꽃으로 온 너에게 웅진 세계그림책 217
세실 메츠게르 지음, 이세진 옮김 / 웅진주니어 / 2022년 2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이 책 제목을 보며 그런 생각을 했다. 꽃으로 온다는 것 어떤 의미일까 하고.

김춘수 시인의 ' '이 생각났다.

'내가 그의 이름을 불러주었을 때 그는 나에게로 와서 꽃이 되었다'라는 구절이.

꽃으로 온다는 것, 특별함을 갖는 것이리라.


 

커다란 곰. 하얀 곰과 대조적으로 큰 꽃 한 송이. 은은한 향기가 책에 묻어난다.

책에 머무르며 나에게 꽃으로 온 대상은 누구인지를 생각한다.

곰과 꽃 , 누군가에게 꽃으로 온다는 것, 그 사연이 궁금하다.

 

책은 전반적으로 부드러운 파스텔톤을 띤다. 스미듯 다가오는 색에

마음이 녹아내리는 기분이다.

외딴 곳에 홀로 사는 곰은 곰의 색깔마큼이나 투명하다.

너무 투명해서 사람들 눈에 보이지 않았다니 다행인걸까 불행인걸까

어느 날 옆집에 누군가가 이사를 온다.

곰과는 너무 대조적인 모습으로 화사함과 화려함을 안고 말이다.

가만히 들여다 보면서 나는 내 이웃에게 어떤 모습일까를 비춰보게 된다.

언제부턴가 아이들에 비해 나는 이웃에 선뜻 다가가지 못하고 내 영역을 지키는 편이다.

안전하고 고요한 내 영역. 그래서인지 곰의 마음이 이해가 된다.

내 공간이 존중받기 원하는 것이 타인에 대한 관심보다 우선하는 거니 말이다.

곰이 낯설지 않다.누구나 우린 곰일 수 있으니. 하지만, 곰은 좀 다르다.

귀찮은 듯 하면서도 이웃에 대한 관심을 놓지 않으니 말이다.

우리집에서 내가 투명한 곰이라면 막내는 이웃에게 다가가는 곰이다.

어떤 의미가 되고자 하는 것보다 자기가 가진 벽을 허물고 다가가는 것을 좋아한다.

그러다보면 친구가 된다고. 이 곰도 편하다는 핑계로 외로운 곰이라며

어른들은 외롭고 투명한 곰이라고 하는 말에서 뜨끔한다.

자기 취향은 아니지만 곰이 이웃이랑 친구가 되어서 다행이라며

이사왔을 때 다가와 준 친구가 자기한테는 꽃이라며 또 단짝친구 얘기를 한다.

나도 아는 얘기지만 생각해보니 우린 자신의 공간을 존중받고 싶다는 이유로

스스로 투명인간이 되고 있구나라는 생각을 했다.


 

곰이 보인 작은 관심, 그건 곰 스스로에게도 용기이자 변화인것처럼

누군가에게 의미가 된다는 것, 내가 먼저 건네는 작은 마음에서 부터 시작이다.

문을 열고 들어가면서 부터 닫기 바쁜 우리시대,

우리는 누구나 투명한 곰이자 특별한 꽃이 될 수 있다고 위로를 건넨다.

곰과 오데트 아주머니처럼 우린 서로 너무나 다르다.

하지만 작은 관심에서 싹튼 우정은 서로를 알아가고 닮아갈 수 있는 기회를 준다.

그리고 특별한 꽃이 되는 순간을. 꽃으로 온다는 것.

제목에 반하고 그림에 반해서 읽다가 서로에게 어떤 의미가 된다는 것,

관계를 맺는다는 것, 꽃으로 온다는 것에 대해 생각한다.

나나 아이에게나 이른 봄의 향기를 전해준 화사하고도 아름다운 책.

친구 사귀기에 망설이고 있는 아이가 있다면,

특별한 만남을 만들어 가기를 원한다면 주저없이 이 책을 권한다.

오늘은 이웃에 먼저 관심을 가지고 인사하는 작은 실천부터 행하는 사람이고 싶다.

누군가에게 꽃이 되는 의미 있는 사람이고 싶다.

아니, 이웃에게 관심을 나눌 수 있는 꽃이고 싶다.

 

[출판사로부터 도서 협찬을 받고 본인의 주관적 견해에 의해 작성하였슴]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