교양인의 독서생활 - 책, 어떻게 읽을 것인가
시미즈 이쿠타로 지음, 김석일 옮김 / 기담문고 / 2013년 11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일본인이 쓴 독서론의 공통점은 무엇일까? 그것은 마치 전투를 치르듯 목숨을 걸고 독서에 전념한다는 것. 오늘 죽을 것처럼 책을 읽고 그렇게 읽은 책을 통해 자신의 삶은 물론 타인의 삶에도 심각할 정도의 깊은 영향을 끼친다는 것. 그동안 읽어왔던 여러 독서론 중에서 다치바나 다카시의 『나는 이런 책을 읽어왔다』나 마쓰오카 세이고의 『창조적 책읽기, 다독술이 답이다』, 쓰루가야 신이치의 『책을 읽고 양을 잃다』, 나루케 마코토의 『책, 열 권을 동시에 읽어라』, 그리고 이번에 읽은 『교양인의 독서생활』을 쓴 시미즈 이쿠타로에 이르기까지, 이들 5인의 일본인이 읽어낸 책의 양과 질은 평범한 한 사람이 평생에 걸쳐 읽을 양과 질을 압도적으로 앞 서 나가 좌절을 뼈저리게 느끼도록 만큼 상상을 초월한다. 또한 책을 읽는 방법론도 극히 체계적이고 정교하여 오직 책 읽기만으로 몇 개의 분야에서 깊은 지식과 통찰력을 지닐 수 있는 수준에까지 도달했다. 그런데 왜 이렇게까지 책을 읽는 것일까? 아마도 작년 겨울에 읽었던 샤를 단치의『왜 책을 읽는가』에 나오는 구절에서 하나의 힌트를 얻을 수 있지 않을까. “책을 읽으며 나아갈 때 나는 죽음과 경주를 한다. 이는 다른 모든 독자들도 마찬가지일 것이다. 왜냐하면 독서의 본질적인 동기이자 유일한 이유, 그것은 바로 죽음과 당당히 결투를 하는 것이기 때문이다.....독서는 아주 짧은 한순간이지만 죽음을 이긴다. 그리고 작가의 작품, 즉 책은 그보다 좀 더 오래 죽음을 이긴다.”(샤를 단치, 『왜 책을 읽는가』, 이루, p.259~60) 나도 책을 읽고 있는 동안에는 내가 죽을 수밖에 없는 존재임을 잠시 잊고 꼬리에 꼬리를 무는 독서를 지속해나간다. 마치 책을 읽고 있으면 죽음도 내가 책을 다 읽을 때까지 가만히 앉아 기다려줄 것처럼. 그래서 단 하루도 책을 읽지 않고 넘어가는 적이 없고 그만큼 죽음이 두려워서 독서에 매달리는 것은 아닌지. 아마 위의 일본인들도 거의 비슷한 생각에서 이토록 책을 읽고 그것에서 마음의 안정을 구하는 것인지도. 죽기 전에 읽어두어야 할 책들이 너무도 많아서 그것들을 다 읽을 때까지는 죽을 수 없다는 결연함이 내게도 있다. 내 죽음과 더불어 모두 소멸할 것이지만 그래도 분투했던 흔적은 지상에 남지 않겠는가.

           각설하고 시미즈 이쿠타로 『교양인의 독서생활』은 제목으로도 짐작할 수 있듯 교양서 읽기에 특화된 독서론을 개진하고 있는데, 책의 말미에서 “교양서는 소수자, 곧 뜻을 세운 사람을 위한 것”(p.208)이라는 저자의 말로 모든 것이 요약된다. 나도 그랬지만, 사람은 일정한 시기마다 정신적 성장을 하게 되는데 각각의 단계를 스스로의 깨달음과 행동의 변화로 극적으로 바꿀 수 있는 사람은 극히 드물다. 따라서 외부의 도움이 필요한 것이며, 특히 성장을 거듭함에 따라 좀 더 깊은 사고와 도덕적인 행동을 하는데 결정적인 역할을 하는 책이 반드시 한 권씩은 있는 법이다. 이렇게 생각해보면 교양이란 단순한 지식의 집적이라기보다는 더 나은 사람이 되고자 힘쓰는 과정에서 나를 도덕적이고 양심적이며 선하게 바로 세우는데 꼭 필요한 깊이 있는 사색과 성찰의 도구가 아닌가 싶다. 마찬가지로 교양서란 올바른 뜻을 더욱 견고하게 유지해나가는데 가까이 두고 꾸준히 읽어야 하는 정신의 원천이다. 따라서 진정한 교양인은  절대 겸손한 사람이다. 당신은 교양인가?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