처음 처음 | 이전 이전 | 1 | 2 | 3 |다음 다음 | 마지막 마지막
천 개의 찬란한 태양
할레드 호세이니 지음, 왕은철 옮김 / 현대문학 / 2007년 11월
평점 :
구판절판




    언젠가 내가 글을 쓰고 싶다고 이야기했을 때, 어머니는 그냥 당신의 이야기를 쓰면 될 거라고 하셨다. 한 개인의 평범한 일생이 시대의 굴곡을 견뎌낸 삶 그 자체라면, 그 무엇보다도 진실된 소설이 될 수 있을 것이다. 내 배움은 어쩌면 수많은 사람들의 일상 속에서 해체되어 마땅한 것인지도 모른다.


   <천 개의 찬란한 태양>의 마리암과 라일라는 실존인물이 아니다. 그러나 이 이야기가 내재하고 있는 아프가니스탄의 수많은 여성들을 떠올려보는 순간, 이 이야기보다 더한 이야기가 산재해있으리라는 것은 자명해진다. 그렇기에 그녀들이 당연하게 여기며 감내할 무수한 일생들 속에서 호세이니의 글은 우리에게 닿은 하나의 진실이 된다.


    이 책은, 짐작했겠지만, 굉장히 슬프다. 단지 텍스트일 뿐인데 나는 그녀들의 아픔에 공감하며 눈을 찡그렸고, 숨을 쉬지 못했고, 끝내 눈물을 흘렸다. 문학적 실천이 가진 힘을 마주하기에 굉장히 좋은 책이다. 때로 책은 문학적 실험의 장이 되기도 하지만, 때로는 강력한 무기가 된다. <천 개의 찬란한 태양>은 후자에 속할 것이다. 아주 강력한 메세지를 품고 있으니까. 인간은 왜 인권을 말해야 하고, 지금의 인권이 불완전하다는 고민을 끊임없이 해야하는가. 누가 이러한 질문을 한다면 난 그 답으로 이 책을 이야기 하게 될 것 같다.


    여성 캐릭터들을 투톱으로 세웠다는 점이 돋보인 책이기도 하다. 전쟁과 폭력의 이면, 남겨진 이들에 대한 글, 그리고 그런 주제의 좋은 글은 그리 흔치 않다. 그래서 이 책이 유의미하다. 작가는 두 여성 주인공을 미화하느라 종이를 소비하지 않고 동정으로 글을 가득 채우지도 않는다. 작가는 중도를 지킨다. 그렇기에 캐릭터들이 살아난다. 너무 오랜 시간 사생아라는 굴레에서 벗어나지 못하고 괴로워했기에 차라리 부르카 안에서 자유를 느꼈다는 마리암, 자신이 남편에게 이러한 폭력을 당해도 싼 인간인가 라는 질문과 그에 대해 아니라고 자답하기에 이십여년이 걸린 마리암. 적법하지 않게 태어난 삶에게 어울리는 적법한 마지막이란 말이 얼마나 사무치게 아프던지. 라일라의 운명 역시 기구하기 짝이 없었지만 타리크와 재회했기에 일말의 위안을 얻는다. 그리고 문득, 다시 서글퍼진다. 타리크와 재회하지 못한 라일라들이 얼마나 더 많을지 나는 모르므로.


    그리고 가장 슬픈 것은, 아프가니스탄에 아직 탈레반이 잔존하고 있다는 것이다. 현실은 소설이 아니다. 그것은 더욱 잔혹하고 끔찍하다.




 

타리크의 이야기를 들으며 라일라는 자신의 삶을 상상해 보았다. 섬유질이 분리되어 아래로 툭 떨어지는 썩은 사과 같은 삶.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호밀밭의 파수꾼 민음사 세계문학전집 47
J.D. 샐린저 지음, 공경희 옮김 / 민음사 / 2001년 5월
평점 :
구판절판


10대를 기억하는, 유리의 파편을 닮은 예리함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문학의 숲을 거닐다 - 장영희 문학 에세이
장영희 지음 / 샘터사 / 2005년 3월
평점 :
구판절판


따뜻하고 아름다운 에세이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호밀밭의 파수꾼 민음사 세계문학전집 47
J.D. 샐린저 지음, 공경희 옮김 / 민음사 / 2001년 5월
평점 :
구판절판


10대 시절을 기억하게 하는 어른소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알로하
윤고은 지음 / 창비 / 2014년 6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오랜만에 한국 소설이 읽고 싶었다.


