나의 하루는 병원에서 시작된다 - 초보 의사가 전하는 고군분투 인턴 생활의 생생한 기록!
김민규 지음 / 슬로디미디어 / 2025년 4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줄거리 소개

 일을 넘어 따뜻한 치유를 하길 원하는 병아리 의사, 인턴의 고군분투 기록


 Review

 우리나라에서 의사에 대한 인식은 정말 좋다. 오죽하면 최근 초등학생 대상의 '의대 준비반'이란 것까지 있다고 SNS에서 이야기가 있었을 정도니까.

 분명 의사는 많은 돈을 벌고, 사회적 지위도 무척이나 높은 편이다. 지인으로라도 아는 의사 한 명 있으면 괜히 어깨가 솟는 사람들도 있으니까.

 하지만 의사라고 한들 어떻게 일이 쉽기만 할까. 그 모든 게 의사에 대한 '희망편'의 이야기였다면 이 이야기는 조금 더 '절망편'에 가깝고 현실적인, 번듯한 의사가 되기 위한 병아리 의사, '인턴' 의사의 에세이다.


----------

'내가 과연 잘 해낼 수 있을까?'

하지만 이내 그런 생각들을 지웠다. 일어나지도 않은 일을 미리 걱정하는 것만큼 어리석은 것은 없다고 생각했기 때문이다. 그저 주어진 지금에 최선을 다하면 되는 것이다. 최선을 다해도 되지 않을 땐 차선을 생각하면 된다. 절대 실패나 포기를 생각하지 않을 것이다.


"오늘 내가 여러분께 이야기해 줄 것이 있어서 이 밤에 긴급히 호출하게 되었습니다. 오늘 내가 여러분께 당부하고 싶은 말은 여러분은 더 이상 '학생'이 아니라는 것입니다. 이제 여러분들 손에 누군가는 운명을 달리할 수도 있고, 또 누군가는 죽음으로부터 벗어날 수도 있습니다."

----------


 사람들은 모두 어떤 일이건 '처음'이 있다는 걸 안다. 그렇기에 미숙하고, 미숙함에서 배워나가며 점차 완벽에 가까워질 수 있다는 사실도 안다. 하지만, 그 '처음'인 일이 사람의 목숨을 살리는 일이라면 어떨까? 만일 실수로 사람을 살리지 못했을 때, 골든 타임을 놓쳐 살릴 수 있던 사람을 사망에 이르게 했을 때, '처음 하는 일은 누구나 미숙한 법이죠. 그럴 수 있죠. 괜찮아요.' 하고 넘어갈 수 있을까? 아니, 목숨이 아니라 단지 수술 중 실수를 해서 다시 해야 하는 경우만 되더라도 엄청난 난리가 벌어질 것이다. 바로 이게, '의사'가 되기 위해 짊어져야 하는 불합리한 부담감이란 말이다.


----------

해야 할 일은 명함 크기의 반 정도 되는 흰 스티커에 쓰여 있다. 간호사 선생님이 그 스티커를 내게 붙여주며 할 일을 전달해 준다.

"선생님, 3구역 ABGA요! 급해요!"

"선생님 4구역 L-tube irrigation 있어요! 급해요!"

이렇게 모두 급한 검사라고 하면서 스티커를 붙이고는 바쁘게 사라진다. 전부 급하다고 할 때 나는 무엇부터 해야 할까. 

 응급실에는 보통 80명 정도의 환자가 머물러 있다. 여기에서 생기는 모든 인턴의 일은 인턴 2명에게 맡겨진다. 한 사람당 40명의 환자를 맡고 있다 보니 벅찰 수밖에 없다. 발에 불이 나도록 뛰어다니고, 끊임없이 일을 하며 팔에 붙여진 스티커를 떼어내도 그 숫자가 줄지 않고 늘어만 간다.

----------


 에세이 [나의 하루는 병원에서 시작된다]에는 이런 모순과 그런 모순을 마주하고도 죽을 수 있는 사람을 살리는 사람이 되고자 악착같이 버티는 인턴 의사의 이야기가 담겨 있다. 응급실이라는 전쟁터를 제 발로 선택하고 그곳에서 살아남기 위해, 살려내기 위해 고군분투하는 어느 인턴 의사의 모습은 흔히 보이는 병원들 안에서 '의사'로써 일하는 분들을 다시 보게끔 만든다.


 한편, 진심으로 사람을 위한 의사가 되려는 사람이기에 담긴 고민도 에세이 속에서 선명히 드러난다. 긴급한 상황에서 최선을 다하기 위해 감정을 배제하고 이성을 유지해야 하는 의사이지만, 과연 완벽하게 이성만으로 움직이는 의사가, 사람들의 목숨을 가능성과 돈으로 철저하게 분석해서 효율적으로 움직이는 의사가 과연 정말 '옳을까?'.


----------

의사는 흔히들 감정을 드러내서는 안 된다고 한다. 정확하고 이성적인 판단을 내려야 하기 때문이다. 앞으로 마주하게 될 상황에 나는 감정이 생길 수밖에 없을 것 같은데, 의사가 될 자격이 없는 사람인지 걱정이 되었다. 그러나 한편으로는 눈물도 없는 사람이 어떻게 사람을 돌볼 수 있을까 생각이 들었다. 무엇이 옳은 것일까. 사람의 생명을 다루는 것이 단지 일이 되어버린 사람은 되기 싫었다.

----------


 정말 고귀한 고민이라는 생각이 들면서도, 생과 사의 경계에서, 어찌 보면 사람을 살리기 위해 노력하는 일이지만 그 일이 생사를 구분 짓는 사신과도 같은 일이란 부분에서 이처럼 환자들에게 깊이 생각하고 고민하는 그의 마음은 너무나 아름답고, 동시에 언제 꺾일지 몰라 불안한 한 떨기의 꽃처럼 느껴진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