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은 어떻게 작동하는가]을 읽고 리뷰 작성 후 본 페이퍼에 먼 댓글(트랙백)을 보내주세요.
-
-
서울은 어떻게 작동하는가 - 그리고 삶은 어떻게 소진되는가
류동민 지음 / 코난북스 / 2014년 12월
평점 :
절판
서울에 관해 얘기하는 것은 어려울까, 쉬울까? <서울은 어떻게 작동하는가>를 읽고 싶어 손에 들었는데 괜한 심술이 일었다. 스스로에게, 그리고 이 책의 저자 류동민에게. 답을 내리는 데 고민은 없었다. 아마 쉬웠을 것이다. 한국에서 도시 공간을 경제학적으로, 인류학적으로 들여다보고 싶다면, 서울밖에 없다. 물론 부산이나 광주도 있다. 하지만 부산과 광주는 그 지역성과 역사성 때문에 늘 주제의 한계에 부딪힌다. 경기도 부천이나 전라도 임실에 대해서도 얘기해볼 수도 있겠지만, 한 권의 책으로 엮을 만큼 분석거리가 있을까? <서울은 어떻게 작동하는가>를 읽으며 내내 불편했던 이유는, 이 책이 꼬일 대로 꼬인 서울의 불평등과 양극화를 줄줄 읊어대기 때문만은 아니었다. 그냥 ‘또 서울이구나, 이야깃거리는 서울에 몰려 있구나, 서울에 사는 사람들이 서울에 몰려 있는 대형 서점 판매대에서 이 책을 집어 들겠지’라는 생각에 답답해졌다.
류동민도 답답했을 수 있다. 그래서 그는 딱딱하고 건조하게 서울을 이야기하지 않는다. 어릴 적부터 서울에서 살았다는 류동민은 서울에 기본적인 애정이 있는 듯했다. 서울에서 겪은 일들에야 당연히 고개를 세차게 저으며 떨쳐내고 싶은 아픔과 처절함이 있었겠지만, 문장 사이마다 드러난 옛 추억에 대한 감상이 묻어났다. 저자 스스로 한번쯤은 쓰고 싶었던 톤이었던 것 같다. 아마 아직도 386세대로 불리는 사람들은 더 공감하며 읽을 수 있는 서울에 대한 글인 것 같다.
서울은 ‘동족 속의 소수’의 집합이다. 서울대에는 강남서울대나 외고서울대가 있고 기균충과 지균충이 있다. 상위 1%가 간다는 서울대는 ‘동족’인 듯 동족이 아닌 소수자가 살고 있고, 때때로 논리도 없이 차별 당하고 배제 당한다. 잘 생각해보니 서울이 아니라 한국이 그렇다. 무서운 건, (영화 <하녀>에서 늙은 하녀 역을 맡은 윤여정이 말한 대사처럼) “아니꼽고 더럽고 메스껍고 치사한” 서울을, 한국을 ‘그러려니’ 받아들이는 과정이다.
그러니까, 이 책은 내 ‘처지’를 재차 확인시켜주었다. 내가 드라마 <미생>을 보지 않았던 이유가 하루에 회사를 두 번 가고 싶지 않아서였다. <서울은 어떻게 작동하는가>는 나를 계속해서 서울의 현실로 소환했다. 서울살이가 피곤하지만 피하고 싶지 않다면 읽기를 권한다.
* 알라딘 공식 신간평가단의 투표를 통해 선정된 우수 도서를 출판사로부터 제공받아 읽고 쓴 리뷰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