그게 뭐라고 자꾸 신경이 쓰일까? - 자꾸만 예민해져서 삶이 피곤하게 느껴지는 이들을 위한 심리해부서
차희연 지음 / 팜파스 / 2017년 2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겉으로는 너무나 즐겁고 행복한 이미지를 가지고 있는 나는 사실 엄청나게 예민한 성격을 가지고 있는 사람이다. 누가 봐도 걱정은 1도 없고 긍정적이고 잘 지내는 사람으로 보일 듯한 나의 성격. 근데 나는 알고 있다 내가 얼마나 예민하고 예민한지를.

이 책 제목 과 의 책의 설명을 보면서 엄청나게 공감이 되더라.

자꾸만 예민해져서 삶이 피곤하게 느껴지는 이들을 위한 심리해부서.....

처음에 딱 책을 읽었을 때 왜이렇게 뻔한 내용들이 적혀있을까 하고 보기 시작했는데 다 읽고 난 지금 이순간 생각해보면 구성이 참 잘되어있다고 생각 되어진다.

챕터 1을 보다보면 참으로 공감이 된다. 예민한 내가 가지고 있는 불안감. 

그리고 그 예민함이 문제라고 생각하고 있는 나의 생각을 보고 있는 것 처럼 이야기하고있다.

예민한 성격에 참으로 속상한 적이 많았다.

타인은 아무렇지 않게 생각하고 행동한 것들에 나만 예민하게 구는건 아닌지. 그런 예민한 성격을 가지고 있는 내가 잘못된건 아닌지 그리고 그런 특이함에 불안해 하고 속상해 하고 반복적으로 생각을 하다보면 거듭해서 과도하게 생각의 쏠림이 시작되는 것 같다.

책에서는 예민함에도 종류가 있다고 말하고 있다 예민함에도 강도가 있고 각각 다 다르다고 설명하고 있다. 내가 가지고 있는 가장 큰 예민함은 대인관계에서의 예민함인 것 같다. 챕터 2에서는 그 민감한 감각 예민함이 특별하다고 설명하고 있다. 어쩌면 축복받은 존재일지도 모른다고 이야기한다. 책은 사회생활을 예로 하여 이해하기 쉽게 설명하고있다. 눈치 없는 사람 vs 눈치 빠른 사람

책은 중간중간 설문도 하고 생각도하며 나의 예민함을 확인 할 수 있게 만들어져있다. 이 책을 읽으며 시각적 민감함을 가지고 있는 나를 알게 되었다.


나는 평소에 시각적으로 관찰을 아주 잘한다. 처음에는 직업병으로 모든 요소에 분석을 하려나 하고 생각하긴 했는데 지금 생각해보면 그게 아닌 것 같다.


팩트는 이 한줄이 아닐까


'관찰력'이 '예민함'이 스트레스가 되는 것이 아니다. 

이를 계속 부정적으로 추측하고 생각하는 것이 스트레스가 되는 것이다.


나의 예민함을 나쁘게만 생각하지 않고 긍정적으로 생활에 잘 활용하는 것!

넘쳐나는 생각을 멈출줄도 알고 그것을 컨트롤 하는 것!

부정적인게 아니고 특별하다고 생각하는 것 !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