철학, 영화를 캐스팅하다 - Philosophy + Film
이왕주 지음 / 효형출판 / 2005년 8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디지털 시대 대중매체의 과잉으로 영상물이 범람하는 시대다.

이 시대 예술의 총아는 누가뭐래도 영화가 될것이다.

아는 만큼보이는것이 종합예술이라고 했던가,, 이름있는 몇몇 평론가의 평을 영화를 볼때 중요한

기준으로 삼았던 내가 철학이란 다른눈으로 영화란 텍스트에 접근할수 있도록 배려해줬다는 점에서

전환적인 시각의 필요성을 제시해준 책이었다.

흔히 영화문법이라고 하는 기존의 편협한 시각들,, 기술적인 테크닉이나 기교를 보고 저영화는 B급영화니 ,,무엇의 아류작들이니하는 속단을 필자는 자제해 줄것을 자신만의 영화와의 놀이로 구체적으로 보여준다.

다가가는 방법, 해석의 방법에 따라 자신의 삶을 치열하게 성찰할수 있는 중요한 도구가 영화가 될수 있다는 가능성,,  필자의 진부하지만 이 간명한 메시지에 동의하지 않을수 없다.

이책은 철학적 사고를 위한 책이기보단 '영화'란 매체를 매개로 여러 철학사상을 열거하고 그것들의 구체적이고 일상적인 얼굴들을 드러내고 있다. 현실과의 간극,괴리의 지평 저쪽에서 난삽한 내용을 이해못해 뇌세포를 쥐어짜는 독자들을 관조적으로 바라보는 기존 철학서적의 지은지들과 분명한 차이를 보인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3)
좋아요
공유하기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