몸이라는 선물 - 우리 몸에 새겨진 복음의 경이한 한 몸의 의미
폴 브랜드.필립 얀시 지음, 윤종석 옮김 / 두란노 / 2020년 12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우리 몸에 관하여 얼마나 아시나요?

이 책은 우리 몸에 관하여 의사로 살아온 폴 브랜드 저자의 삶과 설명을 통해 자세하게 알 수 있습니다.

이 책은 우리 몸에 관하여 하나님을 묵상하고 싶다면 꼭 읽어야 할 책입니다.

아마도 우리 몸에 관하여 묵상할 수 있는 제가 읽은 가장 깊은 묵상의 책이 아닐까 생각이 됩니다.

저자의 생각을 읽으면서 이리저리 깜짝 깜짝 놀라게 되었습니다.

그는 몸을 통하여 교회를 설명하고 우리의 마음을 설명하고 비추며 많은 것들을 통찰하게 하고 깨닫게 합니다.

그는 의사로서 한센병이 걸린 사람들과 함께 살면서 겪은 이야기들과 몸에 대하여 관찰한 내용들에 대하여 서술합니다.

저는 사실 필립 얀시라는 작가를 기대하고 글을 보았으나, 개인적으로는 필립 얀시의 글도 좋았지만 폴 브랜드라는 저자의 지식이 삶과 신앙이 함께 어우러져 녹아내린 글들을 보니 마음 깊이 다가와서 견딜 수가 없었습니다.

우리 몸의 샅샅히 깊은 구석까지 우리의 세포까지 하나님의 마음으로 알려주고 싶은 사람에게 꼭 선물하고 픈 책이었습니다.

이 책의 내용은 어떤 네러티브가 있기보다는 주제들을 중심으로 다양한 묵상들이 나오는 에세이와 같다고 생각할 수 있습니다. 물론 한 주제내에 네러티브로 묶여있기는 합니다.

또한,

이 책을 통하여 개인적 영성의 성장도 있지만 특별히 타인과 어떻게 공존할 것인가. 어떻게 생각할 것인가에 대하여 많은 생각들을 나누게 합니다.

우리는 이 땅에서 분열된 세상에서 살고 있고, 각자도생의 삶을 살고 있습니다. 그러나 브랜드는 몸이라는 유기체를 통하여 교회는 그리고 이 세상은 분석이 아니라 유기체로서 존재해야 함을 이야기하고 있습니다.

제가 이렇게 먼저 느낀점을 공유하는 이유는 이것을 알고 기대하는 마음으로 읽어야 좋을 것 같다고 생각했기 때문입니다.

우리의 몸은 각자가 다르지만 각자의 자리에서 최선을 다할 때 하나님의 형상대로 어떻게 살아가야하는지를 알려주고 있습니다. 그의 처음 읽는 부분부터 그의 글은 마음을 매혹시켰습니다.

손이나 발이나 눈은 몸과 따로 떨어져서는 자체 생명을 유지할 수 없지만, 세포는 그런 잠재력이 있기 때문이다. 세포는 몸의 충실한 지체로 살아갈 수도 있고 자율성을 고집할 수도 있다. 세포는 몸의 충실한 지체로 살아갈 수도 있고 자율성을 고집할 수도 있따. 완전히 독자적인 상태에서 몸의 혜택만 이기적으로 누리는 세포도 있다.

기생충이나 암세포가 바로 그런 세포다. 요컨데 하나님의 형상대로 살아가는 법에 대한 중요한 교훈을 인간의 몸에서 배울 수 있다.

33

그렇다. 신앙도 믿음도 앎도 행동도 기준도 역할이 다를수가 있습니다. 하지만 복합체처럼 조화를 이룹니다.

아마 이기적/자율성 vs 희생과 필수라는 단어로 양분할 수 있을 것입니다.

* 인상깊은 부분

그는 아내 쪽으로 눈길을 돌리는 버릇을 들였다. "아내가 내 거울이 되어 내게 새로운 자아상을 주었습니다. 지금도 내 기분이 어떻든 간에 아내를 바라보면 아내는 따뜻한 사랑의 미소를 짓고 있어요. 그래서 내가 괜찮은 줄을 알지요.

39

인간의 자아상은 주로 주위에 있는 '거울'을 통해 결정된다. 또래나 동료에게 거부 당한 탓에 끝내 발굴되지 못한 소크나 파스퇴르가 얼마나 많겠는가.

