시간을 걷는 소년 다림 청소년 문학
이순원 지음 / 다림 / 2019년 6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자무야 .“

그 무렵 꿈길인 듯하면서도 거역할 수 없는 힘으로 소년을 불러내는 소리가 있었다 .’신비롭고 묘한 분위기로 시작되는 소설의 이 첫 문장이 흥미를 불러일으키면서 줄곧 이야기를 끌고 나갑니다 .

너무 허약하게 태어나 일찍부터 죽음을 몸 가까이 의식하며 살아오던 소년은. 자신을 지켜주던 할머니의 죽음과 역시 자신을 지켜주던 명어머니의 딸 영숙의 알 수 없는 죽음을 보며 자신을 대신해서 죽었다고 괴로워합니다. 그 충격으로 소년은 삶과 죽음의 세계 속에 침잠하여 학교도 가지 않고 방황하게 되는데, 이를 걱정한 어머니는 할머니의 친척인 스님과 의논하여 소년을 절로 보내고. 스님의 자상한 보살핌을 받은 소년은 자신의 상처를 치유하고 학교로 돌아가 자신의 삶의 시간을 걷게 됩니다 .

 

반복해서 읽어보게 되는 서정적인 아름다운 문장들이 여기저기 보였습니다. 그 중 한 문단을 옮기면,

"강은 땅에만 있는 것이 아니었다. 해가 넘어간 저 멀리 하늘은 붉은 기운의 강을 두운령 너머에서 이쪽 세상으로 끝없이 흘러보내고 있었다.

       '아부지이 ……. 은어가 왔어요 .’

하늘과 땅의 장엄함 속에 강은 점점 붉어지다 검은 색을 띠어가고, 지는 노을 속에 한 번에 수백 마리의 은어가 뛰어 오르는 저 황홀하고도 슬픈 광경을 아이는 혼자서는 도저히 감당할 수가 없었다울며 불러도 아버지는 집에 없었다.

        …… …….

아이는 노을이 다 스러지고 어둠이 밀려들 때까지 오래 강둑에 서 있었다.우주라는 말은 몰라도 우주 한가운데 홀로 길을 읽고 버려진 것 같은 느낌이었다.

 

지금은 그 모습을 찾아보기 힘든 스무하루 장의 장례절차의 여러 모습이 흥미롭습니다. 그리고 초혼 의식에서, 소년이 삶과 죽음의 시간이 두 길처럼 나누어지는 것을 보는 장면이 뇌리에 강하게 남습니다 .

아버지가 사다리를 타고 지붕으로 올라가 할머니의 저고리를 북녘하늘을 향애 깃발처럼 흔들며 땅거미가 내리는 북쪽 하늘을 향해 ‘강하 우계댁 연일 정시 보옥!’하며 할머니의 혼을 세  외쳤다. 아버지가 다시 지붕에서 내려올 때 아버지가 몰고 온 것처럼 하늘의 어둠도 함께 내려왔다. 소년에겐 그것이 어떤 시간을 삶과 죽음의 시간으로 나누어 반은 할머니가 어둠 속의 길로 저쪽 세상으로 가져가고, 반은 아버지가 마당 아래로 가져오는 듯 보였다 .

할머니를 따라 뒤도 돌아보지 않고 저쪽 세상으로 몰려가는 시간과 아버지를 따라 지붕 아래로 끌려 내려오는 시간이 소년의 눈앞에서 두 길처럼 나누어졌다. 할머니가 지붕 위로 날아가는 저쪽 시간은 바람처럼 아득해 보이고 …….“

 

이 소설에서 가장 인상적인 것은 할머니를 보내는 할아버지의 마지막 작별 인사입니다. 할아버지는 할머니의 어께에 손을 얹고 이렇게 말합니다.

이보시게. 이렇게 가고 마는가? 뭐가 바빠서 이리 서둘러 가는가?“

잘 가서 기다리시게. 오래 걸리지는 않을게야. 내가 곧 따라갈 테니 …….“

수십 년을 함께 살을 붙이고 살다 헤어지는 할아버지의 이승에서의 이 마지막 작별인사는 젊잖으면서도 왜 그리 애틋하고 아름다운지요 . 이렇게 슬프고도 아름답고 격조 높은 작별인사를 저는 보지 못했습니다.

 

청소년 문학이라고 소개되었지만 많은 생각들이 교차되며 재미있게 읽었습니다 .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