내 마음은 내가 결정합니다 - 내 감정의 주인이 되는 자기결정권 연습
정정엽 지음 / 다산초당(다산북스) / 2020년 3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내 마음은 내가 결정합니다( 정정엽 지음 | 다산초당) 는 부제로 내 감정의 주인이 되는 자기결정권 연습이라고 붙었다. ‘자기결정권이라는 말이 유독 관심을 끌었다. 어느 순간 내 결정권 보다 가족의 결정권에 맞춰주는 나를 보다가 나는 누구인가? 한 번쯤 내 것을 요구해도 되지 않을까라는 생각을 했다. 그러면서도 여전히 우유부단한 나를 보는 것이 나조차 힘들었다. 그래서 이 책이 내게는 유독 절실하게 다가왔다.

 


저자는 정신건강의학과 전문의인 정정엽 의사다. 2015년부터 국내 최초 일반인을 위한 정신건강의학전문지 <정신의학신문>을 창간해 지금까지 운영해 오고 있다니 한 번도 찾아보지 않았던 이 신문에 대한 궁금증과 이 책에 대한 신뢰가 생긴다.


-----------------------


저자가 프롤로그에 밝히고 있듯 나를 바라보고 세상을 바라보는 방향에서 무엇보다 선행되어야 할 마음의 빈공간을 점검하기 위해 나는 이 책 속으로 들어간다. 그리고 나에 대해 제대로 볼 수 있기를 바라며

 

우리를 좌절하게 만드는 것은 다름 아닌 마음속의 이분법이다. 행복은 100퍼센트로 오지 않는다. 언제나 약간의 불행과 함께 온다. 천국으로 불리는 휴양지로 여행을 떠나도 약간의 불편은 감수해야 한다. 바가지를 씌우려는 관광지의 상인들과 실랑이를 벌여야 할 수도 있고, 음식이 입에 맞지 않을 수도 있다. 그래도 좋은 풍경을 보고 즐거운 시간을 보내면 행복하다고 느낀다.

세상을 흑과 백두 가지 색깔로만 본다면 p43

 

중간중간 나오는 체크 항목들. 나를 보다 객관적으로 자세히 들어다 볼 수 있도록 한다.

나의 간정 패턴을 알기 위한 감정테이블과 나의 부정적 스키마를 점검할 수 있는 성격검사지.

 

사람들은 객관적인 세상을 똑같이 바라보고, 느끼며 살아간다고 생각하지만 실제로는 자신만의 주관적인 세상에 산다. 내 마음이 만들어낸 세상, 개인이 느끼는 주관적인 세상을 심리학 용어로 심리적 실재라고 한다. 세 명이 모여 이야기를 나눈 상황을 나중에 개개인에게 물어보면 서로 다르게 기억하는 것도 이 때문이다. 각자 자기의 시선으로 바라보고 받아들이기 때문이다. 그러니 스스로를 부정적으로 판단하는 습관을 멈추고 객관적인 사실 자체만을 보려 노력해야 한다.


감정 뒤에 숨은 생각 p131

 

 

이 책에 수록된 그림들은 모두 Celia Jacobs의 그림들이다. 위 작품은 <imbalance>로 관계 속에서 느낄 수 있는 불균형, '나는 특별해: 특권의식'에 대해 설명하는 부분에 수록된 그림이다. 이처럼 단순히 심리서가 아니라 그림을 통한 쉼과 이해를 주는 것이 이 책이 주는 또 하나의 즐거움이다. 강렬한 아크릴화에 담긴 색채가 강렬한 만큼 내용도 더 깊게 다가온다.


 


인생에 어떤 지점, 어떤 선택 앞에서도 우리는 스스로에게 그냥 해도 된다라고 말해줄 수 있어야 한다. 왜 아프고 시한부일 때만 자유를 허락하려고 하는가? 이것은 2평 남짓한 감옥에 스스로를 가두는 것과 같다. 작은 것부터 스스로 결정하는 연습을 하자. 2평에서 4, 4평에서 8평으로 점점 범위를 넓혀가다 보면 자유롭게 뛰어놀 수 있는 들판을 만나게 될 것이다.

내가 원하는 것을 선택할 자유 p206

 

이 외에도 이 책에서 중요하게 다루는 자기감(sense of self), 스키마(schema), 자기결정(self-determination) 정도의 용어를 알아 둘 필요가 있다. 하루아침에 내가 바뀐다는 것은 무리가 있겠지만 이 책을 통해 나를 알아볼 수 있었다. 내가 나를 들여다보는 것은 객관적이기를 바라면서도 주관적으로 흐르기 쉬운데 이 책에 수록된 검사지를 통해 객관적이고 가깝게 나를 보는 시간이었다. 특히 자아 회복을 위한 자기감 소개서 작성하기는 내게 꽤나 유용하고 나의 자기감을 회복에 도움이 되었다고 할 수 있다.


나를 알고 나로 살아가기 위한 행동지침을 주는 책이다.나는 지금도 자기결정권을 제대로 가지기 위해 연습 중이다. 언제고 폭발하는 내가 되기보다 내 의사를 제대로 표현하여 나를 괴롭히는 마음의 덫에서 벗어나 자유로워질 내가 되기를 천천히 연습할 것이다. 그리고 건강하게 내 삶을 살아갈 것이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