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인간의 책쓰기 - 챗GPT를 이기는
김병완 지음 / 케이미라클모닝 / 2023년 7월
평점 :
<챗GPT를 이기는 인간의 책쓰기>
대기업에 근무하다 안정된 직장을 포기하고, 3년 동안 도서관에 칩거하다시피 하면서 1만권 이상 책을 읽고, 글쓰기의 즐거움을 알게되면서 <독자를 유혹하는 책쓰기><퀀텀독서법><나는 도서관에서 기적을 만났다> 등 책쓰기 관련 책을 여러권 집필한 김병완작가님이 신간을 출간했다고 하여 이 책 <챗GPT를 이기는 인간의 책쓰기>를 접하게 되었다.
챗GPT를 활용한 글쓰기 책은 읽어본 적이 있었는데 인간이 챗GPT를 이기는 글쓰기를 할 수 있다고 해서 읽기 전부터 내용이 궁금했다. 어떻게 하면 챗GPT를 이기는 글쓰기를 할 수 있을까? 과연 인간은 AI를 뛰어넘을 수 있을까?
<1장. 챗GPT를 이기는 책 쓰기 : 작가가 가진 뜨거운 심장>
저자는 생각하는 기계, 생각을 할 수 있는 인공지능을 인간이 만든다고 해도, 엄밀한 의미에서 인간의 생각과 기계의 생각을 다르다고 말한다. 책을 읽는 인간과 디지털화된 정보를 스캔해서 다운로드하는 인공지능은 전혀 다른 행위를 하는 셈이다. 따라서 인공지능을 절대로 인간처럼 책을 읽거나 쓸 줄 모른다고 말한다.
책 쓰기는 인간이 눈부신 인생을 살아낼 수 있도록 변화시켜 주고 성장시켜 주고 성공시켜 준다. 이것이 챗GPT와 근본적으로 다른 점이다. 챗GPT는 책을 쓸 줄도 모르지만, 아무리 많은 책을 쓴다고 해도 눈에 부신 인생을 살아낼 수 없다. 챗GPT는 인생도 살아낼 수 없지만, 만약에 가능하다 해도, 인생이 절대로 바뀌지 않는다.
<2장. 챗GPT를 이기는 책 쓰기 : 책 쓰기는 즐기는 것이다>
"위대한 사람, 잘난 사람, 재주 있는 사람만이 책 쓰기를 할 수 있는 것이 아니다. 오히려 그렇지 못한 사람이기에 책 쓰기를 통해 더 쉽게 그런 사람이 될 수 있고, 자신의 한계를 넘어설 수 있다." - <김병완의 책 쓰기 혁명> 중에서 -
훌룡한 작가는 독자들과의 좋은 관계, 적절한 관계를 형성할 줄 알아야 한다. 훌룡한 작가들은 독자 자신도 알지 못하는 자기 자신들의 욕구와 감성을 충족시켜 달라고 하는 무언의 독자들 주문을 받을 수 있는 능력을 갖추어야 하고, 그 주문대로 특별 주문 제작해 줄 수 있는 사람이어야 한다. 하지만 챗GPT는 이런 능력이 없다. 인간을 도무지 제대로 이해하지도 못하고, 인간의 숨은 욕구와 욕망, 감정과 기분을 도무지 이해하지 못한다.
<3장. 챗GPT가 아닌 인간을 위한 책 쓰기의 전략과 방법>
모든 작가는 세상을 보는 시각과 사고가 남달라야 한다. 그래야 다른 사람들이 보지 못하는 것들을 발견해 낼 수 있기 때문이다. 그리고 그러한 발견은 결국 좋은 책 쓰기의 재료가 되고, 내용이 되고, 피가 되고 살이 된다. 사고력을 키우는 가장 좋은 방법은 다독이다. 그래서 책 쓰기의 기본 전제는 다독인 것이다.
<4장. 챗GPT가 절대 모르는 것 _ 책 쓰기의 즐거움과 맛>
"책 쓰기를 하다 보면 무아지경에 이르게 된다. 무아지경이 되면, 자신을 넘어설 수 있고, 세상에서 벗어나게 된다. 책 쓰기만큼 집중과 몰입이 잘 되는 행위도 없다. 목숨을 담보로 절벽을 오르는 것도 몰입이 잘 된다. 하지만 한 번만 실수해도 위험할 수 있다. 하지만 책 쓰기는 안전하다. 수천 번 실수해도 목숨은 위험해지지 않는다."
-김병완, <48분 기적의 책 쓰기> 중에서 -
<5장. AI를 뛰어넘는 책 쓰기의 5가지 비결>
첫 번째, 감성적인 책을 쓰라.
