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왜 학교에는 이상한 선생이 많은가? - 10년 차 초등교사가 푸는 교육계 미스터리
김현희 지음 / 생각비행 / 2017년 3월
평점 :
절판
공감할 부분이 많은 책이었다. 고등학교도 별반 다르지가 않다. 초등학교에서는 토론하고 활동하면서 함께 성장할 기회를 많이 가져볼 줄 알았는데 입시에 찌든 고3이나 초등학생이나 무엇이 옳은지에 대한 생각을 강요당하는 건 마찬가지였다. 학교가 가르침을 당하는 곳이 아닌 소통을 통해 성찰하고 성장하는 공간이 되었으면 좋겠다. 이상한 곳에서 이상하다고 말할 수 있는 사람이 되는 일은 올바른 생각과 용기도 필요하지만 직업 안정성도 밑바탕이 되어야 한다. 그런 면에서 우리나라 교육의 장점이 교사의 안정성이라고 생각한다. 일반 사교육계나 기업이 자본주의, 생존의 논리에 의해 움직이는 것과 달리 안정성이 있으므로 자기 생각을 당당히 말할 수 있는 가능성이 조금이나마 더 있다고 믿기 때문이다. 하지만 현실에서 공교육 교사는 너무나 착하다. 이상한 교사보다 무서운 게 착한 교사이다. 시키는 대로 착실히 잘하는 재능으로 지금의 직업을 갖게 된 사람들이 태반이기 때문인지 이상한 일도 잘 참고 저항하질 않는다. 아이들에게 만족하고 감사하며 착하게 살라고 말하며 올바른 길로 학생들을 인도했다며 자기만족하는 교사가 되지는 않아야겠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