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상병 환자들
브라이언 딜런 지음, 이문희 옮김 / 작가정신 / 2015년 10월
평점 :
절판



나는 몇년 전부터인가 소화불량이나 장염 두통 와도 병원을 가지 않았다. 


어차피 이유는 스트레스고 가봤자 똑같은 약을 주고 쉬고 스트레스 받지말고 ... 등등의 말만 하기 때문에 병원에 가야 이유를 찾지 못하고 그냥 쉬거나 잠을 자거나 한다.


심기증이란 무엇일까


심기증[hypochondria] 자기의 건강에 대하여 필요 이상으로 염려하는 상태. 


위에서 내가 병원을 가지 않는 이유는 스트레스 때문이라고 생각하는 것도 있지만 모든게 내 마음에 따라 아픈것 같은 증상이 나타나서이다. 심기증도 내 마음이 만들어 낸 그런 병이 아닐까 싶다.


프롤로그에서는 이렇게 말한다. 


“다른 사람의 고통을 보기만 해도 몸이 아파오고, 계속 기침하는 사람이 곁에 있으면 내 폐와 목도 간질 거린다.”


위 글을 보고 나는 너무너무 공감되서 웃음이 났다.



내가 말한 아픔의 기원을 심기증이라고 하고 사람들의 위대한 성취를 낳은 또한 심기증이라고 책에서는 말하는데 무슨 이야기인지 조금은 어렵게 느껴지면서 동시에 심기증에 대한 흥미가 생기기 시작했던 것 같다.

책에 나오는 9인들에게 약간의 유대감도 느껴지는 같고 그들의 삶을 보며 자신에 대한 삶도 돌아 보고 싶어서 이 책을 읽게 된 것 같다. 


정말 너무나도 공감되는 내용이다.


결국 삶이 , 아니 죽음이 최후의 승자가 될 것이므로 우린 심기증에 속아 넘어갈 수 밖에 없다.


우리를 괴롭히는 증상들이 과연 진짜인지 상상인지 갈피를 잡지 못한 채 병원 대기실에서 기다리는 우리에게 


우리보다 앞서 이곳을 다녀간 이들의 지혜와 그들이 이곳에서 얻은, 존 던도 깨달은 교훈은 큰 위안이 될 것이다.



“ 건강은 없다. 우리는 기껏 중립 상태를 누릴 뿐이라고 의사는 말한다.


  그런데 우리는 결코 건강하지 않으며 건강 할 수도 없음을 아는 것 보다 더 나쁜 병이 있을까?” 




9인에 대하여 내가 알지 못해서 읽는 중간중간 이해가 되지 않는 부분도 사실 있었다.


쉽게 느껴지는 책은 아니었지만 작가가 정말 많은 기록,일기를 보고 연구하고 있는 것을 느낄 있었다.


에피소드 마다 내가 시대에 있는 처럼 묘사를 정말 잘하고 있어 생동감 있게 흘러러가는게 인상 깊었고 인물들의 심기증이 마음으로 느껴서 마음이 아프고 슬프기도 했던 같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