41

- 우리는 서로를 비추는 얼굴이다... 그렇다 우리는 어디에 나를 비추이냐에 따라서 나는 달라진다는 것이다. 그러다면 우리는 하나님의 형상이다. 우리는 무엇을 나에 비추어야 할까? 가장 좋은 거울은 예수 그리스도이다.

모든 사람은 하나님을 닮았다. 그러나 우리는 겉모습만 보고 그 속에 감추인 하나님의 형상을 주고받지 못하는 경우가 다반사이다.

여기에 인간의 기본 역설이 있다. 자신을 벗어나 도움의 손길을 내밀수록 우리는 더 풍요로워 지고, 온갖 좋은 선물의 아버지이신 하나님을 더 닮아간다.

반면에 루터의 표현대로 "안으로 함몰되면" 그만큼 덜 인간다워진다. 꼭 받아야 하는 사람이 있듯이 우리도 꼭 자신을 내주어 몸된 교회의 전체를 섬겨야 한다.

116

- 우리가 살기 위해서는 내밀어야 한다. 이것은 자본주의의 역설과도 연결된다. 나를 챙기기만 하면 그것이 사는길인 것 같지만, 혼가 가면 혼자 망하고 함께 가면 함께 산다. 사실 이것은 잘 지켜지지 않지만 늘 되내이며 믿음으로 나아가야 할 부분같다.

"사랑을 표현하는 매체"

영적 몸인 교회의 피부도 소통 기관이요. 사랑을 표현하는 매체다.

135

- 개인적으로 터치를 사랑으로 생각하는 사람으로, 깊이 공감한다. 사랑은 대개 터치를 필요로 하기 때문이다. 하지만 이것은 더 넓은 차원으로 나아가서 그 사람의 마음을 만질 수 있는가에게 까지 나아간다. 예수님께서도 사람들을 만지셨다. 마음을 넘어서 영적인 마음까지 말이다.

하지만 생각해보면 그 아픈 사람들은 그냥 알기로 아픈사람이 아니라 정말로 다가갔을때에 더럽고 소외받고 수많은 다가가기에 어려움들이 있었을 것인데.. 그것을 뚫고 나아갔다고 생각을 하니 터치라는 것은 수많은 저항과 벽들을 뚫고 그 속으로 들어가는것이 아닌가 생각해 보게 된다.

'

'피' 죽어있음이 아니라 '살아있음'의 증거

제 4부

- 개인적으로는 이 제목자체가 나에게 너무나도 와닿았다. 그렇다 피는 죽어있음의 아니라 살아있다는 증거이다. 피가 나온다는 것은, 피가 뿜어져 나온다는 것은 살아있다는 증거이다.

그렇다면 그리스도의 피가 우리에게 온다면 그것이 바로 우리가 그리스도로 말미암아 살아있다는 증거일 것이다. 영적으로 살아있다는 말이 그것이 아닐까. 그리스도의 피는 무엇일까. 고귀한 그 희생이다. 그리고 피는 새롭게 한다. 새피조물을 만드는 예수 그리스도의 능력이다. 그가 십자가에서 모든 피를 쏟았을 때 아낌없이 자신의 생명을 내어주었다는 표현이 너무나도 와닿는다.

그리스도는 단지 우리에게 삶의 모본을 보이러 오신 것이 아니라 생명 자체를 주러 오셨다. 영적 삶은 우리 바깥의 천상에 있지 않으며, 열심히 노력해서 얻어 내야 할 무엇이 아니다. 영적 삶은 모든 살아 있는 목숨을 흐르는 피처럼 우리 안에 가득 퍼져 있다.

230

- 그는 아마도 모든 것을 내어줄 수 있다면 생명 그 자체 일것이다.

이후로는 비슷한 내용들이 반복되지만 더욱 더 깊다. 부디 이 책을 사서 더 깊이 나누었으면 좋겠다.

이 책을 읽는 내낸 무릎을 치며 그의 깊은 묵상에 감탄하게 된다.

아무런 생각이 없이 읽은 이책이 책장이 그렇게도 안넘어갈수가 없다.

어려워서가 아니라 그가 펼치는 깊은 묵상의 세계가 나에게 깊이들어오기 때문이다.

우리 몸에 관심이 많은 사람이라면, 그리고 의료계에 종사하는 사람들에게 꼭 추천해주고 싶다. 그래서 상처들을 치유하며 사람들을 치유하며 진단하며 묵상들을 나누어주는 귀한 사람들이 될 수 있도록 돕고 싶다.

아마도 그사람들에게 귀한 인생의 책이 되지 않을까?

#폴브랜드 #두란노 #필립얀시 #몸 #몸이라는선물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