처음 처음 | 이전 이전 | 41 | 42 | 43 | 44 | 45 |다음 다음 | 마지막 마지막
그때 카파의 손은 떨리고 있었다 - 전설적 포토저널리스트 로버트 카파의 2차대전 종군기
로버트 카파 지음, 우태정 옮김 / 필맥 / 2006년 5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로버트 카파. 본명 엔드레 에르노 프리드만. 1913년 출생의 헝가리계 유태인 포토 저널리스트. 1936년 스페인 내전 취재 중 찍은 <어느 인민 전선파 병사의 죽음>으로 이름이 알려진 후 중일전쟁, 노르망디 상륙작전, 베를린 함락, 중동전쟁, 그리고 인도차이나 전쟁에 이르기까지, 20세기 초중반의 전쟁에서 종군기자로 활약한 사진가. 어제 다 읽은 <그 때 카파의 손은 떨리고 있었다>는 2차 대전 종군기로써, 1942년부터 1945년까지 그가 쓴 글과 직접 찍은 사진들을 엮은 것이다. 총알이 날고 포탄이 터지는 위험한 전쟁터를 누비며 좀 더 생생한 사진을 찍겠다는 일념으로 매우 가까운 거리에서 죽음을 무릅쓰고 찍어낸 사진들은, 인간이 벌여 온 무의미한 전쟁의 참상과 그로 인해 고통 받았던 민중들, 그리고 수없이 죽어간 병사들에게 바치는 진혼곡이다. 그의 카메라에 담긴 미국과 독일의 피사체들은 곧 <사체>가 되어 고향에 돌아가지 못했다. 전쟁이 국가 간의 정치적 해결수단이라면, 개개 병사들의 삶은 희생되고 방치되어도 좋다는 뜻인가? 극한의 국가폭력이라 할 전쟁에서 장군은 죽을 일이 없지만, 장교와 병사들은 매순간 죽음의 공포와 싸우며 떠나온 고향을 그리워했을 것이다. 사망한 미군과 독일군 병사들의 배낭에서 나온 부치지 못한 편지들과 그리운 이의 사진들, 손때 묻어 너덜너덜해진 책들은, 이내 주인을 잃고 버려지거나 기억 속에서 사라져 버렸을 것이다. 어제는 살아 있었던 인간이 오늘은 땅바닥에 쓰러져 피를 흘리며 죽어갈 때, 그 인간의 모습을 기록하고자 셔터를 누르던 당시의 로버트 카파는 어떤 생각을 했을까? 이 책에서는 로버트 카파가 순간순간 전쟁에 염증을 느끼고 사진작가로써 자신의 선택에 대해 도덕적인 비판을 하는 대목들이 꽤 나온다. 그러면서도 유머를 잃지 않고, 인간의 살육행위에 자체에 대해 윤리적 비판을 내리려 하지 않는 점에서는 역사에 참여하여 사실을 객관적으로 기록하려는 의지도 보인다. 책 표지는 1944년 6월 6일 노르망디 상륙작전 중 오마하 해변에 상륙 중인 미군 공격 제 1파 부대원을 찍은 것으로, 영화 <라이언 일병 구하기>에서 스티븐 스필버그가 일부러 핸드 헬드 카메라로 재현했던 당시의 상황 그대로 셔터를 누르는 손이 떨릴 수밖에 없었을 절체절명의 순간을 잡아내어 <라이프> 지에 실렸던 것이다. 비록 떨린 손으로 찍었지만 사진 속 병사의 표정과 로버트 카파의 심정이 같았을 것이라 추측해 본다. 아마 사진 속의 미군 병사도 고향땅을 밟지 못했을 것이다. 로버트 카파는 그 뒤에도 전쟁터를 누비며 보도 사진들을 찍다가 1954년 인도차이나 전쟁을 취재하던 중 베트남 전선에서 지뢰를 밟고 폭사했다. 향년 41세. 최전선을 누비던 종군기자다운 최후였다. 지금까지 많은 전쟁에서 생명을 빼앗긴 이름 모를 사람들의 명복을 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지적으로 나이 드는 법
와타나베 쇼이치 지음, 김욱 옮김 / 위즈덤하우스 / 2012년 1월
평점 :
절판


