개구리 우산이 물었어 웅진 우리그림책 60
안효림 지음 / 웅진주니어 / 2020년 6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개구리 우산이 물었어(안효림 글 그림 |웅진주니어)

 

장마철이라 그런지 우산을 늘 가까이 두고 생활하는 지금, 애들 어렸을 때나 사용했을 개구리 우산을 떠올리며 이 책을 대면하게 되네요.

 

팔짱을 낀 채 생각하는 것처럼 있는 개구리 우산을 보니 궁금하기도 하고 귀엽고 웃기기도 하지만 부드러운 파스텔톤의 색이 신비로운 분위기를 자아내는 이 책은 세로로 긴 판형에다 위로 넘겨보는 책이랍니다.

 

 

"나는 왜 태어났을까?'

 

살아가면서 우리는 모두 이런 근원적인 질문을 던지며 나를 보게 되잖아요. 세상에 ''는 왜 존재할까? 왜 태어났을까 하며 질문을 던지는 개구리 우산은 나름 심각했을 텐데 저는 왜 엉뚱하기도 하면서 자못 진지한 모습에 웃음이 날까요? 꼭 우리 어렸을 때처럼 '나는 왜?'라는 물음에서 시작되었던 나름 심각하고 꽤 진지했던 모습을 떠올렸어요.

 

 

 

머리카락 비 맞지 않게 하라고

옷 안 젖게 하라고

감기 안 걸리게 하라고

멋있어 보이라고

 

 

어느 것 하나 틀린 답은 없지만 그렇다고 개구리 우산의 생각에 썩 맞는 답도 아닌가 봐요. 꼭 사춘기를 맞은 아이들이' 나는 누구일까? 왜 태어났을까? 무엇을 해야 하나 ?' 등 끊임없이 자신의 존재를 확인하고 물음을 던지고 자신의 맞는 답을 찾아가는 것처럼 개구리 우산 역시 자신을 들여다보는 것을 게을리하지 않고 답을 찾아요. 그리고 무지개 우산처럼 누군가가 내가 찾고자 하는 답을 알려주기도 하죠.

 

 

 

이처럼 사람들이 볼 땐 똑같은 우산이지만 모양이 다른, 개구리 우산과 무지개 우산처럼 우리 역시 그렇지 않을까 생각해요. 때론 누군가에게는 우습지만, 누군가에게는 심각한, 그리고 나를 들여다보고 찾아가는 근원적 질문이 <개구리 우산이 물었어>처럼 우리 모두에게 해당한다는 것을. 서로가 가진 물음에 대한 답도 다르다는 것을 말이죠.

 

안효림 작가는 부드럽고 아름다운 색으로 누구나 다 하는 근원적인 주제로 철학적인 생각을 할 수 있게 해요. 우산이라는 것. 혼자 사용하는 것으로 생각했는데. 다시 생각해보면 보면 우산 가져오지 않은 친구랑 어깨 한쪽을 빗방울에 내어주어도 함께하여 더 즐겁고 행복했던 순간처럼 근원적인 물음에 대한 답도 처음엔 나 혼자의 행복이라고 생각하지만 함께하면 더 큰 즐거움을 나눌 수 있는 것처럼 말이죠.

 

나로 인한 근원적인 물음이 나에게서 우리로 되는 순간 더 큰 가치를 가지지 않나 생각하게 하는 책. 존재라는 것 나에게서 우리까지 생각하게 하는 책. 재미있고 상큼한 개구리 우산을 읽으며 존재에 대한 근원적인 물음으로 채웠던 시간.

 

 

 

아이랑은 주위에 존재하는 것들의 이유를 생각하며 이야기를 나눈 시간이었어요. 서툴지만 색종이 우산을 만들며 장난감에도 씌워주며 장난감의 존재이유도 엉뚱하지만 생각해 봤어요^^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공유하기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