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로에서 시작하는 자본론 Philos 시리즈 27
사이토 고헤이 지음, 정성진 옮김 / arte(아르테) / 2024년 3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시베리아로 보내진 남자가 자신의 편지가 검열당할 것을 알고 친구와 암호를 정해두었다.  파란 잉크로 쓰여졌다면 진실, 빨간 잉크로 쓰여졌다면 가짜. 얼마 후 도착한 편지는 파란 잉크로 쓰여 있었다. 편지의 내용은  “이곳에서의 생활은 매우 훌륭하다…여기서 살 수 없는 것은 빨간 잉크뿐이다.”


저자는 우리가 누리는 ‘자유’와 ‘풍요’는 바로 이 파란 잉크로 쓰인 편지의 세계이고 『자본론』은 이 사회의 불합리를 그려낼 수 있는 빨간 잉크라고 말한다.


책을 읽으면서 나는 왜 출근하기 싫은지?, 직장에서의 내 하루가 왜 아깝다고 생각하는지?, 더 나은 삶을 위한 고민에 왜 직장을 배제하는지? 에 대한 해답의 실마리를 잡은 느낌이었다. 


노동은 우선 인간과 자연 사이의 한 과정, 즉 인간이 자신의 행위로 자연과의 물질대사를 매개하고 규제하고 제어하는 한 과정이다.(192/237) P22


노동은 착취의 대상만은 아니다. 노동은 인간의 의식적이고 합목적적인 활동이다. 하지만 자본주의는 이 노동을 왜곡시킨다. 모든 것을 상품으로 만들려고 하는 자본주의는 필요한 것보다 ‘팔릴 것 같은 것’들은 생산한다. ‘사용가치’가 아닌 상품화가 가능한 ‘가치’를 위해 물건을 만드는 자본주의에서 인간은 물건에 휘둘리고 지배당한다. 즉, 물상화된다. 인간의 노동은 ‘구상’과 ‘실행’이 분리된 분업화를 통해 잘게 쪼개지고 결국 인간은 노동에서 소외되고 만다. 

가성비 사고가 내면화되고 기술의 발전으로 늘어난 개인의 자유는 자본주의 시스템 안에서 사용가치가 없는 물건들을 소비하고 자신의 노동을 파는 모습으로 소비된다. 자신의 노동에 대한 처분권을 가지지 못한 자본주의의 노동자. 그게 나의 모습이다.


저자는 『자본론』의 ‘절대적잉여가치의 생산’으로 현대사회의 과로사를 풀어내고, ‘상대적잉여가치의 생산’으로 기업가의 혁신이 어떻게 실업과 불싯 잡을 만들어내는지를 설명해낸다. 


특히 인상적인 것은 5장 「굿바이 레닌!」에서 독일의 복지시스템과 소련의 국가자본주의를 비교하면서 국유가 공유는 아님을, 법과 제도보다 더 근본적인 것은 상품과 화폐가 인간을 지배하는 듯한 힘을 휘두르는 현실임을 분명히 하고 국가권력의 탈취나 정치체제의 변혁이 아니라 경제 영역에서 물상화의 힘을 억제해야 한다는 내용이었다.


그리고 저자는 마르크스의 ‘탈성장코뮤니즘’으로 포스트자본주의 대안을 제시한다. 음식, 의료, 교육, 돌봄 등을 탈상품화하여 사람들이 협동으로 관리하는 사회, 즉 사회적 부가 상품으로 나타나지 않도록 모두가 공유하고 자치 관리하는 평등하고 지속 가능한 정상형 경제사회인 탈성장코뮤니즘. 이는 자치를 육성하는 상향형 조직인 어소시에이션을 확대하는 것을 통해 구현될 수 있다고 주장한다. 희망적인 제안이고 그렇게 되어야 한다고 생각하지만 인터넷이라는 시간과 장소를 넘나드는 시장의 변화를 극복해낼 수 있을까하는 의문이 들었다. 


대학교에 다닐 때, 『자본론』을 시도한 적이 있었다. 읽었다는 사실에 스스로 만족할 것 같아 읽기 시작했지만 사실상 무모한 도전으로 끝났다. 어려웠다. 그 뒤 한차례 도전이 더 시도되었지만 역시 마무리하지 못했다.책을 읽고 난 지금, 다시 읽을 수 있겠다는 마음이 들었다. 『자본론』으로 가는 훌륭하고 친절한(명쾌하고 쌈박한) 안내자를 만난 느낌이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3)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