생성형 AI로 웹툰 만화 제작하기 - 스테이블 디퓨전·미드저니·챗GPT
김한재 지음 / 성안당 / 2024년 4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최근 챗 GPT를 이용해 아이디어를 얻고, 더욱 자연스러운 문장으로 번역하는 것을 넘어서 AI를 통한 이미지와 영상 제작, 그리고 오디오 제작에도 높은 노력을 기울이고 있다. 직접 써보기 전에는 다재다능하고 쓰지 않으면 바보가 될 것 같은 어마어마한 효율의 도구로 느껴졌는데, 직접 공부하고 사용하다 보니 이게 반은 맞고 반은 틀린 소리라는 게 느껴졌다. 


이미지 제작을 예로 들면, 분명 '퀄리티가 높은 이미지'를 제작하는 능력은 정말 뛰어나다. 문제점은 '내가 바라는 이미지'를 제작하는 부분이다. 아무리 퀄리티가 뛰어난 이미지를 제작한다 한들, 지금 내가 바라고 필요한 이미지가 아닌 다른 형태를 던진다면 아무 소용 없다. 마치 경력이 전혀 없지만 전공 공부만은 완벽하게 해온 신입 사원을 보는 느낌이다. 시킨 일은 정말 잘하는데, 묘하게 내가 일하는 방식과 코드가 맞지 않는다. 그래서 우리는 이 신입사원이 업무에서 '쓸모가 있기' 위해, 어떻게 일을 지시해야 잘 알아먹고 행동할지를 알아내야 한다. 아무리 답답하고 열받더라도, 이 신입사원은 몇 시간씩 걸릴 일을 분 단위로 해치우고 어쨌건 준수함 이상의 퀄리티를 뽑아내는 능력자니까. 


책에서는 스테이블 디퓨전, 미드저니, 니지저니. 총 3개의 AI 툴을 다룬다. 책을 읽고 직접 사용하며 느낀 각 AI 툴에 대해 간략히 설명하자면, 스테이블 디퓨전은 원하는 퀄리티의 이미지를 제작하기는 어렵지만 숙련된다면 그만큼 정교한 작업을 자유로이 할 수 있고, 미드저니와 니지저니는 초보자도 퀄리티 높은 이미지를 제작할 수 있지만 동일한 캐릭터로 여러 이미지를 제작하기 어렵다던가, 아무리 자세히 명령 프롬프트를 제작해도 일부 누락되거나 말을 잘 알아먹지는 못한다는 것이다. 


책은 이런 각기 툴의 장단점들을 보여주며 AI 툴의 명령 프롬프트를 어떤 키워드들을 활용해, 어떻게 구성해야 하는지 정말 자세히 적혀있다. 마치 사전을 쓰듯이 책에 포스트잇을 붙여놓고 작업을 하며 필요한 페이지를 찾아보며 일하기엔 정말 좋은 책이라 생각된다. 


다만 책에서도 이야기하고 직접 느껴보기도 한 점으로, 모든 과정을 AI만 활용하면 또 효율이 떨어진다. 번거롭고 시간이 오래 걸리는 반복 작업은 AI에게 맡기고, 그 이상의 섬세한 작업은 사람이 하는 게 훨씬 효율이 높다. 마치 빠릿빠릿한 신입사원이 열심히 조사하고 정리한 자료를 통해 경력이 높은 선임이 새로운 기획을 만들고, 강조와 배제를 통해 더 효과적인 작업물로 만들듯이 말이다. 


AI 이미지 제작에 관심이 있는 사람, 그리고 AI 이미지 제작을 시도해 보고 싶은 사람은 물론이거니와 AI 때문에 자신이 희망하는 직종이나 이미 가진 직업이 위태롭다 생각되는 사람이라면 직접 AI 툴들을 공부하고, 직접 사용해 보면서 어떻게 해야 시대의 흐름에 녹아들어 바라는 일을 이어나갈 수 있을지 고민하는 것도 좋은 방법이 될 것이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