디자인, 경영을 만나다 - 잘 나가는 기업을 만드는 디자인 경영
브리짓 보르자 드 모조타.슈타이너 발라드 앰란드 지음, 염지선 옮김 / 유엑스리뷰 / 2021년 10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디자인 > 디자인 경영 > 디자인 씽킹

오늘날에는 디자인이 중요시 되어지고 있다. 또 디자인의 범위가 점차 넓어지고 있다. 옛날에는 디자인하면 제품 디자인, 로고 디자인 정도만 생각했다. 이건 이렇게 만들고, 저건 저렇게 만들고, 그래서 디자이너의 위치도 봉급도 그리 높지 못했다. 그저 제품이라는 큰 본질의 외형을 담당하는 존재였기 때문이였을까. 하지만 오늘날에는 이러한 디자인이 범위부터 달라졌다. 디자인의 개념도, UX,UI디자인, 브랜드 디자인 등 훨씬 다양한 개념들이 들어왔다.

하지만 이 책에서 중점적으로 얘기하는 것은 이러한 디자인이 아닌 디자인과 경영의 관계이다. 사실 아무 상관 없어 보이는 두 단어이지만 효과적인 기업 경영을 위해서는 꼭 필요하다고 책은 이야기한다. ‘디자인을 어떤 일의 과정 혹은 사고방식이 될 수 있으며, 가설을 정립하거나 비판하는 것 모두 디자인의 영역이다.‘ 디자인으로 기업의 경영을 해결 할 수 있는 것이다. 다만 경영진은 성과에 대한 지속적인 압박 속에서 디자인적인 생각으로 기업을 전환시켜야하는 어려움이 있다.

 

이 책에서는 디자인 경영의 5과제

혁신 , 고객 경험, 인적 자산, 경쟁 우위, 디지털 기술력 이 5가지를 중심으로 책이 진행 된다.

 

함께 이루어 낸 힘은 강압적이지 않고 협력적이다

디자인 경영 속 조직을 변화시키는 모습이다. 좋은 회사에서는 자유로운 분위기로 자신의 능력을 최대한 꺼내며 회사의 발전과 자신의 발전을 이끌어 낸다. 디자인 경영을 진행했을 경우 회사는 보다 효과적인 공간으로 변화되어 간다. 옛날 방식의 보고가 아닌 다지안을 바탕으로 한 전략, 계획 등을 사용하여 효과적인 비즈니스를 시작하는 것이다.

 

내가 이해한 디자인과 경영의 결합은

디자인을 하는 사람들의 생각, 디자이너가 작품을 만들어내는 과정을 회사 경영으로 가져온 것을 말한다고 생각한다. 어떤 것을 목적으로 하는 지 그 해결법은 무엇이 있는지 디자이너들은 시각화하고 그 문제를 해결해나갔다. 이러한 방법을 경영에 적용한 것이다. 계획을 시각화하고, 중요한 주제들을 디자인적으로 생각하는 것이다.

 

오늘날 디자인의 중요성은 점차 높아지고 있다. 디지털 시대가 되면 될수록 기존의 제품, 서비스만 좋으면 되었던 서비스들이 소비자를 위해 모든 것이 디자인 된 모습을 보여주어야하는 시기가 찾아왔다. 하지만 제대로 디자인 경영을 사용하는 회사는 많지 않고 디자인조차 활용하는 경우가 아직 많지 않다. 이럴 때일수록 열린 마음으로 목표를 위한 경영 방식의 혁신과 브랜드 이미지 창출, 회사 자체 내부의 변화가 필요하다.

 

이 책은 그저 조사와 컨설팅, 디자인과 비즈니스, 이론과 실무를 연결하는 다리를 놓기 위해 노력했을 뿐이다.’ p183

 

회사를 다니는 사람들, 경영 혁신을 생각하는 사람들, 그리고 오늘날의 혁신적인 기업의 중심을 알기 위한 사람들에게 이 책이 필요하다고 생각한다.

 

마지막으로 책 표지에서 두 원이 겹쳐지고 교집합 되어지는 부분이 위로 빠져나와 있는 모습이다. 처음에는 무언가 사과 같은 모습이였지만 그 뜻을 책의 마지막 페이지까지 읽어내고서야 알았다. 디자인과 경영, 그 교집합을 끌어낸 책이라는 뜻이였다.

 

함께 이루어 낸 힘은 강압적이지 않고 협력적이다. - P118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