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장군 흑치상지
신규식 지음 / 산마루 / 2012년 10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백제부흥운동..
"백제 멸망 이후 4년간에 걸쳐 백제의 왕족, 유신, 유민들이 백제를 다시 일으키려 한 운동.
중고등학교 시절에 배웠던 백제멸망후의 부흥 움직임에
단 몇글자로 요약된 인물, 흑치상지. 그저 백제 멸망시기의 유명한 장군정도로
알려져 있고, 이후 당나라로 건너가 큰 장수가 된다. 20세기 초반에
그의 무덤이 발굴됨에 따라 그에대한 많은 사실들이 드러나게 되었다.


대장군 흑치상지는 이러한 사실을 배경으로 한 대하 역사소설이다.
무릇 역사소설이란 역사적 배경이란 장치 위에 작가의 상상력이 더해져
이루어지는 드라마이다. 즉, 소설이기때문에 어느정도의 픽션이 가미될 수 밖에 없다.
이 소설 역시 큰 줄기 외에는 작가의 상상력이 더해져 흑치상지라는
우리에게 조금 낯선이의 모습을 해석해주고 있다.


백제 중심의 소설이다보니, 백제 내부상황에 대한 이야기가 많이 나온다.
사실 삼국통일 이후의 역사는 신라중심이기에 백제가 왜 그시기에 멸망했고,
또 부흥운동이 어떤식이었는가에 대한 고민은 철저하게 신라중심이다.
반해 이 소설은 또 다른 관점의 백제 멸망기를 그려가고 있다.
또한, 저자가 이야기하듯, 힘대 힘의 격돌이 아닌 '간계와 첩자'에 의한
백제 멸망을 통해 단순히 백제가 나/당 연합군의 힘에 밀려 멸망한 것이 아님을 보여준다.


흑치상지의 또 다른 모습은 당나라 장수로서의 이야기이다. 우리에겐 고선지라는 유명한
사례가 있는바, 흑치상지도 그에 못지않은 장수였음을 이야기한다. 비록 조국의 멸망을
그저 지켜볼 수 밖에 없었던 정치적 상황에도 불구하고, 그는
당나라 장수로서도 그 본분을 다해 이민자로서 이를 수 있는 최고의 지위에 이르게 된다.
물론, 그 말미는 비참했지만, 그것은 그의 출신에 따른 어쩔수 없는 한계였는지도 모른다.


한반도와 중국대륙을 넘나들며 그 존재감을 높인 흑치상지. 비록 모국의 멸망으로 인해
우리에겐 그저 한줄로만 기억될 인물이지만, 싸울아비로써 평생을 다 했던
그의 흔적들은 국가가 품지 못하는 인재의 유출이란 측면에서 시사하는 바가 있지 않을까.
분명 애국심은 그저 저절로 만들어지는 것이 아니기때문이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