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휘의 발견 - 마에스트로의 삶과 예술
존 마우체리 지음, 이석호 옮김 / 에포크 / 2022년 5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아주 어릴 때, 오케스트라에서 지휘자가 지휘하는 모습을 처음 보았을때

손만 휘저으면 아무나 다 하는거 아닌가 하는 철없는 생각으로 흉내를 막 내기도 한 기억이 있다.

지휘야 말로 어떤 악기연주보다 중요할텐데 말이다.

이 책의 저자 존 마우체리는 세계적인 지휘자라고 한다.

우리가 막연하게 지휘에 대해서 생각하는 것에서 벗어나 어느정도 지휘의 세계를 이해하도록 도와주는 책이다.

어릴 때의 막연한 관점에서의 관심과, 음악 감상을 즐기는 사람으로서의 관심이 어우러져 이 책을 읽게 되었고,

어느 정도 호기심을 충족할 수 있었다.

그렇다고 클래식 음악에 대해서 뭘 아는 것도 아니라서

세계적인 음악가라는 사람들의 이름도 잘 모르지만, 재미있게 읽을 수 있었다.

저자 자신이 세계적으로 유명한 지휘자인데, 그 이상으로 유명한 레너드 번수타인의 제자라고 한다.

지휘자라면 카라얀이나 정명훈 정도 밖에 모르는 나지만,

지휘자의 열정적인 지휘를 보며 뭔지 모를 뜨거운 것이 올라오는 느낌을 받기도 했는데,

이 책을 읽으니 지휘자의 역할이 얼마나 중요하며 어려운지도 알게 되었다.

지금은 지휘자의 역할이 당연히 필요한 것이 되었지만, 예전에는 오케스트라 단원 중 하나가 그냥 맡았다고 한다.

그러나 음악이 점점 복잡해지고 풍부해지자,

그 많은 연주자들을 통솔할 지휘자의 필요성이 더해진 것이다. 지휘자는 무엇보다 모든 악기를 이해하면서 그 악기들의 소리가 잘 어우러질 수 있도록 리드하는 중요한 역할이라,

현대 오케스트라에서는 반드시 필요한 존재가 되었다.

문외한인 나도 들어본 위대한 지휘자 카라얀은,

오케스트라 단원들이 조금 더 자신의 능력을 발휘할 수 있도록 한 발 물러선 지휘를 했다고 한다.

그렇다고 지휘자의 역할이 없어지진 않기 때문에 호흡이나 간단한 눈동작으로 최소한으로 지휘를 하면서도 훌륭한 연주가 어우러지도록 감독한 것은 경지에 이르른 실력자이기 때문에 가능한 것이 아닐까 한다.

카라얀은 말년에 허리디스크와 뇌졸증 등으로 건강이 크게 악화되었을 때도 많은 대중들의 사랑을 받았다고 한다.

지휘는 컴퓨터의 CPU처럼 중앙 통제 시스템이라고 해도 과언이 아닐 것이다.

컴퓨터 각 부품의 성능이 아무리 뛰어나도 중앙 처리를 제대로 하지 못하면 렉이 걸리고 과부화가 되고 멈추기도 한다.

연주자 개개인의 실력이 아무리 뛰어나도 그것을 잘 통제하고 적절하게 템포를 조절하며 전체적으로 그 소리를 듣고 조율하는 지휘자의 역할이야 말로 오케스트라에서 가장 중요한 역할이라는 것을 알게 되었다.

잘 모르는 음악의 세계에 대한 호기심 충족은 물론 새로운 지식과 관점도 알게 해준 책이었다.

이제 오케스트라의 연주를 들을 때 더 즐길 수 있지 않을까 싶다 .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공유하기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