처음 처음 | 이전 이전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다음 다음 | 마지막 마지막
그대 아직도 부자를 꿈꾸는가 - 우리 시대 부모들을 위한 교양 강좌
심상정 엮음 / 양철북 / 2011년 12월
평점 :
품절


9명의 강사가 시민들을 대상으로 강연한 원고를 모아 책으로 펴냈다. 책은 현장에서 강연을 듣는 듯이 생생한 말투로 전해진다. 읽기는 수월했으나 교사이면서 학부모인 나는 적당히 가면을 쓰고 건전한 시민인 척 위장할 수 있는 지점을 찔린 듯 하다. 불편함이 느껴졌다.

 

1. 그대, 풍요로워서 행복한가?

 

이사하던 날을 잊지 못하겠다. 방이 둘이던 집을 떠나 방 세 칸에 넓은 마루를 가진 집으로 이사를 했다. 짐을 다 들여 놓고도 왜 그리 집은 횅한지. 이리 보고, 저리 보고, 아무리 봐도 우리 집은 참 넓었다. 10년의 시간이 흘렀다. 10년 전 그 때 내게 과분한 만족을 주었던 그 집은 여전한데 나는 달라졌다. 불충분하다. 10년 세월만큼의 풍요가 뒷받침 되었으면 좋겠다는 생각을 한다. 허나 지금의 내게 더 큰 집이 생긴다고 하더라도 그 만족감은 유효기간을 지나게 되면 다시 생긴 욕망의 크기만큼 빈 구멍이 될 것이다. 나의 욕망은 끝이 없다. 인간의 욕망은 끝이 없다.

끊임없이 욕망을 부추기는 시장에서 죄수의 딜레마를 헤어 나오지 못하고(p59) 사회적 딜레마의 포로가 되어(p59) 최악을 피하기 위해 선택하는 많은 것들. 그 끝없는 경쟁은 타인에 대한 상상력을 배제하며 ‘당신이 살고 있는 곳이 당신을 보여 준다’며 자신의 삶터를 다른 사람과 비교하게 만들고 규격화된 생활 패턴을 만들어 평균적인 삶의 기준을 소비를 통하여 충족하도록 만들고 있다. 시장은 하루가 다르게 쏟아지는 광고를 통해 새로운 욕망을 만들어 내고, 끊임없이 쏟아지는 새로운 상품들을 통해 무한한 소비의 미덕을 가르쳐 준다. 그렇다면 끝없는 소비가 끝없는 욕망을 채워줄 수 있는가? 우리가 꿈꾸는 부자는 가능한가?

 

2. 우리는, 만나야 한다.

 

시장은 효율성을 추구한다. 사회적 자원의 배분은 ‘보이지 않는 손’이 모두 해결해 준다고 믿었다. 그러나 ‘보이지 않는 손은 보이지 않는다.’(p50) 그리고 시장은 실패하기도 한다. 아주 자주. 정작 사회적 자원은 필요로 하는 사람에게 가는 경우보다 그렇지 않은 경우가 더 많이 발생한다. 그렇다면 이런 사회를 만들어 살고 있는 인간은 과연 이기적인 존재인가? 결론은 그렇지 않다라는 것이다. 사회 안에서 시장의 원리와는 전혀 다른 상호성의 원리가 작동하고 있다. 상호성에는 상대방을 생각하는 것과 상대를 응징한다는 두 가지를 포함하고 있으며 이것은 공정성으로 설명할 수 있다. 공정성은 나만 옳다고 생각하는 시장의 원리와는 배치된다.(p59) 이러한 상호성은 어떻게 형성되는가? 사람은 자신이 만난 사람과 만나지 못한 사람은 구분한다. 제나라의 선왕이 자신이 만났던 소에게는 연민을 느껴 소의 목숨을 구하여 주고, 자신이 만나지 못한 양을 소 대신 죽게 했던 일화는 세상살이에서 만남이 얼마나 소중한 지를 잘 보여주고 있다.(p203) 상호성이 형성되기 위해서는 만남이 필요하다. 이때의 만남은 물리적인 만남뿐만 아니라 서로를 신뢰할 수 있는 사회 안에서 타인을 상상하는 것으로도 가능하다.

