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처 주지 않고 할 말 다하는 말솜씨 - 똑같은 말이라도 이렇게 해야 마음이 다치지 않지
허야거 지음, 김경숙 옮김 / 센시오 / 2020년 5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내가 하는 말이 맞는 말이라고 한다. 해도 그것이 정답이 아닐 수 있다.

나는 정답을 얘기했다고 생각했지만 상대방은 아니었다.

그 사람에게 똑같은 말이라도 이렇게 해야 마음이 다치지 않았을 것이다.

왜 그 생각을 못 하고 나만의 생각을 전달했을까?


만약 그 사람들을 계속 만나고 있다면 나는 좋은 사람, 괜찮은 사람으로 인식되어 있을 것이라 생각한다.


상처 주지 않고 원하는 것을 얻어내는 말솜씨 그것이 바로 진정한 말솜씨라고 생각한다.
직장이든, 친구 사이든, 선후배 관계든, 가족 간에든 살다 보면 싫은 소리를 해야 하는 순간이 있다. 


상대를 생각해서 하는 말이지만 상대의 감정선을 건드리지 않으면서 내 마음을 전하기란 쉽지 않다. 나의 마음을 전달하는 것은 좋은 감정도 있지만 싫은 감정 또한 결부되어 전달되는 부분이 있다.


나는 모르지만 상대방은 듣는 입장이라 느낀다.

좋은 말이지만 싫은 말, 싫은 말이지만 참고 듣는 말, 결론은 나중에 상처를 간직한다.


거절도 그렇다. 부탁을 거절하자니 좋은 관계가 어긋날 것 같아서 부담스럽고 부탁을 들어주자니 뒷감당이 부담스럽다. 거절은 해도 하지 않아도 문제다. 상대에게 상처 주지 않으면서도 원하는 것을 얻어내는 말이 있다. 


같은 말이라도 미움받지 않고 내 마음을 담아내는 말이 있다. 바로 상처 주지 않고 할 말 다 하는 말솜씨는 이런 말을 하는 방법을 담은 책이다. 


처음에는 어떻게 그런 느낌을 말로 전달할 수 있을까?라는 의문을 가졌다.

하지만 그건 나의 짧은 소견과 생각이 들어갔다.


좋은 말을 표현하자면 쉽게 하는 방법이 있다. 바로 내가 손해를 보며 말을 하는 것이다.

내가 모든 것을 손해 보지만 모두 상대방이 옳다고 인정하는 것이다.

그러면 모든 것은 평화 속에서 잊히는 말솜씨가 된다.

상대방에게 이득이 가면 모든 것은 좋은 말투로 남는 것이다.(아그레망 생각)......


정신과 전문의이자 스피치 전문가인 저자는 먼저, 싫은 소리를 할 때 샌드위치 전략을 쓰라고 말한다. 미국의 유명한 사업가 메리 캐이 애쉬Mary Kay Ash가 상대방을 비판할 때 반드시 이렇게 말했다고 해서 유명해진 방법이다. “저는 상대를 비판할 때는 반드시 그의 장점을 먼저 말합니다. 그리고 필요한 비판을 한 다음에 다시 장점을 말합니다. 이것이 제가 고수해온 샌드위치 전략입니다. 두 개의 칭찬 사이에 작은 비판 하나를 끼워 넣는 것이지요.” 이렇게 하면 상대는 대부분 적의 없이 비판을 받아들일 수 있게 된다.



그리고 거절할 때는 오히려 상대방이 듣기 좋게 말하는 것이 좋다고 조언한다. “브리핑 정말 잘 들었습니다. 멋진 제안이라고 생각합니다. 그런데 제가 완전히 수락하기에는 조금 어려운 부분이 있네요.” 이렇게 우호적인 말을 먼저 보인 다음 거절 의사를 밝히면, 상대 입장에서 거절당하는 느낌을 완화할 수 있다.


원하는 것을 얻어야 하는 상황에서, 어떤 말을 하는가에 따라 다른 결과가 나올 수 있다. 좋은 말이 있다면 굳이 상처를 주는 말을 할 필요는 없다. 책에는 비판과 거절 상황 이외에도 사과할 때, 칭찬할 때, 제안할 때, 중재할 때, 설득할 때 등 다양한 상황에서 상대에게 상처 주지 않으면서도 원하는 것을 얻어내는 적절한 말을 솜씨 있게 담아냈다.


상대방에게 설득하고 충고하고 바른 말로 좋은 길을 안내하고 싶은 마음은 누구나 갖고 있다.


내가 옳고 상대방은 틀린 것이 보일 수 있다. 하지만 그것이 모두 정답은 아니다.

내가 옳다고 생각하고 다른 사람도 옳다고 생각하지만 논리와 이론이 변경되는 경우도 있다.

그래서 사람들은 나의 경험담 인생 담을 담아서 설명하고 설득하고 바른 길로 안내하려는 해설사가 된다.


듣는 자는 모든 것을 필터링한다.

필터링 중에는 듣기 좋은 말, 듣기 싫은 말이 있다. 

그렇다고 좋은 말만 할 수는 없다.


이런 모든 것을 조합하고 필터링해서 전달하는 과정을 알려주는 말솜씨 필독서의 방법을 이용하면 아마도 둘레에 좋은 사람으로 남을 것이며, 그 사람들은 나의 주변에 머물러 있을 것이다.


내가 바로 듣기 싫은 소리를 많이 했던 사람인 것이 느껴진다.

그 말투의 책임은 어떤 결과를 낳는지 알 것이다.

나의 주변에는 정말 나를 아는 사람만 남아있다.


다시 시작하고 다시 반성하고 다시 인지하여, 상처 주지 않고 할 말 다 하는 말솜씨로

멀리 떠나간 모든 이들을 나의 곁으로 모이게 노력할 것이다.


내가 원하는 말은 왜 다른 사람은 쉬게 편하게 말을 전달해서 마음을 다치지 않게 했을지 

반성하게 하는 필독서라 생각한다.


오늘 하루도 행복하시고 항상 ^^ 이렇게 미소 잃지 마세요...!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