왕도 - 역사를 바꾼 중국 황제 10인의 통치 리더십
이세민 지음, 진성위엔 엮음, 김윤진 옮김 / 국일미디어(국일출판사) / 2008년 2월
평점 :
절판


이 책은 당나라 태종인 이세민이 왕으로서 어떻게 하면 올바른 정치를 하여 백성들이 편안하게 살고 나라를 태평하게 할 것인가에 대해 쓴 책이다. 당태종외에도 측전무후니 주원장, 쿠빌라이 등등 역사상으로 위대했던 왕 들의 이야기를 통해, 진정한 왕정에 대해 논하고 있다.

사실 전제왕권시대에서 왕이란 나라의 운명과 흥망을 결정짓는 가장 큰 요인이었다.

역사상으로 훌륭한 왕들이 있었고 최악의 왕이 있었는데, 왕이란 정쟁의 중심에서 왕권을 향한 치열한 다툼가운데 개인의 사리사욕과 정치적 구조에 맞물려 가장 어두운 가운데 있었던 것이 사실이다. 여기 나오는 10명의 왕들은 혼란의 시기를 평정하고 새로운 왕권을 창출한 이들을 중심으로 훌륭한 정치를 펴는 왕이 무엇인지를 살펴보고 있다.

 

우리는 훌륭한 왕이 어떤 왕인지는 잘 알고 있다. 인의예지를 갖추고, 수신제가 치국평천하를 이룬 백성을 섬기며 어질고 관대한 그러나 강한 신념과 정신을 갖춘 왕을 훌륭한 왕이라 한다. 그런 왕은 강력한 왕권과 리더쉽을 통해 나라 민생과 경제를 안정시키는 개혁법안과 정책들을 시행하며 문화를 부흥시키는 동시에 부국강병을 통하여 평화를 유지하여 백성들이 안심하고 걱정없이 살게 한다. 나쁜 왕은 간신잡배에 이리저리 끌려다니고 인격적 수양과 지식의 깊이가 없어 사냥과 잡일에만 정신을 팔다가 나라가 망하고 백성의 고름을 빼짜다가 결국 외세의 침략에 하루아침에 무너져 버려 나라와 백성에 비극을 가져다 주는 왕이다. 우리나라에는 아무래도 후자와 같은 왕이 많았고 세종대왕, 영정조 등 훌륭했던 왕들은 조선왕조만 보더라도 500년 동안 다섯손가락에도 꼽지 못한다.

 

역사는 이 책에서 말하듯이,

정치하는 권력자, 국정의 운영자들은 개인의 이익과 자기 집단의 생존논리에서 벗어나 나라의 운명과 안위를 걱정하며 오로지 목적이 국가의 안녕과 번영이라는 것을 명심하고 사사로운 당쟁과 머릿수 싸움을 관둬야 한다. 인재를 적재적소에 등용하고 나라경제를 살리는데 주력하며 강한 군사력을 바탕으로 국가를 지킬 힘을 기르는 것이 중요하다. 중국은 나름대로 국가발전을 잘 이루는 것 같은데 당나라, 한나라, 송나라 등 화려한 역사가 그 뒷받침하고 있다는 것을 부정할 수 없다. 우리나라도 뛰어난, 훌륭한 지도자의 국가운영이 어느 때보다 필요한 시점이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