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처받은 줄도 모르고 어른이 되었다 - 엄마와 세상에 상처 입은 나를 일으켜줄 자존감 심리학
선안남 지음 / 글담출판 / 2018년 7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심리상담사인 작가는 세상에서 가장 먼저 한 말이 ‘나’가 아니라 ‘엄마’라는 사실에 주목한다. 엄마는 딸의 생물학적, 심리적 시계를 돌려준 생의 최초 환경이자 심리적 출발선이다.

엄마와 딸은 애증의 관계이다. 나는 엄마처럼 어른이 되면 엄마를 다 이해할 수 있을 것이라는 착각 속에서 살았다. 나이가 들면서 엄마도 엄마가 처음이라 서툴고 때로는 어린 딸에게 상처줄 수도 있다고 이해했다.

작가의 말처럼 엄마라고 해서 무조건 따스한 존재이거나 반드시 딸보다 분별 있거나 이해심이 넓고 이타적인 존재는 아니며, 꼭 그래야만 하는 것도 아니다. 그러나 우리는 언제나 딸의 짜증을 다 받아주는 너그럽고 따뜻한 엄마이기를 강요한다. 엄마는 딸이 엄마의 말에 고분고분하고 손이 안가는 착한 딸이기를 기대한다.

엄마와 딸은 서로가 잘 알고 있다고 생각하지만 일상에서 유지되어온 관계의 관성과 패턴의 무게에 짓눌려 불편한 진심을 꺼내기 가장 어려운 관계이기도 하다. 서로의 상처에 직면하기보다는 문제를 외면한다.

작가는 가족만큼 우리에게 결정적 손상을 입히는 존재도 없고, 엄마만큼 큰 상처를 입히는 존재가 없다는 불편한 진실을 직면하는 것, 그 진실을 숨기기 위해 지어온 어색한 표정과 왜곡된 몸짓들을 살피기 위해, 엄마와 딸 관계에 흐르는 모순과 불일치에 힘겨워하는 딸들에게 힘을 주기 위해 이 책을 쓰기 시작했다고 한다.

이 책에는 온전한 ‘나’, 자신만의 삶을 살아가기 원하는 딸의 이야기이다. 모두 12편의 이야기로 분석-통찰-변화하는 세 단계에 따라 구성되었다.

타인의 마음보다는 진짜 내 마음이 더 중요하므로 우리에게는 타인의 기대를 거절할 권리가 있다는 것을 알게 된다. 상처받지 않으려 애쓰는 마음이 더 깊은 상처를 가져온다. 우리는 상처를 통해 비로소 성장하는 진정한 나를 만날 수 있다.

엄마로부터 세상으로부터 상처받은 딸들에게 상처받는 것을 두려워 하지 말라고 따뜻하게 말한마디 건내준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