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이를 빛나게 하는 금쪽 같은 말
다고 아키라 지음, 정인영 옮김 / 나들목 / 2005년 8월
평점 :
절판


아이들을 대할때마다  내감정에의해서 생각없이  말을 하는 경우가 종종있었다.

그럴때면 다음에는 신중해야지 하지만 이내 같은  말투를 버릇처럼한다.

 저자는 책을 통해 '아이를 빛나게 한다'는 표현으로 평생을 연구하고 실천해 오신분이라

매우 많은 경우에대해  적절한  방벙을 제시한다.

이책은 저같이 자녀에게 말실수를 하는 종종하시는 분에게  좋은  지침서 된다.

개선하고 싶지만 적절한 구체적인  실천이 없는 경우,   책에서 나온 구절들을 읽는 것으로도

좋은 조언을 듣는 것같다.

아이에게 빛나는 조언은  나자신에게도 매우  긍정적인 효과가 있다.

즐거운 마음으로 여유롭게  금쪽같은 언어를 구사하면 어느 덧  말하는 나는  금쪽이 되지 않을 까 .아들을 대하며 간간히 부모의 위치를 놓칠때, 이책을   옆에 놓고 수시로 참고하면 좋을 듯하다.

책을 방어딘가에  꽂아 놓는 것만으로  매우 효과가 좋은듯  한다.

책을 보때마다 나에게 아이들은 어떤 존재인가를 다시 묻는다.

금쪽같은 말은  나와 우리아이들을  금쪽같게 만든다.

책을 잡는 순간부터 아이들을 대하는 태도가 달라지리라 확신하며

모든 부모에게 일독을 권한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8)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나를 통하여 이르는 자유
게이트 지음 / 리더스넷 / 2006년 1월
평점 :
절판


책속의 글은 지극히 친절하다.

과거 참선이나  현학적경구에 익숙했던

독자들은  " 어 ~ ~ " 하고  무언가 색다름을  곧 느낄 것이다.

이해하나  체득할수 없던 문장들이 큰 충격으로 다가온다.

글을  쓰는  나,    글을 느끼는  나,    음  그리고  긴호흡은   누구인가 ! 

자각하고 그리고  다시 쓰고 

다시 묻고  대답하고

이 것을 만들고 있는

무지함을 아는 것으로도

큰 기쁨이다.

나를 찾는 

나는 누군인가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중국을 이해하는 4.9
박현 지음, 쟝루이펑 그림 / 바나리비네트 / 2006년 1월
평점 :
품절


먼저 저자의 해박한  지식을  배경으로 양서를 쓰신  저자에게 감사를 드립니다.

그동안 주변에서 중국에 대해서 이런 저런 말은 많이 들었지만,  정작   과연  중국을 얼마나 알고 있었나 스스로  자문해봅니다.

지금까지 실제의 중국에대한 이해는  매우  단편적이고 가벼웠다고 자인할 수밖에 없었는데......

본서를 통해  중국은 하나의 국가가 아니라  세계라는  사실을 조목 조목  느낄 수있었다.  우리가 늘 들어왔던 "중국은 대국이다"라는 애매한 실체가   결국은 독립된 세계라는 사실을 확인하게 되었다.  그러나 한편  유사한 모습으로 비취진  유럽공동체와는 확연히 다른  모습을 밝히고 있다.  본문내용중 중국을 지탱하는 3박자는  중국을 거시적 균형감각으로  잘 기술하고있다. 중국은 인위적이 아닌  역사적으로 유기적으로 형성된  세계국가로 표현하고 있으며  그리고 이러한 정체성 이면에는 그들의  상업적 기질, 유교라는  대의명분 그리고 문화 다양성이 존재한다는 기술에 공감할 수 있었다.

그리고  기타 중국인의 명절, 차문화등 실제적이고 다양한 일상생활은 결국 중국이라는 세계를   부분적이해에서 전반적 이해를 이끄는  좋은 계기를 주었다.

특히 중국 3대 명절중   하나인 춘절이  다른 두명절 (노동절과 국경절)에  비해 다른 역사적 의의를 갖는 다는 사실은 우리에게  유사하게 작용된다.   또한 중국에 있어서의 종교문제는  우리나라의 종교 서구화문제를  다시 한번  생각하게 한다.

 마지막으로 저자의  미래에 대한  기술도 매우 흥미롭다.  세계국가로서 중국의 불평등 및 불확실한 미래를 대비하기위해서 필요한 운영주체는   " 완벽한 지방자치" 라는 주측은 매우  설득력있게  보인다.

   

개인적으로 가장 가억에 남는 부분은 "타락 또는 우수함" 장이다.

<<  문화적으로 우수함은 그들을 동화시키는 동전의 앞쪽이자 동화의 명분이었고, 안일과 타락은 그들을 동화시키는 동전의 뒷면이자 동화의 바탕이었던 것이다. >>

 


댓글(0) 먼댓글(0) 좋아요(2)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