 사실 나는 한국 소설을 즐겨 읽지 않는다. 소설에서 한국 냄새가 짙게 난다고 해야 하나, 한국 특유의 정서로 점철된 그 느낌이 싫었다. 외국 소설을 읽을 때면 -문화적 차이가 주는 이질감 때문인지는 알 수 없지만- 한 명의 작가가 좋아 그 작가의 여러 작품을 읽어도 쉽사리 질리지 않는 나다. 그런데 유난히 한국 소설에서는 그것이 힘들었다. 반짝 빛나고 지는 작가가 아니라 세대를 뛰어넘어 시대를 살 수 있는 작가가 정말, 현대에는 존재할 수 없는 걸까. 지금까지 걸었던 기대가 몇 번이고 꺾였기 때문인지 한국 소설은 유난히 손에 잡히지 않았다.


 그런데 최근 들어 한국 소설이 읽고 싶었다. 번역된 우리말이 아니라, 글감부터 우리말로 고민되었을 그런 책. 한글로 구성되고 한글로 쓰여진 그런 책 말이다. 언젠가 한겨레21에서 읽었던, '카메라는 빛에게 빚졌다'와 같이, 순수한, 언어의 감동을 느끼고 싶었기 때문에.


 후보군은 두 권의 책이었다. 윤고은의 '알로하'와 전경린의 '천사는 여기 머문다'. 크게 의미를 두고 선정한 것은 아니다. 단지 오랜만에 들어간 알라딘 온라인 홈페이지에서, 추천하는 몇 권의 한국문학 중 내 시선을 사로잡은 책이 이 두 권이었다. '알로하'를 읽기로 결정한 것은 그 제목 때문이었다. 마침 내가 진 리스의 '한밤이여, 안녕'을 읽고 난 이후여서 외롭고 고독하고 우울한 감정과는 결별을 선언하고 싶었다. 제목만 들어서는 '알로하'가 훨씬 매력적이지 않은가. 책 표지도 예쁘고.


 사실 '알로하'는 '한밤이여, 안녕'을 벗어나기 위한 선택이었지만 그 선택이 100% 옳았다고 하기도 꺼림칙하고, 틀렸다고 하기에도 꺼림칙한 책이다. 절대 유쾌하지 않다. 그렇지만 우울하지만도 않다. 책의 내용은 굉장히 매력적이다. 깔끔하게 처리된 단조곡을 들은 느낌이라고 표현하면 될까. 굉장히 매끄럽게 헛헛함을 풀어냈다. 지금 읽기에 딱 좋은 소설이다. 가을의 정취도, 겨울의 정취도 아니다. 장마가 들이닥치기 전, 분명히 물방울을 머금고 있음에도 어쩐지 건조한 바람이 부는 그런 여름철. 먹구름이 끼어 곧 비게 오겠구나 싶은데 아직 비가 오지 않는 그런 시점에 2시간 정도를 투자해서 읽으면 정말 잘 어울리는 그런 책이다.


 이 책은 단편들을 모은 소설집인데도 굉장한 흡인력을 자랑한다. 다만 각 소설의 발표 시점이 크게 차이가 나지 않기 때문인지 소설들 사이에는 자연스럽게 교집합이 형성된다. 그런 점에서 소재나 구성력의 반복은 다소 아쉽지만, 완전히 현실을 잃어버리지도, 잊지도 않은 않은 환상을 불투명하게 그려냈다는 점이 좋았다.


 아홉가지 단편 소설 중에서 해설은 '알로하'가 가장 아름답다고 말했지만, 나는 'P'가 가장 인상적이었다. 엉킬 만큼 엉켜서 어디서부터 해결을 해야 하는지 알 수 없는 현실을 짚으면서도 개인의 심리적 불안감을 무리없이 나타냈고, 그녀의 언어 선택은 재치있으면서도 간결했다. 


 다시 한 번, 기대를 걸어본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4)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처음 처음 | 이전 이전 | 1 | 2 | 3 |다음 다음 | 마지막 마지막