니체와 장자는 이렇게 말했다 - 2020 세종도서 교양부문
양승권 지음 / 페이퍼로드 / 2020년 2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평상시 내가 지닌 관심을 따라 이 책 [니체와 장자는 이렇게 말했다]를 손에 들었다. 내가 이해를 했는지 말았는지는 논외로 니체나 장자의 책을 읽으면 그때마다 공감해 좋았고, 어쩌다 방송 등 강의를 들어도 만족했기 때문에 호감을 간직하고 있었다.


이 책을 다 읽고 보니 제목 한 번 잘 지었구나 싶다. 매 챕터에 니체와 장자가 한 말 가운데 서로 뜻이 닿는 말을 이렇게 말했다 하고 나란히 놓아 그에 대한 해설을 붙였는데 인용한 니체와 장자의 말이나 그에 대한 저자의 해설이나 한결같이 길지 않고 어렵지 않게 다가왔다. 두 사람이 모두 은유와 시적인 표현을 즐겨 썼기 때문인지 모르겠다.


호모 파티엔스라는 말을 이 책을 통해 알았는데 삶의 고통을 느끼며 사는 동물인 인간이라는 뜻이라 한다. 살면서 고통을 느낄 때 고통이 삶을 풍족하게 만드는 디딤돌이라 여길 수 있도록 돕는 말을 하는 니체와 장자를 만날 수 있었다. 예컨대 질병이 인식을 낚는 낚시바늘이라고, 약한 본성이 진보를 가능하게 만든다고, 자신을 미워하는 사람을 보면 그가 스스로 사랑할 수 있도록 도울 방법을 떠올리라 말하는 니체 그리고 몸이 불편하게 태어났지만 여느 사람보다 행복하다는 지리소 이야기와 자신의 그림자를 두려워하는 사람은 그늘진 어두운 곳에 머물면 된다는 이야기, 천하보다 내 몸을 귀하게 여기는 자라야 천하를 맡을 수 있다고 말하는 장자를


속뜻이나 깊이를 좀더 깨우치자면 이 책에서 읽은 말이 든 본디 책을 찾아 찬찬히 읽어야 하지만 그 규모나 무게를 헤아릴 수 없어서 호감은 있지만 니체와 장자에 접근하기 겁나는 사람에게 이거 봐. 괜찮다니까?’라고 안심하도록 징검다리를 놓는 책이라 할 만 하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