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제정치와 전쟁전략 - 반양장
안드레아스 힐그루버 지음, 류제승 옮김 / 한울(한울아카데미) / 1996년 2월
평점 :
절판


 인류의 가장큰 전쟁이었던 2차대전을 배경으로 각국의 대전략과 거기에 수반된 외교,군사 전략등을 분석해 놓았다. 영국이 헤게모니를 포기하고 미국에 부속된 강국으로 전락해가는 과정 독일이 고립을 자초하게 되고 몰락하는 과정 결과적으로 미국의 온건한 세계 경영 방식이 승리를 거두게 되는 과정이 나오며 이걸 설명하는 중에 모르던 사실을 꽤 많이 알게된다. 1943년 까지 스탈린은 히틀러와 단독강화를 위해 협상을 계속 해왔으며 영,불 연합군은 독일군이 침공하지 않았으면 핀란드.시리아터어키를 거쳐서 소련을 침공할 계획을 가지고 있었고 일본은 인도의 반영운동 지도자 였던 찬드라보제를 도와서 임팔로 쳐들어가고... 역사가 논쟁에서 발견 되었던거 처럼 저자의 우파의 수정주의적 시각에서 접근한 부분이 보이고 일본의 식민지 정책에 대한 설명은 한국인의 상식과는 조금 배치되는 부분이 있다 하겠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사람이 알아야 할 모든 것 : 교양 사람이 알아야 할 모든 것
디트리히 슈바니츠 지음, 인성기 옮김 / 들녘 / 2001년 11월
평점 :
품절


이책은 1부에서는 역사로 부터 시작해서 문학 연극 미술 음악 철학 등등 까지 일반인들이 생각하는 교양이라는 부분을 모두 다루고 있다. 그리고 2부에서는 교양인의 자격에 대해서 제시하고 있는데 독일인들을 기준으로 한거라서 약간은 정서가 맞지 않는다 그런 부분도 있었지만 대부분 공감은 가는거 같았다. 평소에도 특히 문학이나 문학사나 음악사에 관심은 있었는데 관련 책자들이 너무 고가고 전문적인 책들이 많아서 맞는걸 구하기가 어려웠는데 이책 정도 수준이면 분량도 적당하고 읽기도 적당했다. 아무튼 다방면의 교양(혹은 상식이라고 할까)을 한권으로 해결 가능하다는게 이책의 장점인듯


댓글(1)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wserver 2004-05-09 18:40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저도 지금 구입했습니다. 서점에서 보았는데, 자세히 훑어보지는 않았지만, 도움이 될 것 같아서요. ^^ 위분의 리뷰 보고 취소할까 생각도 했다가 님 말씀에 다시 구입을 결정함. ㅋ
 
손바닥 위의 영문법
이재웅 지음 / 다락원 / 2000년 1월
평점 :
절판


중학교때 부터 성문만 봐왔지만 ;; 문법은 맨날 머리속에서 해매기만 했습니다. 문법이 왜 생겼는가 그런것에 대한 이해 없이 마구 외우기만 해서 그랬었었지만 이책은 미국인과 한국사람의 사고방식을 비교하고 미국사람의 사고방식이 이렇기 때문에 이런식으로 문법이 생겼다 식으로 문법을 설명해 놓아서 문법이라는게 이해하는 거라는 진리(?)를 깨닿게 해주었고 글도 재미있게 풀어써서 문법에 대한 거부감을 줄여주었습니다. 아무튼 문법책으로서는 최고인거 같습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종횡무진 동로마사
존 J.노리치 지음, 남경태 외 옮김 / 그린비 / 2000년 3월
평점 :
품절


세계사 교과서에서도 잘 다뤄지지 않고 인지도도 비교적 미미한 동로마 제국에 대한 책 입니다. 두꺼운 지면을 거의 1천년 정도 지속한 제국을 위해 할애하고 있어서 나름대로 내용은 꽤 충실한거 같습니다. 동로마 제국사는 그렇게 비중있게 다뤄진 책이 없으니 이책 정도만 보셔도 괜찮을듯


댓글(0) 먼댓글(0) 좋아요(2)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미완의 통일 이탈리아사 - 케임브리지 세계사 강좌 2
크리스토퍼 듀건 지음, 김정하 옮김 / 개마고원 / 2001년 3월
평점 :
절판


괜찮은 개괄서 같다..100 페이지 정도 까지는 고대사 중세사에 대한 간단한 개괄을 하고 있고 뒷쪽 부터는 근현대사를 개괄하고 있다. 그리고 천년동안 분열되어 있었던 이탈리아의 상과 통일을 보여 주고 여기서 발생하는 방언의 차이를 비롯한 갖가지 차이가 결국 지금의 분리운동에 까지 이르게 되었다고 논증하고 있으며 이는 한국의 통일에서 독일통일과 같이 하나의 전범이 될수 있다는 생각이 들게 만들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