세계 괴물 백과 - 신화와 전설 속 110가지 괴물 이야기
류싱 지음, 이지희 옮김 / 현대지성 / 2020년 10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평소에 판타지 영화와 전설의 이야기를 좋아하는 편이다. 무료한 일상에 현실세계 이야기보다는 판타지는 우리들에게 무한한 상상력의 세계로 인도한다. 이 책을 읽고 싶었던 것도 그와 같은 이유다. 괴물이라는 단어는 단순히 두렵고 공포스럽기 보다는 호기심이 먼저 일었다. 이제는 과학의 발달로 이러한 괴물은 존재하지 않는다고 믿고 있는 한사람으로 그 옛날 사람들에겐 과연 어떤 존재였을까? 하는 궁금증도 생긴다. 저자도 나와 같이 이러한 궁금증으로부터 이 책을 만들기로 결심했던 거 같다. 파레라는 사람으로부터 시작해 동시대의 비슷한 책을 탐구한 저자는 고대 중국과도 비슷한 관념을 발견하기도 했다. 괴물이야기는 당시 역사적 상황에 맞게 사람들에게 재앙이 닥칠지도 모른다는 소문으로 어쩌면 사람들을 통제할 수 있게 해주는 역할을 했을것이다. 특히나 중세시대에 다양한 괴물들이 등장하는데, 기독교의 막강한 영향력 아래 영향을 끼쳤으리라 본다. 그리고 이 책은 중세 이전부터 당대의 세계관 지리관을 엿 볼 수 있다. 더 나아가 동서양의 기이한 전설들이 서로에게 전해지면서 변화하고 발전해 왔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먼저 고대 근동 신화를 살펴보면, 훔바바와 파주주는 고대에 존재해왔던 괴물이라고 한다. 훔바바는 거인 괴물로 사자의 발톱과 몸통은 가시비늘과 생식기 끝엔 뱀머리, 죽음의 눈빛과 날름거리는 혀같이 무서운건 죄다 달고 있는듯하다. 가장 널리 알려진 전설은 길가메시와 엔키두가 힘을 합쳐 훔바바를 죽이고, 머리를 베어 신에게 바치는 장면이다. 이러한 전설은 페르세루스와 메두사를 떠올리게 한다. 전통적으로 무시무시한 머리형상은 사악한 기운을 물리치는데 쓰였고, 입 밖으로 내민 혀는 위협을 뜻했다. 한편, 새롭게 발견된 바빌로니아 진흙판에서는 훔바바는 문명화된 통치자로 보고 혹자는 나라로 보는 견해도 있다. 파주주도 메소포타미아 신화에 나오는 괴물로 홈바바와 형제이며 서풍과 서남풍을 주관하며 우기, 폭우, 메뚜기떼를 몰고와 큰 피해를 준다. 이와 같은 악령은 신들의 계획으로 탄생되는데, 최초 인류가 수명이 길었고, 태어나는 사람이 많아 땅에 사람들로 가득차게 되자, 신이 대홍수를 만들어 멸망시키고자했지만 살아남은 인간들이 있어, 결국은 그들의 수명은 짧게 하고, 병에 걸리게하고, 등 통제와 함께 악령들이 인간을 시험에 들게하고, 죄지은 인간을 벌하고 하게 하였다고 한다. 노아의 방주를 떠오르게 만드는 대목이다. 다음 이집트 신화부터는 점점 내가 알고 있는 괴물들이 나오는 것 같다. 먼저 아누비스는 그리스인이 부르던 이름으로 이집트어로 아나파로 발음한다. 초기에는 완전한 동물의 형상이었다 점점 신의 모습으로 만들어 졌다. 보통 검은색으로 형상화 되었는데, 검은색은 생식 능력과 환생을 상징한다. 시체를 미라로 만든 후의 색과 같고, 나일강의 비옥은 진흙색을 의미하기도 한다. 