나는 왜 내 편이 되지 못할까 - 타인을 신경 쓰느라 내 감정을 외면해온 당신에게
정우열 지음 / 김영사 / 2024년 11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나는 정말 왜 내편이 되지 못하고, 남의 편이 될까. 그러면 내 편은 아무도 없는건데.

내 자신이 불쌍하게 느껴졌다. 나같은 사람 넘쳐날 것 같다.


독립적인 성향은 타인을 의지할 만큼 신뢰하지 못하고 배신당할 수도 있다는 경계심과 두려움 때문에 생긴 반의존적인 표면적 독립심일 수 있습니다.

본문 63페이지


다른 사람에게 의존하기 보다는 자신의 일을 혼자서도 척척해내고, 병적으로 남의 도움을 받는 것을 싫어하는 사람을 종종본다. 특히 20대 30대에서 많이 보이는 것 같다. 얼마 살아보지는 않았지만, 인생은 남과 도움을 주고 받는 상호작용 인 것 같다. 내가 남에게 조금 불편함을 줄 수도 있고, 남도 나에게 불편함을 줄 수 있다는 것을 인정하는 것. 그것이 인생을 재미있고, 긴장감 없이 살 수 있는 방법이 아닐까.


부정적인 감정을 표현하면 상대방과의 관계가 나빠진다고 느끼면서 평생 부정적 감정을 억누르기만 했던 사람은, 자기가 마땅히 느낄 만한 감정을 인식하게 되는 것에 대해 '감정 공포'라고 불릴 정도로 두려움을 가지게 됩니다.

본문 86페이지


거절 못하는 사람이 참 많다. 괜찮다고 하면서도 부정적인 감정이 드는 것은 어쩔 수가 없다. 부정적인 감정은 외면한다고 결코 사라지지 않는다. 당시에는 억누른다고 해도 나중에 다양한 문제로 터질 수 있다. 거절할 줄 알고, 자신이 느끼는 부정적인 감정을 바르게 표현하고 푸는 것이 중요하다는 것을 강조한다.


나의 부족함을 비난하며 구석으로 몰아붙이는 검사가 아닌, 높은 기준으로 나의 잘잘못을 따지는 판사가 아닌, 나 자신의 편이 되어주는 변호사가 되어야 합니다.

본문 105페이지


위의 인용구가 이 책의 가장 큰 주제인 것 같다. 나를 조금 너그러운 시선으로 바라보고, 어떤 때는 선택이나 결정을 잘못했을 지도 모를 나를 변호하며 정신승리를 해 보는 것도 좋다. 옛날 20년 전만 해도 자신에게 엄격하게 대해 성공하고, 남의 잘못은 덮어주며 인간관계를 관리 하라는 자기계발서가 많이 나왔던 시기가 있었다. 하지만 지금은 달라졌다. 나 자신을 사랑하고 아껴주는 사람만이 다른 사람과 잘 지낼 수 있고, 자신이 종사하는 분야에서 성과를 낼 수 있다.

이 책은 정신과 의사인 저자가 사례를 중심으로 나를 사랑하는 방법에 대해 설명하고 있다. 의사가 쓴 책이지만 의학적인 단어나 개념을 배제하고 누구나 쉽게 읽고 깨달을 수 있도록 썼다는 것이 가장 큰 특징이다.


그리고 마지막에는 감정일기를 쓰는 방법이 구체적으로 나와 있어서 누구나 따라하며 자신의 마음을 자가치료 할 수 있도록 구성되어 있다. (이 부분이 진짜 좋았다)

<나는 왜 내편이 되지 못할까> 책은 정신건강의학과 병원에 가지 않아도 책을 통해 의사와 대화하고 치유할 수 있는 책이었다.


*본 리뷰는 출판사로부터 도서를 제공받아 100% 주관적으로 작성되었습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