문학서울 2023
이우 외 지음 / 몽상가들 / 2023년 6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1919년 소설가 김동인과 주요한이 창설한 문학 동인지 '창조'
우선 창조가 궁금했다.
"우리 문학에서 《창조》는 그때까지의 계몽주의적 성격의 문학을 밀어내고, 완전한 구어(口語)체의 문장을 쓰면서 현대 문학사조(思潮)의 새로운 영역인 사실(寫實)주의 및 자연주의 문학을 개척하는 데 크게 공헌한 것으로 평가되고 있다. 창간호에서 보인 주요한의 자유시 〈불놀이〉, 김동인의 소설 〈약한 자의 슬픔〉, 전영택의 소설 〈혜선의 사〉 등은 우리 현대문학사에 뚜렷한 이정표를 세운 작품들이다."​

나는 전통을 계승하는 것을 멋지게 생각한다. 문학동인지 창조에 영감을 받아 시작한 문학서울의 첫번째 이야기를 함께 할 수 있어 작은 영광이자 기쁨이다.

2023 창립멤버의 소설 5편을 담고 있는데 어떤 이야기는 갸우뚱하게 되고 어떤 이야기는 가슴을 몽글몽글 하게 해줬으며, 어떤 이야기는 눈물 짓게 하고, 어떤 이야기는 불편했다. 이렇게 다양한 느낌의 소설들을 다 접할 수 있는 문학서울의 앞으로의 소설들이 기대된다. 첫 시작이라 인터뷰를 함께 담은 건지 앞으로도 함께 담길지는 모르겠지만 소설 이후 작가님들의 인터뷰는 그 소설을 쓴 작가님들이 이런 분들이구나 하는 생각과 함께 가깝게 느껴진다.
이우 작가님 인터뷰에서 처럼 문학서울이 이시대를 살아가는 소설가들이 연대할 수 있는 장이며, 동시에 우리의 문학 정신을 보여줄 수 있는 세계가 되길 바라며 문학서울의 시작을 응원한다.
가장 마음이 간 소설은 이수현 작가님의 '미로'이다. 미로는 택배 기사의 삶과 애환, 그리고 사회를 다룬 작품으로 어딘가 있을법한 주인공과 안타까운 현실을 담아 냈는데 따뜻하면서 슬펐던 초코릿 같은 소설이었다. (그게 얼마나 위로를 주는 맛인지..) 안군이 조금은 행복해 졌기를 김씨는 편안해졌기를 눈물을 훔치며 생각했다.

​[공감]

차라리 몰랐더라면
우리는 서로 관계에 대한 책임이 있었다. 어쩌면 우리는 차라리 서로에 대해 알지 못했더라면 오히려 서로를 더 사랑하고 있을지도 몰랐다.

첫사랑
그것은 아마도 아직은 겨울처럼 느껴지는 캠퍼스의 눈 쌓인 풍경 속에서 가느다란 한줄기 봄기운을 느낀 내 영혼이 무의식 중에 그녀와의 이 만남이 새로운 계절의 도래처럼 반드시 찾아와야만 할 행복이 내게 다다른 것이라고 속삭였기 때문이었을 것이다.

수면 아래서
느리고, 조용하고, 슬픔이 짙게 밴 민호의 젖은 목소리가 수겸의 가슴 속에 묵직하게 가라앉았다. "은정이는 지금쯤 어디 있을까?"

미로
닿지 않는 곳까지 올라가 그들이 원하는 물품을 놓아주는 것. 그 지점에 우리의 존재가 있다고 생각하자. 그렇게 우리, 사람답게 살아가자

분노든 아쉬움이든 슬픔이든 어떠한 사람을 온전히 떠나보내기 위한 형식적인 절차조차 없었다. 어렴풋한 슬픔과 걱정이 각각 잠식하고 있을 것이라는 어림짐작뿐이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