응답하지 않는 세상을 만나면, 멜랑콜리 - 예술가는 도망치지 않는다, 그린다
이연식 지음 / 이봄 / 2013년 4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까닭 모르게 우울할 때가 있다. 아니, 그 이유를 얼핏 알 수 있다 해도 깊이 가라앉는 심리 자체를 건져 낼 수 없음에 절망하곤 한다. 특별한 해결책은 없다. 그저 지나가길 기다리는 것 외엔. 이 경우 만약 내가 화가라면 그 멜랑콜리와 어떻게 대적할까? 미술사가 이연식의 『응답하지 않는 세상을 만나면, 멜랑콜리』에 소개된 레오나르도 다 빈치, 피터르 브뤠헬, 에드가 드가, 오딜롱 르동, 빈센트 반 고흐, 에드워드 호퍼 그리고 앤디 워홀은 멜랑콜리가 일종의 정신작용임을 직관적으로 이해하고 그것을 실체화하여 사람들에게 제시하고는 또 주기적인 멜랑콜리에 빠져든다. 그러면 멜랑콜리는 예술 창작의 영감인 것일까? 아니면 가끔씩 나도 지독한 우울증에서 회복하기 힘든 때가 있는 것을 보면 화가뿐 아니라 누구든 멜랑콜리의 공격을 피할 수는 없지 않을까? 기쁨보다는 슬픔이 더 많은 것이 인간의 삶일지니. 저자는 말한다, ‘멜랑콜리는 삶과 세계의 불확실성에 대한 감정이다. 세계는 우연과 이미 주어진 요소에 의해 지배되며, 지금 흥하는 것이라도 언젠가는 쇠하고, 퇴색하고, 와해되고, 죽고, 의미를 잃을 것이다.....응답하지 않는 원리에 의해 움직이는 세상이다. 멜랑콜리는 이러한 세상과의 불화, 좌절, 대답 없는 세계 앞에서 느끼는 절망에 기인한 우울함이다. 녹록지 않고 결코 명료하지도 않은 세상을 속속들이 익히면서 생겨나는 감정이다.’(p.16)라고. 곰곰 생각해보면 청년 시절, 나는 수시로 멜랑콜리에 빠져 들어 아득한 감정의 늪에서 헤어나지 못했던 때가 많았다. 원인이 무엇이었을까? 삶의 방향성에 대한 막연함과 무계획성이 던져주는 어둠? 이름 모를 대상에 대한 그리움? 이것도 저것도 아니면 그저 권태로움? 이유가 무엇이었든 우울함이 찾아들 때마다 나는 산에 오르거나 니체 또는 쇼펜하우어를 읽었던 기억이 난다. 잠깐, 프리드리히 니체와 아르투르 쇼펜하우어? 이들이야 말로 절망과 인간 혐오의 대표자들 아닌가? 대학시절 나를 사로잡았던 표도르 미하일로비치 도스토예프스키는 어떤가? 이들이 멜랑콜리를 극복했던가? 니체는 루 살로메에 대한 연정을 거두지 못하고 오랜 시간 정신착란에 시달리다 죽었고, 쇼펜하우어는 헤겔의 그늘에서 오랜 세월을 무명으로 보냈으며, 도스토예프스키는 정상과 광기의 경계에서 도박에 빠져 아슬아슬한 삶을 보내지 않았던가? 생각해보니 이들처럼 예민한 정신과 분석적인 두뇌의 소유자들에게도 세상은 즉각 응답하지 않았구나. 루 살로메는 니체가 아니라 라이너 마리아 릴케에게 응답했고 자존심 강한 쇼펜하우어가 헤겔로 인해 느꼈을 좌절감, 도스토예프스키가 사형 직전 특별 사면되어 시베리아에서 강제 노동형으로 복역하며 겪었던 인간성의 극단에 대한 내면의 방어적 기능이 멜랑콜리가 아니었을까? 그러면 나는? 내가 니체만큼 천재적인 두뇌의 소유자도 아니고 쇼펜하우어처럼 지독한 인간 혐오자도 아니며 도스토예프스키처럼 정상과 비정상을 극단적으로 오고 가지 않는 이상 멜랑콜리한 감정에 빠질 이유는 없는데, 왜 주기적으로 멜랑콜리가 찾아오는 것일까? 어쩌면 인간으로 살아가는 과정 자체가 멜랑콜리를 강요하는 것은 아닐까? 정도의 차이는 있어도 인간이라면 누구나 좌절과 절망을 겪고 그로 인해 정신적으로 황폐화되는 경험을 할 수밖에 없지 않은가? 나이가 한 살씩 늘어가면서 내 곁을 떠나간(갈) 사람들과 깨어진(질) 관계들. 지인의 갑작스러운 죽음과의 대면. ‘노력하면 언젠가는 되겠지’ 라는 희망을 짓밟는 타고난 신분과 권력·금력의 철옹성. 그러니까 나의 욕망이 무한히 충족될 수 없고 나의 희망은 언제나 그저 절망으로 끝날 수밖에 없음을 절실히 깨닫게 되었을 때, 내가 바꿀 수 있는 것이 아무 것도 없음의 재확인이 바로 멜랑콜리의 뿌리가 아닐까? 지금도 수시로 찾아드는 멜랑콜리가 결코 반갑지 만은 않다. 특히 멜랑콜리에 빠져들기 직전의 씁쓸한 감정이 싫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