바 라는 괴물은 사람 머기를 한 새로 초기에는 영혼을 뜻했다가 이후 각종 괴물의 화신으로 여겨졌다. 인간 역시 누구나 바가 있다고 믿었고, 죽어서 미라가되면 그의 바는 태양을 쫒았다가 밤이 되면 돌아온다고 한다. 다음으로 그리스 신화는 많이 알고 있는 괴물이 많았다. 특히 페가수스와 켄타로우스, 사이렌, 스핑크스, 키메라 등 판타지 전설관련 영화에서 한번 이상은 꼭 들어볼 듯한 이름들이다. 특히나 그리스신화에 시작된 이야기는 전 세계 사람들은 다 알고 있는 만큼 인기가 많다. 그만큼 유럽 문명의 원천이라고 할 수 있을 것이다. 특히나 로마 그리스시대에 중동과 긴밀하게 교류한 시기도 있었기에 그에 따른 영향을 많이 받았다고 저자는 말하고 있다. 중동이라는 지역은 동서양이 만나는 지역인 만큼 미지의 문화권에 대한 신비스러움과 두려움을 괴물로 상상되고 있는 것 아닌가하는 생각이 들었다. 종교 전설편의 괴물을 보면 종교관련 악령을 퇴치하는 영화를 보면 심심히 않게 등장한다. 특히 몰락은 유명하다. 몰락은 가나안 지역의 신으로 어린아이를 제물로 받쳤다고 한다. 제물로 받쳐진 아이는 불에 태워졌다고 한다. 물론 현실적으론 번제의식은 사악한 기운을 몰아내기 위한 의식이었지만 실제 아이를 제물로 바친다는 것 자체가 옛날 사람들의 신에 대한 믿음이 현대인들과 비교하면 확실히 다르구나 싶다. 아바돈이라는 괴물이름도 심심치 않게 들었던 이름이다. 파괴자라는 뜻의 히브리어로, 요한계시록에 처음으로 괴물로 등장한다. 무엇보다 종교적 색채가 강한 느낌이 들었다. 예언서에 있다보니, 아바돈과 메뚜기 군단이 이슬람교 번상을 예언하고 있다는 견해도 있다. 그 다음파트로 동방의 괴물들을 살펴보자면 여기엔 생소한 괴물이 많았다. 블레미에스 얼굴이 없는 괴물, 안드로파기 사람을 먹는 종족, 파노티는 열심히 귀를 기울인다는 뜻의 몸 전체를 덮는 큰 귀 같이 다양한 괴물들이 있었다. 읽어가면서 동양에도 다양한 괴물이 있었고, 유럽으로부터 전파된 괴물들도 있었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이제 마지막 장인 유럽의 괴물들을 보면 너무나도 잘 알고 있는 괴물들이 많았다. <해리포터><신비한 동물사전> 등 정말로 좋아하는 영화에서 이미 선행학습을 거친 괴물이름이 많이 눈에 띄였다. 유니콘, 와이번(날개달린 두발용), 늑대인간, 그리핀, 비숍, 맨드레이크, 바실리스크 등 워낙 들어봄직한 괴물들이 많아서 읽으면서 아는 괴물을 찾는 즐거움이 있었다.

이 책을 읽으면서 확실히 많은 작가들이 소설이나 책을 쓸 때 상상력의 반경을 확장 시킬 수 있을 것이라고 생각이 들었다. 우연이든 아니든 여러 문화들이 서로에게 영향을 주었고 그러면서 괴물의 이야기도 더욱 상상력을 더해 퍼지고 있었다는 것도 알 수 있었다. 이 책 덕분에 주말에 재미있게 시간을 보낼 수 있었다. 괴물이 마냥 징그럽고 무섭다는 편견보다 왜 이런 괴물이야기가 만들어졌는지, 그리고 다양한 문화들이 서로 어떻게 전파되었는지도 살짝 엿볼 수 있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