책 쓰기의 첫 번째 단계에서는 정서적인 우뇌가 활동한다. 정서적인 우뇌이 특성은 재미, 직관, 상상 등 감성적이다. 책 쓰기의 두 번째 단계에서는 논리적인 좌뇌가 활동한다. 논리적인 좌뇌의 특성은 논리, 판단, 정확 등 이성적이다. 책을 쓸 때 작가는 우뇌로 감성적으로 통합적인 큰 그림을 그리고, 전체를 종합적으로 통찰한다. 좌뇌는 논리적으로 판단하고, 계획하며, 분석하면서, 구체적인 상황을 점검한다. 우뇌가 숲을 보면, 좌뇌는 나무를 보는 것이다.
인류는 좌뇌중심의 교육을 받아왔고, 좌뇌 중심의 사회 구조 속에서 살아왔다. 의도적으로 우뇌형 사람이 되고자 노력해야 양쪽 뇌의 균형이 맞추어진다. 따라서 더 나은 작가가 되기 위해서는 감성을 자극하는 일을 매일 하여 우뇌를 개우고 단련시켜야 한다.
두 번째, 매일 밥 먹듯이 잠을 자듯 써라
작가가 되는 대체 불가한 길에는 왕도가 없다. 정도만 있을 뿐이다. 그것은 바로 많이 쓰는 것, 그리고 매일 쓰는 것이다.
작가는 창조자여야 하고, 소통자여야 한다. 독자들이 열광할 수 있는 그런 새로운 사실들과 일들을 만들어야 하고, 그것으로 대화하면서 독자들이 스스로 자신들을 자신의 작은 세계에서 벗어날 수 있도록 노력해 줄 수 있어야 한다.
세 번째, 남과 다르게 창조적으로 쓰라
챗GPT를 이길 수 있는 가장 확실한 전략을 창조성을 발휘하는 것이다.
창조적인 상태에 빠져들게 되면 몰입의 극치를 경험하게 된다. 그런 점에서 창조는 바로 몰입이다. 강한 몰입 상태를 경험하고 나서 느끼는 것은 희열, 만족, 충만감이다. 다시 말해 몰입 상태와 같은 창조적인 작업을 한 이후에 예술가들이 기쁨과 즐거움에 열광하게 되는 것이 바로 이런 이유 때문이다.
네 번째, 다작이 재능을 이긴다
"양이 질을 낳고, 양이 재능을 이긴다."
다섯 번째, 뜨거운 심장과 온몸으로 글을 쓰라
머리로만 글을 쓰는 사람은 자신의 감정, 말하고자 하는 내용을 말하고 설명한다. 하지만 온몸으로 글을 쓰는 사람은 그러한 것들을 말하고 설명하는 차원을 넘어선다. 온몸으로 그러한 것들을 보여 주고 느끼게 해주고 직접 부딪히게 해 준다. 기계처럼 차갑게 논리적으로 책을 쓰는 것이 아니다. 차가운 이성보다는 뜨거운 심장으로 책을 쓰는 작가에게 독자들을 더 열광한다. 뜨거운 시장과 온몸으로 글을 쓰면, 독자들은 읽으면서 전율을 느끼게 되고, 감동하게 된다.
이 책은 챗GPT를 이기는 인간의 글쓰기에 대해서 이야기 하면서 챗GPT를 통해 도출된 답변을 예시로 설명해주면서 인간이 그것과 다른 글쓰기를 하기 위한 전략을 설명하고 있어 독자들의 이해를 높이고 있다.
특히, 인간은 글쓰기를 통해 자아를 성찰하고 인생을 변화시키지만 챗GPT는 자아를 성찰할 수도, 인생을 변화시킬 수도 없다는 점에서 챗GPT와 인간의 글쓰기가 근본적으로 다른 점이라는 것에 공감이 되었다. 인간은 챗GPT처럼 수많은 양의 정보를 기억할 수는 없지만, 한정된 정보의 양으로 자신만의 해석을 할 수 있고, 그것을 통해 인생을 변화시킬 수 있다.
또한, 챗GPT와 인간의 글쓰기가 다른 점은 인간은 글쓰기를 통해 창조성을 발휘할 수 있고, 몰입의 즐거움을 느낄 수 있다는 것이다. 챗GPT는 많은 양의 글을 빠르게 생성할 수 있지만 거기에는 인간만이 전달할 수 있는 감성과 열정이 부존재한다.
얼마전에 뉴스에서 챗GPT를 이용한 소설이 발간될 수 있다는 이야기를 접하고, 인간의 글쓰기는 더이상 필요로하지 않는 세상이 온 것이 아닌가 하는 생각이 들었다. 하지만 이 책을 읽고 챗GPT와 인간의 글쓰기는 본질적으로 다르다는 것을 깨닫게 되는 계기가 되었다.
챗GPT, 글쓰기에 관심이 있는 분들에게 추천해주고 싶은 책이다.
#챗GPT를이기는인간의책쓰기,
#김병완,
#케이미라클모닝,
#컬처블룸,
#컬처블룸리뷰단
<해당 글은 컬처블룸으로부터 도서를 제공받아 주관적인 견해를 작성하였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