엔트로피
제레미 리프킨 지음, 이창희 옮김 / 세종연구원 / 2000년 5월
평점 :
구판절판


  세상은 문제 투성이이다. 세상은 점점 빠르게 돌아가지만 뭔가 되는 일은 없어 보인다. 인간도 사회도 수렁에 빠져들고 있다. 그래서 이 엉망인 세상에서 도망치고 싶은 생각이 간절해진다. 이 세상을 고쳐보려면 우리는 이 세상이 어떻게 짜여져 있는지부터 알아야 한다. 왜냐하면 그 문제가 비롯된 곳이기 때문이다. 그러나 오늘날 범세계적 문제에 효과적으로 대처할 수 있는 오직 한 사람의 지도자나 사상은 없다. 모두는 기존 세계관에 얽매여 있고, 병들고 자신이 만들어낸 모든 것들을 오염시켜 가기 때문이다. 이 세계관은 자신의 생활을 구성하는 기준이 되는 틀이다.  즉, 아무도 거기에 의문을 제기하지 않을 만큼 어릴 적부터 사람들의 마음속에 철저히 내재되어 있는 것이다. 인류는 열역학과 관련된 기본 사실들을 문명 초기부터 알고 있었지만, 이것이 과학의 전당에 입성한 것은 얼마 되지 않는다. 이 열역학의 역사는 지금까지도 엔트로피 법칙의 독특한 성격에 의해 동요하고 있다. 이러한 관점에서 볼 때 오늘날 인류가 처한 엔트로피적 난국은 현재의 에너지 위기와 관련하여 우리가 생각하는 것보다 훨씬 더 심각하다. '정상상태'라는 말이 더 이상 생태적 역할을 하지 못한다거나, 어떤 기술의 유용에 있어서 특정 연료가 공급되는 동안 물질적 뼈대가 유지 되어줘야 한다. 그에 대한 처방으로 태양에너지를 구세주처럼 칭송하고 있지만, 현대기술에 기생할 수 밖에 없다. 그것이 아직까지의 한계인 것이다. 이 사실을 일반대중은 인식하지 못한다면 그것이 희망고문이 될 수 있다. 하지만 "무슨 일이 일어나든 해결책은 있다."라는 경제학을 지배하고 있는 견해가 있다. 이런 견해가 어떻게 해서 나오게 되었는지는 알 수 없으나 기계론적 도그마에 신고전주의 경제학의 창시자들이 심취해 했던 것이 열역학 제1법칙인 듯하다.
 간단히 말해서, 표준경제학은 인간의 생활방식에서 유한한 천연자원이 수행하는 독특한 역할을 완전히 무시한다. 따라서 경제학계에서 존경을 받는 가장 확실한 방법 "성장을 이룩하는 것이 경제학자의 탁월한 능력이다." 라는 주장이 당연해 졌다. 엔트로피 법칙은 인류의 특정한 생활양식에 대해 광범위하게 물질적 한계를 설정한다. 그 한계는 전례없이 우리 세대와 앞으로를 묶어 놓을 것이다. 이 한계의 중요성은 극히 최근 알려지고 있으며, 과거의 풍요는 급속히 종말을 향해 가고 있는 듯 하다. 우리는 정치, 경제, 사회적 발전에 대한 우리의 자세를 재평가하고 개편해야만 할 것이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