 

3. 사랑과 연대의 힘

 

공부란 머리에서부터 가슴을 거쳐 발로 가는 여행(p193)이라 한다. 사람이 평생에 걸쳐 하는 여행 중에 가장 긴 여행은 머리에서 가슴까지, 그리고 가슴에서 발까지 하는 여행이다.(p194) 자기 변화는 궁극적으로 인간관계로서 결실을 맺어야 한다. 자기 혼자만 변해서는 진정한 변화라고 볼 수 없으며 다른 사람과의 관계 속에서 튼튼하게 연대될 때 변화가 완성된다.(p201) 사회가 만들어 내는 욕망 체계 안에서 뒤처지지 않기 위해 안절부절 못하고 경쟁하면서 사람은 결코 행복할 수 없다. 다양한 가치를 추구하는 다원적인 사회를 통해서 나는 더 이상 누군가와 비교되지 않고 자신을 성찰하여 나의 욕망을 정직하게 들여다 볼 줄 알고 스스로의 행복을 설계할 수 있다. 그리고 이런 삶이 함께 이루어질 수 있도록 건강한 사회를 만들어야 한다. 더 평등하고 안전하고 민주적인 사회를 만드는 일은 반드시 필요하다. 경쟁보다는 협력이, 신뢰할 수 있는 따뜻한 공동체가 이를 가능하게 해 줄 것이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28 - 정유정 장편소설
정유정 지음 / 은행나무 / 2013년 6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1. 두려움과 선택

 

그것은 누구도 어떻게 할 수 있는 상황이 아니었다. 어느 날 시작된 빨간 눈의 공포. 삽시간에 도시를 삼켜버린다. 방법을 찾을 수 없는 상황. 궁극의 공포.

내게 공포는 재난 영화의 죽음이 아니었다. 죽음을 인지하고 본능적으로 살고자 하는 통제되지 않는 욕망을 아무 여과 없이 내보이는 것이 두려움이었다. 도시가 봉쇄당하고 속수무책으로 당하는 와중에 일터를 떠나지 못하는 노수진, 한기준, 김윤주, 서재형이 나온다. 나라면 어땠을까?

 

2. 나라면 어땠을까?

 

광주항쟁을 생각하며 쓴 글이라는 작가의 인터뷰를 보고 읽은 책이었다. 읽는 동안 내 머릿 속에도 80년 광주가 계속 그려졌다. 대학교에 입학하고 고등학교와 단절하게 된 계기는 광주였다. 광주항쟁이 일어나고 여러 해가 지난 후에도 여전히 일말의 사과도 없던 시절, 대학 신입생의 의식화는 광주의 끔찍한 사진에서부터 시작되었다. 대학교를 다니는 동안 광주를 소재로 공연을 올리고 데모를 했다. 그런데, 그럴 듯한 구호로 대상화하여 외치는 목소리는 컸으나 구체적인 광주를 상상하는 것은 내게 너무 두려웠다. 자꾸, 나라면?이라는 질문이 떠올랐기 때문이었다. 나라면? 그날 도청 앞에 나갔을까? 나라면? 그날 광주를 지킨다고 도청으로 들어갔을까? 나라면? 나라면?

 

3. ...

 

희망에 관한 거라고 하는데, 잘 모르겠다. 숨막히게 긴장된 처음을 지나 뒤로 갈수록 호흡이 늘어졌다. 중간 중간 인물의 묘사에서 평소에 분명하게 정리되지 않는 답답한 순간을 잘 설명하여 이야기와 관계없이 속이 시원해지는 느낌을 받았다. 노라고 잘 못하는 수진의 우유부단함을 ‘우회해서 거절하려 들다간 부탁의 주객이 전도되고 대화 수준이 구차해지기 십상이었다. 최악은 생색내면서 “네.”할 기회마저 놓치는(p90)’ 이라든지. 모두 다 죽어가는 판에 등산하는 사람들을 보면서 평소대로 행동하면 평소와 다름없다고 생각한다고 서술한 부분 등. 문장이 짧고 분명해서 좋았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처음 처음 | 이전 이전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다음 다음 | 마지막 마지막