맹자, 제멋대로 읽기
김재욱 지음 / 포럼 / 2006년 4월
평점 :
절판


 

‘맹자, 제멋대로 읽기’란 제목, 별로 끌리지 않았다. 오히려 진부하다는 느낌마저 주는 제목이다. 그동안 말빨만 앞세워 고전을 지맘대로, 엉터리로, 그저 얄팍한 상술로 풀어낸 책들이 얼마나 많은가.

허나, 책을 펴자 내 예상은 처음부터 빗나갔다. 제멋대로 읽는 고전이 아닌 일반 교양도서로 나오는 고전처럼, 맹자의 생애가 서술되어 있다. 그것도 자세하고 친절하게. 어라? 제멋대로 읽는다면서? 흠. 어쨌든. 친절히 생애를 설명하고 까겠다는 거군. 이렇게 위대한 사상가를 까는 재미도 훨씬 더할 수 있으니.

그러나... 본격적으로 맹자 읽기에 들어가니, 내 예상은 다시 한 번 빗나갔다. 맹자 원문과 해석. 원문에 대한 자세한 설명. 그리고 ‘맹자 이어받기’라 해서 기존의 주자, 조기 등 전통적인 해석을 설명하고 있다. 나중에 가서 ‘맹자 제멋대로 읽기’가 나온다. 제멋대로 읽는다지만 전혀 억지가 아니다. 논리적이고 타당하며, 증거자료도 제시해준다. 맹자 원문대로, 원문을 정확히 읽어내면서 저자의 해석을 보여주고 있다.

한문에 문외한이고, 동양 고전을 접하지 않은 독자라도 저자의 안내를 통해 맹자라는 한 인물을 만날 수 있을 것 같다. 단순한 말빨이 아니라 박학다식한 저자의 학문역량을 바탕으로 읽기 쉽게 풀어낸 문장력에 매료되기까지 한다. 재치와 유머도 곳곳에 스며있다. 동양 고전에서 이런 재미를 느낄 수 있다니.

오랜만에 마음에 드는 동양 고전 교양서를 만났다. 원문 해석만 늘어놓고, ‘이것을 이해 못하는 이유는 네가 한문지식이 부족하기 때문이야’, ‘이것은 주자가 이렇게 설명했기 때문에 당연히 이렇게 봐야해’라는 강요아닌 강요를 하는 책이 아닌, 원문 해석부터 같이 고민하고 함께 찾아갈 수 있는 길을 제시하고 있는 책이다. 현대에서 다시 해석할 수 있고, 현대적인 의미를 지녀야 제대로 된 고전아닌가. 저자는 이 점을 우리에게 보여주고 있다. 덕분에, 맹자, 제대로 읽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2)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