나는 언제나 늙기를 기다려왔다
안드레아 칼라일 지음, 양소하 옮김 / 웅진지식하우스 / 2025년 2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늙는다는 것은 누구나 겪는 일이지만, 사람들은 불행의 씨앗으로 여겨왔다. 하지만 이 책을 쓴 저자는 노년의 풍요로움과 빛나는 시간에 대하여 생각해왔고, 그것을 글로 옮겼다.


노년기가 오래 지속 될 수 있다는 걸 알지만 언제 어떻게 갑자기 줄어들지 모른다는 것도 잘 안다. 물론 인생의 어느 때나 마찬가지이지만 노년기에 접어들면 그 인식이 더 날카로워진다.

본문 22페이지


노년에는 청년기 보다 많은 것을 내려놓게 되고 그럼으로써 마음의 평화를 찾게 된다.

저자는 모든 것에 주의를 기울여야겠다고 생각한다. 덤불 속 작은 새들, 거미가 거미집을 짓는 것, 빨간 튤럽 옆 벤치에 앉은 사람까지. 다시는 볼 수 없을지도 모르는 새롭고도 소중한 모든 것들을 예사로 보지 않는다.


저자는 70대가 되어 현실을 제대로 인식하고 있는 것에 감사함을 느낀다. 평생을 살아온 건 더 말할 것도 없고 이렇게 지금 여기에 있는 것만으로도 행운이라고 감탄하며 살아간다. 그것이 노년의 기쁨이자 멋진 자세이다.


우리가 정확히 어디에 있고, 여기 있는 동안 무엇을 탐구해야 할지 묻는 것은 언제든 늦지 않다. 노년에 들어 스스로에게 나만의 질문을 던지며 인간으로서의 지혜를 이어나가려고 노력하고 있는 작가. 최대한 많은 호기심과 감사의 마음을 발휘할 때 많은 것을 끌어당길 수 있다고 말한다.

작가는 노년기는 두번째 성년기라고 표현하며 또 다시 어린이 된 시간이라고 이야기 한다. 이런 자세는 마음을 가볍게 하고 생활을 활기차게 한다.


사람들은 노년기를 성년기위 연장선으로 보지 않는다. 신체적 변화를 고려하면 이런 인식은 어느 정도 합리적이다. 이런 변화 때문에 신체가 인생의 또 다른 진영으로 들어가는 것처럼 보일 수 있다.

본문 68페이지


작가는 노년기에 들어와서 글쓰기가 자신에게 얼마나 소중한지 알게 됐다. 글을 쓰는 행위는 그가 붙잡을 무언가였다. 책상 앞에서는 항상 이야기가 쏟아져 나왔다. 글쓰기는 어린 시절부터 하고 있었지만, 노년기에 와서 글쓰기의 힘에 대해 더 많이 느낀다고 한다.


노년기에 대한 글을 찾아 읽을수록 우리는 '노인'을 한 무리의 집단으로 보도록 배워왔다. 이런 관점은 모두가 각자 이 시기를 다른 방식으로 경험한다는 사실을 외면하게 한다. 어린 시절부터 청소년기에 이르는 성장 과정이 모두 다르듯이 노년기 역시 각자 모두 다르다는 것을 알아야 한다.


어쩌다 이렇게 나이가 들었을까, 하고 비교적 젊은 '노인'이던 시기에 혼자 조용히 자문했다. 몇년이 지난 지금도 같은 질문을 던진다. 내 대답은 '그야 내가 태어난 지 오래되었으나 당연히 나이가 들었지.'(중략) 막상 내게 이 일이 닥치니 정말 놀랍다.

본문 95페이지


우리모두가 자연의 법칙에 의해 지배된다는 사실을 노년기에 와서 깨닫게 된다. 그만큼 세상 돌아가는 이치에 초연해 지고 그것을 즐길 수 있게 해 주는 노년이 소중하다는 사실을 일깨워주는 책.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