이가 존재한다는 것. 여성주의로의,  계급주의로의 일방적 환원으론 설명되지 않는 게 현실이란 것이다.  저자의 침착하고도 단호한 목소리가 미덥다.

경험적으로 여성학 책은 기울어지기 쉽다. 사례만으로도 '억~'하다 끝나거나 여성이론을 줄줄이 읊어대거나. 하지만 이 책은 그렇지 않다. 남의 말에 기대지않은 분석과 자기성찰이 돋보이는 까닭이다.

저자는 "안다는 것은 상처받는 일이어야 한다"고 말한다. "무지로 인해 보호받아 온 자신의 삶에 대한 부끄러움, 사회에 대한 분노, 소통의 절망 때문에 상처받을 수밖에 없는 일"이기 때문이다. 크기는 다를지 몰라도 부디 많은 사람들이 그 상처를 반가워할 수 있으면 싶다.

또한 "만일 여성학이 어렵다면, 그것은 여성학자가 현학적이어서가 아니라 여성주의가 익숙하지 않은 세계관이기 때문이다. 여성학의 내용이, 여성 '현실과 동떨어져 있지 않다면', 새로운 세계를 향한 상상력과 용기를 주지 않는다면 존재할 필요가 없다"는 말에 힘을 내보자. 소통과 공존의 삶이 가깝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