철학 브런치 - 원전을 곁들인 맛있는 인문학 브런치 시리즈 1
정시몬 지음 / 부키 / 2014년 10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철학 브런치라니. 브런치라는 제목에 가벼움을 느끼기보다 도발을 느꼈던 것은 왜였을까. '감히' 철학을 브런치처럼 즐긴다는 말인가. 이 꽉 막힌 사고회로 때문에 아직 들춰보지도 않은 책에 살짝 심술이 일었다. '얼마나 브런치스럽게 철학을 말하는지 두고보자' 하는 유치한 마음이었달까.

 

약간의 심술과 의구심을 품고 책장을 펼친 것치고는, 아뿔싸, 완전히 말려들었다. 순전히 이 책의 저자 사이먼 정이 이야기꾼이기 때문에 철학은 순식간에 '이야기'로 변신했다.

 

그는 철학 원전을 읽고 기억하고 풀어내는 자신의 내공은 겸손하게 감추면서, '어떻게 하면 사람들이 소크라테스를, 볼테르를, 니체를 직접 만나고 싶어 안달을 낼까? 어떻게 안내하면 좋을까?'를 고심하며 글을 쓴 것 같았다. 그리고 세간에 널리 알려진 소위 '명언'들이 실제로 원전에서는 어떤 맥락으로 쓰였고, 그것이 책 밖으로 나와 수십, 수백 년을 지나면서 어떻게 각색되어 소개되었는지 등을 '팁'처럼 알려주기도 한다. 소크라테스는 정말 "악법도 법이다"라고 말했을까? 니체는 왜 "신이 죽었다"라고 선언했을까?

 

이런 소소한 재미가 철학이 지루하고 어렵다는 편견, 아니 철학을 다룬 이 책이 지루하고 어려울 것이라는 편견을 깨뜨린다. 오히려 다음 철학자, 그러니까 '다음 이야기'를 궁금해 하며 책장을 넘기게 만든다. 

 

이 책은 언제 어느 철학자를 골라 읽어도 큰 탈은 없을 것 같다. 흥미롭게 생각해왔던, 한번 만나보고 싶었던 철학자가 있다면 그 페이지부터 책장을 넘겨도 좋겠다.

 

내가 이 책에서 새롭게 본 철학자는 아우렐리우스이다. 『철학 브런치』에서 아우렐리우스를 발견한 것은 마치 강창래의 『책이 정신』에서 발견한 동양 사상가 '묵자'에 버금가는 것이었다. 개인적으로 현실정치에 발을 붙이고 있던 사상가에게 관심이 많은 터라 유독 꽂혀버린 것 같다. 아우렐리우스가 쌓아 올린 스토아 철학 자체는 복잡하게 지지고 볶는 현실과 거리가 있어 보이지만, 그가 후대에 철인왕으로 칭송받는 이유는 스토아 철학에 있을 테니, 어떤 사람이 현명한 군주(정치가)인지에 대한 실마리를 얻을 수 있을지도 모르겠다.  

 

이 책은 그저 철학 겉핥기에 불과하다고 비난하는 사람이 있을지도 모르겠다. 일리 있어 보인다. 그러나 그것은 이 책을 비난할 이유로는 전혀 설득력이 없다. 이 책의 목적은 '깊이'가 아니라 '재미'에 있기 때문이다. 깊이를 원한다면 당연히 원전으로 직행하는 게 낫다. 한 가지 확실한 것은,『철학 브런치』가 어떤 철학을 공부하고 싶은지 결정하지 못한 사람들에게는 좋은 지침서가, 철학에 처음 '도전'하고자 하는 사람들에게는 친절한 안내서가 될 것이라는 점이다.

 

『철학 브런치』를 다 읽은 후, 심술은 풀렸다. 브런치처럼 가볍고, 브런치 자리에 함께한 친구들과 수다를 떠는 것처럼 재미있었으니까. 하지만 난 여전히 사이먼 정이 "철학은 흥미진진한 이야기보따리에 가깝다"라고 말한 것에는 동의하지 않는다. 철학은 이야기가 아니라 사유다. 고지식해 보일지 몰라도 이것만큼은 물러날 수 없다. 이 책에 소개된 16명의 철학자들을 둘러싼 시대적 배경이나 그들의 성격 혹은 품성에 대한 '이야기'는 천일야화만큼이나 흥미롭다. 하지만 그들이 자신을 끝까지 밀어붙여 토해낸 사유의 책들은 결코 이야기로만 대할 수 없다고 생각한다. 그래야 그들의 사유의 무게를 똑같이 느낄 수 있고, 그렇게 해야 우리도 사유의 힘을 기를 수 있는 것이리라 생각하기 때문이다.

 

이미 철학을 즐기는 경지에 이른 듯한 사이먼 정이 이를 몰랐을 리 없다. 그는 철학의 즐거움을 책을 통해 나누기 위해 선택과 집중을 한 것 뿐이다. 다만 '왜 철학을 브런치처럼 즐기길 바라는지' 그의 견해를 이 책에서 충분히 알 수 없어 아쉬웠달까. 어쩌면 그것은 독자의 몫인지도 모르겠고.

 

철학의 벽은 원체 높고, 철학은 스스로 자신의 벽을 낮출 수 없다. 이미 억겁의 세월을 거치며 쌓인 벽이 아닌가(물론 정-반-합의 원리에 따라 쌓였으므로 고르게 쌓이진 않았겠지만). 사이먼 정은 이 벽을 타고 오르려 애쓰기 전에 우선 덕수궁 돌감길을 걷듯 함께 빙 둘러 걸어보자고 제안하는 듯하다. 느긋하게, 천천히, 그리고 수다스럽게. 공성벽 같았던 철학의 벽이 어느새 예쁜 벽화가 칠해진 돌담처럼 보이지 않을까? 그의 제안이 싫지만은 않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2)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