먼저 이 책을 읽으면서 내가 얼마나 장애우에 대해 알지 못하는지 알게 되었고 왜 장애우의 욕망에 대해 한번도 생각지 못 했는지도 알게 되었다. 우리 나라에서는
타이완처럼 집 밖에서 장애우를 자주 만나는 일상은 잘 없는 것 같다 나는 그렇다. 그렇기때문에 미지의 사람들이라 막연히 생각하고 나와 같이 사랑하고 싶은 욕구가 육체적 행위로 반드시 나아가야한다는 걸 인식하지 못 했다.
인간은 정서적 육체적 교감 작용이 필요하다
포르노나 야동 화면으로 사랑하는 이의 숨결과 몸짓을 느낄 수는 없다. 이러한 교감이 나 자신의 자신감과 사회화 자존감에 크게 영향을 미친다는 걸 누구나
알지만 장애우는? 하는 마음이 클 것이다
지은이가 내세운 여러 사례를 보면 처음에는 조금 충격스러우나 우리 직립인들은? 한국 사람들은
조금도 자신의 욕구를 채우는데 숨김이 없다는 걸
깨닫게 되면서 일반인이 더 하면 더 했지 전혀 이상하지 않고 단지 내 편견에 기인한 것이로구나 곧 느낄 수 있다.
최근에는 주택가까지도 점령한 모텔, 그 옆에 노래방에 붙여진 항시 도우미 대기 문구 휘황찬란한 단란주점
불빛들
과연 일반 직립인이라고 당신들 욕구만 채우면
다인가요? 욕구는 참으면 병된다는 그 말
장애우에게도 인정해줘야한다
사실 이 부분은 여성도 그렇다
여성이 자유롭게 성생활을 못 하는 인식도 장애우의 성욕만큼이나 무성욕화 되었으니까
아직도 우리 나라는 지은이의 나라 타이완보다
해결할 일이 너무나 많다

내 사랑이 이상한가요?
다양한 신체와 정신을 가진 사람들이온몸을 힘차게 밀어 찾아 나가는따뜻한 체온과 완벽한 교감의 순간가장 첨예한 질문을 안고가장 뒤늦게 도착한 사랑 이야기이 책은 장애인의 사랑과 성에 관한 거의 모든이야기와 쟁점을 망라한다. 나아가 우리에게 사랑과성의 본질이란 무엇인지, 성적 자기결정권의 온전한실현이란 어떤 경우를 말하는지, 정상적인 성과비정상적인 성은 누가 규정짓는지 등 여러 근본적인질문을 성찰하도록 돕는다.
무엇보다 나는 이 책에서 용감한 사람들을 만나는 일이즐거웠다. 수많은 우려와 편견, 냉대와 무시를 뚫고자신의 신념과 욕망에 의지해 자유를 찾아가는 이들의모습은 감동적이다. 성소수자이면서 장애인인 즈젠의말처럼 "용감하게 자기 길을 걷다 보면 우리는 더아름답고 새로운 세계를 보게 될 것이다.
김원영 (변호사, 『실격당한 자들을 위한 변론』 저자)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