고양이 손님
히라이데 다카시 지음, 양윤옥 옮김 / 박하 / 2018년 12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사랑스러운 분홍 고양이가 고개를 갸웃하며 맞아주는

<고양이 손님>

고양이가 손님인 건지 내가 손님인 건지

잠시 헤깔렸지만 책장을 넘기자

이내 번개골목에 있는 작가의 집에 자리를 잡고 앉습니다.

작가 부부가 세들어 사는 집 주변 골목은 번개형상으로

이들은 장난삼아 번개골목이라 부릅니다.

어느날 이 번개골목에 나타난 어린 고양이 한 마리를

옆집에서 기르기 시작하고,

이 제멋대로인 작은 고양이는 작가 부부의 집에 불쑥 찾아오지요.

그러다 어느새 물이 스며들듯이 이 집에서 밥도 얻어 먹고 잠도 자고 가기 시작하며

이들 부부는 비록 고양이 길들이기에 실패했지만, 고양이 치비는 이들 부부를 길들이는 데 성공합니다.

주인집 정원과 부부의 별채 뜰로 나들이를 나와 노니는 치비는

번개골목에 어울리는 번개 같은 움직임을 보이며 고양이스러운 하루하루를 보내지요.

주인집 할머니가 남편이 죽자 큰 집을 정리하고 요양원에 들어가게 되면서

이들 부부도 이사를 할 수 밖에 없게 됩니다.

땅값 급등으로 이사를 준비하는 과정에서 겪는 어려움과

갑작스러운 치비와의 이별로 괴로운 시간을 보내는 한편

주인집 할머니의 부탁으로 집과 정원 관리를 하면서

그곳에서 마음을 정리하기도 하지요.

그러나 이 정원도 분할매각되어 사라지게 됩니다.

어쨌든 다행히 번개골목에서 멀지 않은 곳으로 이사를 가게 되고

그곳에서 새로운 인연 아니 묘연을 만나게 되며 이야기는 끝이 나지요.

<고양이 손님>을 읽기 시작하는 동시에

나는 번개골목에 자리한 작가의 집에 초대된 손님이며 주인이었습니다.

그가 사는 집의 면면을 소개받는 기분이었으며,

동시에 이 집이 내 집인 것만 같고 그의 고양이 손님이 내 손님인 것만 같았지요.

작가는 그가 겪는 시간의 흐름을 - 친구인 시인 Y의 암투병과 죽음, 주인집 할아버지의 죽음, 세들어 살던 곳과의 이별, 고양이 치비와의 이별 그리고 연립주택의 새 보금자리와 고양이 나나와의 만남 - 통해 만남과 이별, 생과 사의 흐름을 고양이의 몸짓을 닮은 자연스럽고 부드러운 그러면서도 조심스러운 문장으로 서술하고 있습니다.


어느날 불쑥 찾아온 고양이 손님.

그 고양이가 몰고 온 어떤 흐름을 잔잔하게 기록한 책 <고양이 손님>

자연 만물의 흘러가는 그대로의 흐름을 따라 자연의 섭리와 그 아름다움, 생과 사

그리고 관계와 소유에 대한 이야기를 담고 있는 책으로,

자연의 일부인 내가 자연의 흐름에 따라 사라질 내가 감히 '내 것'이라 부를 수 있는 것은

있기나 한 것인지 생각해 보게 하네요.

인간인 우리는 언제나 모든 것의 주인인 것처럼 행세하며

주인이 되고자 애쓰며 살아가지만

결국 우리 모두는 손님인지도 모르겠습니다.

번쩍 나타났다 사라지는 번개를 잡으려는 번개잡기를 하는 번개잡이 손님이라고나 할까요?

(무슨 말인지 궁금하면 책을 보셔야 합니다.ㅎㅎㅎ)

그러나 저러나 고양이 손님은 언제든 환영입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