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니어 생각의 탄생 - 위대한 천재들과 떠나는 신나는 생각 여행
로버트 루트번스타인 원작, 서영경 그림, 김재헌 글 / 에코의서재 / 2008년 4월
평점 :
구판절판


생각의 탄생은 작년에 나온 책 중, 손에 꼽을 양서이다. 삼성 이건희씨가 추천한 영향이 크긴했지만, 지금 사람들의 욕구를 충족하는데 도움을 주는 책이었다.

 

우리가 늘 하고 있는 '생각'에 대해 창조적인 개발을 제시하는 '사고'로의 발전을 체계적으로 정리하고 있으며, 실제로 인류사에 길이남을 저작들을 남겼던 천재들의 사고-궤적을 생생하게 알려주고 있다.

 

책의 화려한 성공에 힘입어 같은 내용을 어린이의 눈높이에 맞춘 버전이 나왔다.

이 책의 가장 큰 특징은 우리가 생각하는 것을 '열심히' '효과적으로' '창의적인' 사고라든가 하는 1차원적인 막연함에서 관찰하고 - 형상화하고- 추상화-패턴-유추라는 단계성과 통찰력까지 체계적으로 '사고'하는 실제에 대해 논하고 있다는 점이다. 저자가 늘고있는 실제 천재들의 예시는 너무나 놀랍고 적확하다. 춤을 추고 있는 천재에서 사물을 골똘히 바라보고 있는 예술가, 들리지는 않지만 눈에 보이지 않는 선율들에 고뇌하는 거장의 모습까지 우리가 볼 수 없었고 발견할 수 없지만 상상력과 단순화, 비틀기와 뒤집어보기 끝에 나오는 뛰어난 창조물들을 도달하기 까지 생각의 발견들을 우리에게 들려주고 있다.

 

하지만, 이 책이 주는 진정한 의미인, 창조적인 사고에 대해, 아이의 눈높이에 맞춰서 들려주었다고는 하지만, 어른의 시각에서 보는 지식의 발견에 대해 어린아이들에게 적합한지에 대해서는 의문이다. 아이들은 아이들의 수준과 시각에서 세상을 바라보아야 할지 아니면 '사고력'도 자습이 아닌 학습에 의해 개발하고 길러져야 하는지에 대한 문제는 의문이다.

 

창의력이나 새로운 관점은 누가 가르쳐주는 것이 아니라 혼자서 사물을 보고 이해하고 느끼는 것에서 시작한다. 개미집을 보여주면서, 분석하는 체계를 알려준다고 해서 다 파브르가 되는 것은 아닌 것이고 관찰력에 대해 아무리 잘 가르쳤다고 해서 실제 관찰을 잘 하는 것은 아니다.

 

분명 좋은 책이고 중요한 책이지만,

섣불리 아이들에게 정형화되고 체계적인 '사고틀'까지 가르쳐주는것 같아,

안타까운 마음이 없지 않다. 좀 자연스러웠으면 하는 마음이다.

 

정말 뛰어난 아이라면, 원래 버전을 읽게 하고,

그게 아니라면 클 때 까지 기다리면 된다고 생각한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