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아름다운 우리 섬에 놀러 와 ㅣ 우리 그림책 39
허아성 지음 / 국민서관 / 2022년 5월
평점 :
바야흐로 바다가 나를 부르는 계절이 왔다.
강렬한 햇살에 살갗이 익는다는 느낌이 들어가는 요즘
넓은 푸른 바다의 짠내 나는 굽굽함이 그립고 시원한 파도의 변주곡마저
환청처럼 들리기 시작한다.
지금이라도 갈 수만 있다면 하는 그리움을 애써 눌러 담으며 이 책을 펼친다.
책의 제목에 반응하듯, 언제든지 네가 날 반긴다면 대환영이라며
푸른 바다를 내안으로 들인다.
햇살에 반짝이는 물결이 보석을 쏟아놓은듯 일렁이는 곳으로 마음은 내달리고 있다.
우리그림책 39
아름다운 우리 섬에 놀러 와

아름다운 우리 섬에 놀러 와 (허아성 그림책 |국민서관)
아이 혼자 바다를 바라보고 있는 모습에 여유로운 마음이 들게 하는 표지는
펼쳤을 때 하나의 큰그림으로 한여름의 익숙한 바다로 우리를 데려다 놓는다.
하지만, 겉싸개를 벗겨내면 한여름을 즐기게 했던 바다는 사라지고 없다.
어디서 왔는지 버려진 쓰레기들로 가득차고 한치 앞을 볼 수 없을 정도로
뿌연 바다, 아이 대신 로봇이 덩그러니 서 있다.
이게 무슨 SF영화 같은 장면이야 하다가......
본격적으로 책을 읽기도 전에 충격과 물음으로 한동안 머물러 있다.

책은 글없는 그림책으로 허아성 작가는 바다에 편지를 띄워 보내는 마음으로
이 책을 만들었다고 한다.
표지에서 보았던 여자아이, 바다에서 추억을 기념하는 듯
편지를 넣은 통을 바다에 띄워 보내는 것으로 시작된다.
면지부터 시작되는 이야기는 편지를 담은 통의 여행기처럼 쨍한 여름의 바다에서
심각한 바다의 모습 그리고 머지않아 닥치게 될 미래의 바다의 모습으로
경각심 있게 담겨 있다.

버려진 쓰레기들로 몸살을 앓는 바다 생물들.
그물에 걸린 거북이는 코에 빨대를 낀 채 돌아다니고
바다는 온갖 떠내려 온 쓰레기들로 또 하나의 섬을 만든다.
그림책이 아니라 TV뉴스로 또는 신문기사로 종종 접하게 되는 바다생물들을
위협하는 쓰레기들을 모른다고 하기엔 사람들이 놀다간 뒤 남겨진
어마어마한 쓰레기를 나는 알고 있다.
실생활에서 나오는 쓰레기도 그렇고 나는 분리수거를 했으니 하는
안일한 생각이 깨지게 했던 태평양 한가운데의 쓰레기섬.
그리고 우리나라 1인당 연간 플라스틱 소비량이 세계에서 세손가락 안에 든다는 말.
모든 것은 심각하게 충격적이었고 다시 그 상황을 그림책으로 대면하고 있었다.
아팠다. 바다를 터전으로 살아가는 많은 생물들이 아무것도 모르고 먹고 다치는 동안
우리는 무엇을 했을까 하는. 코에 빨대가 낀 거북이, 플라스틱을 뒤집어 쓴 갈매기,
플랑크톤을 먹으려다 쓰레기를 먹고 수염에 플라스틱이 낀 채 살아가며 병든 수염고래 등.
생태계에서 사람이 쓰고 버린 많은 플라스틱으로 병들어 아파하는 생물들을 마주한다는
것은 슬픔이자 무서움이었다.
이 책의 결말처럼 지구가 되어 버릴까봐, 우리 아이들이 살 터전이 없어지고
미래가 어두워질까봐 겁이 났다.
책은 숨 죽인 체 바다의 모습을 보여주면서 우리 스스로 깨닫게 한다.
한여름의 더위를 식혀주던 바다가 어쩌면 사라질지 모른다며
아름다운 섬에 언제든 놀러가고 싶다면 지금 당장 우리가 실천해야 한다고
소리 없이 강력하게.
우린 뭘 할 수 있을까? 쓰레기를 줄이는 것? 분리배출을 하는 것? 일회용 사용 않기?
아껴 쓰는 것? 소중히 하는 마음? 생활 속 환경실천이 지구에 효과를 보려면
어디서부터 노력해야 될까?
나는 분리배출을 넘어 레스웨이스트가 되려고 한다.
그리고 착한 소비를 통해 지구를 지키는 것 내가 할 수 있는 일이지 않을까.
넘쳐나는 쓰레기로 몸살 앓는 지구를 위해, 모두가 행복하게 살기 위해
우리가 꼭 생각해야 될 이야기 『아름다운 우리 섬에 놀러 와』
바다를 사랑하는 우리를 위한 필수 그림책
소중한 것을 지키는 것은 마음 뿐 아니라 실천이다.
더 이상 쓰레기가 아니게, 언젠가 발견될 무엇이 아니라,
지금 우리가 지켜야하는 소중한 우리 바다.
유월, 환경의 달, 지구를 생각하는 마음으로
이 책을 읽고 실천하는 환경지킴이로 모두 거듭나기를.
여름엔 바다가 최고라면, 바다를 아끼고 사랑하는 마음도 최고가 되기를.~^^
[출판사로부터 도서를 지원받았으며 본인의 주관적인 소견으로 작성하였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