 

 

와타나베 쇼이치의 <지적으로 나이 드는 법>을 두 번째 읽었다. 내가 두 번씩 읽는 책은 많지 않은데, 와타나베 쇼이치의 글은 그의 삶을 반영하고 있어 간결하면서도 촌철살인적인 혜안이 빛나서 일까, 두 번째 읽으니 그 의미가 더욱 마음에 다가 온다. 이 책은 저자가 80세이던 2010년에 쓴 것으로, 1976년에 쓴 <지적생활의 발견>이 어떻게 지적인 삶을 살 것인지에 대한 실천적인 가이드인데 비해, 이 책은 은퇴 후 지적으로 여생을 사는 법에 관해 잔잔한 어조로 관조하는 인생 지침서에 가깝다. 나는 아직 은퇴를 생각할 나이는 아니지만, 대부분의 직장인들이 퇴직하고 난 뒤 집안의 천덕꾸러기로 전락하여 밥이나 축내다가 별다른 성과를 내지 못하고 세상을 떠나는 와중에, 와타나베 쇼이치는 길어진 인생의 후반부를 낭비하지 말고 더욱 더 지적인 생활에 몰입하라고 독려하고 있는 것이다. 모두 50장의 짧은 글들을 모아 놓은 이 책에서 특히 5장 <장년에 배우면 노년에 쇠하여지지 않는다>, 7장 <평생의 공부거리를 찾으면 여생이 달라진다>, 23장 <책을 좋아하는 사람이 오래 산다>, 26장 <노년의 뇌세포를 독서로 단련시켜라>, 42장 <지적 즐거움을 나누는 친구를 만들라> 등에서 많은 통찰을 얻을 수 있었다. 내가 막연하게 생각하고 있던 노년의 실천적인 생활법을 와타나베 쇼이치는 자신의 삶에서 이미 실천하고 있었던 것이다. 책 속에는 나이듦과 노년에 대한 저자의 생각들도 드러나 있는데, 육체의 노쇠와 정신의 활력을 비교하며 비록 육체는 쇠락해가도 죽는 날까지 책을 읽으며 뇌를 젊게 유지하면 그 자체만으로도 행복한 것임을 말하고 있다. 대부분의 사람들은 노년이 되면 더 이상의 지적인 호기심을 보이지 않는데 그것이 바로 조기 사망의 원인이기도 하다. 어쩌다 종로 3가에 볼 일이 있어 나갈 때가 있는데, 그 때마다 탑골 공원에 몰려서 하릴없이 시간을 보내는 노인들을 보게 된다. 그들의 얼굴에서는 지적인 호기심은커녕 그저 죽음만을 기다리는 잉여인간의 허무함만이 보인다. 책을 읽거나 지적인 토론을 하는 등의 자기계발에 힘쓰기는커녕, 탑골 공원에서는 오직 성매매와 식탐만이 횡행하고 있다. 아마 이곳에 모이는 노인들 중에도 소위 지식인 소리를 듣던 이도 있을 텐데, 말년을 이렇게 보내는 헛되이 모습은 결코 이성을 가진 인간의 그것이 아니다. 나는 절대 이렇게 노년을 보내고 싶지는 않다. 와타나베 쇼이치 만큼은 아니어도 죽는 그날까지 손에서 책을 내려놓지는 않을 것이다. 그래서 와타나베 쇼이치의 소원처럼, 나도 책을 읽다가 그 책을 손에 쥐고 그대로 세상을 떠나고 싶다. 한 번 살고 한 번 죽는 인생, 현명하고 지적으로 살다가 자연 속으로 소멸하고 싶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처음 처음 | 이전 이전 | 41 | 42 | 43 | 44 | 45 |다음 다음 | 마지막 마지막